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비자단체소송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s of Consumer Group Litigation System- Centering around the legal nature of the right to file a lawsuit and the relationship with corrective measures -)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6 최종저작일 2020.05
38P 미리보기
소비자단체소송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재산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재산법연구 / 37권 / 1호 / 149 ~ 186페이지
    · 저자명 : 고형석

    초록

    사업자의 위법행위로부터 소비자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소비자단체소송제도는 2008년부터 시행되고 있지만, 예상과 달리 활성화되고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그 원인에 대해서는 다양하게 제시할 수 있지만, 금지청구의 소를 제기할 수 있는 제소권에 대한 법적 성질과 시정조치와의 관계가 규명되지 않음이 하나의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첫째, 금지청구의 소를 제기할 수 있는 제소권의 법적 성질에 대해 학설은 크게 고유권설과 법정소송담당설로 구분된다. 그러나 금지청구의 소를 제기할 수 있는 제소권은 소비자의 권리를 대신하여 제소단체가 제기하는 것이 아닌 법에 의해 제소단체에 부여된 권한이라고 할 것이다. 따라서 제소권의 법적 성질은 고유권설이 합당하다고 할 수 있지만, 소비자피해의 예방이라는 목적달성에 있어서는 한계가 있다. 즉, 전속관할법원에 대해 사업자를 기준으로 정하고 있지만, 민사소송법에서 특별재판적으로 불법행위지를 규정하고 있는 취지와는 일치하지 않는다. 또한 소비자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민사소송법상 특칙으로 소비자단체소송제도를 도입하였다고 한다면 소비자의 권익을 증진하기 위해 증명책임의 전환은 소비자단체소송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필요가 있다. 둘째, 행정기관의 시정조치 역시 사업자의 위법행위를 중지 또는 금지를 포함한다. 따라서 소비자단체소송과 동일하게 소비자피해를 예방할 수 있는 제도이며, 행정기관이 시정조치를 명한 경우에 사업자는 원칙적으로 해당 행위를 중지하여야 하기 때문에 소비자단체소송제도보다 소비자피해예방에 있어 더 효과적이다. 특히, 제소단체 중 한국소비자원은 피해구제과정 속에서 사업자의 위법행위를 인지한 경우에 관계기관에 신고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것을 요청하여야 한다. 그 결과, 한국소비자원은 사업자의 위법행위에 대해 관계기관에 신고하여 시정조치를 부과할 것을 요청하여야 하는지 아니면 금지청구의 소를 제기하여야 하는지의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나 모든 사업자의 위법행위를 신고의무의 대상으로 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준수하기도 곤란하다. 따라서 중대한 소비자피해를 규정하고, 이에 한정하여 신고의무를 부과함과 더불어 벌칙규정을 두는 것이 타당할 것이다. 또한 시정명령은 행정규제이기 때문에 그 요건을 명확히 규정해야 한다. 그러나 소비자기본법 제20조에서는 포괄적 및 추상적인 방식으로 그 요건을 규정하고 있기 때문에 시정명령의 요건으로 타당하지 않다. 물론 이를 구체화시키는 방법도 있다. 그러나 다른 법과의 관계 및 소비자기본법의 성격을 감안할 때, 이를 구체화시키기 보다는 소비자기본법상 시정조치에 관한 규정을 삭제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consumer group litigation system has been in operation since 2008 to prevent consumer damage from illegal activities of business operators. However, consumer group litigation is not being activated. In this paper, I analyzed the legal nature of the right to file a lawsui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orrective measures. The summary of this is as follows. The reasons for this are that the legal nature of the right to file a lawsuit and the relationship with corrective measures have not been clarified. First, there are various theories on the legal nature of the right to file a lawsuit. But the right to appeal is not the consumer organization on behalf of the consumer, but the right of the consumer organization to file a lawsuit under the laws. Therefore, the exclusive jurisdiction and the liability for proof should be determined based on the consumer organization. However, it is necessary to add a court that has jurisdiction over illegal activities to the exclusive jurisdiction court. Second, administrative agency's corrective measures also include suspension or prohibition of business operators' illegal activities. Where an administrative agency orders corrective measures, the business operator shall, in principle, suspend the acts. Therefore, corrective measures are more effective in preventing consumer damage than consumer group litigation system. However, corrective action and consumer group litigation are not exclusive because they are different. But the Korea Consumer Agency is obliged to report to the relevant agencies about the illegal facts of the business operator and to request appropriate measures. Therefore, there is a question of whether the Korea Consumer Agency can file a lawsuit against a business operator who has committed an illegal act or report it to the relevant agency. Of course, corrective measures are more effective in preventing consumer damage. However, it is impossible to impose corrective measures on all illegal activities in real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strict the object of the report to illegal acts of the business that cause serious consumer damage. Also, Article 20 of the Consumer Basic Law is defined abstractly. Therefore, even if the operator violates Article 20, the administrative agency can not impose corrective measures. Nevertheless, it is not reasonable that an administrative agency can impose corrective measures if the operator violates Article 20. Therefore, Article 80 of the Consumer Basic Act providing corrective measures should be dele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재산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