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거래상 지위남용 규제의 의의 (A meaning of abuse of the position in trad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0 최종저작일 2015.03
32P 미리보기
거래상 지위남용 규제의 의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업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기업법연구 / 29권 / 1호 / 447 ~ 478페이지
    · 저자명 : 한도율

    초록

    거래상 지위남용 규제는 공정거래법상 부당한 고객유인에 이어 가장 많은 사건처리실적 건수를 자랑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적극적인 평가가 눈에 띄지 않는다. 본고는 이러한 지금까지의 상황을 고려하여 거래상 지위남용 규제에 대한 적극적인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인식하에 집필되었다.
    지금까지 거래상 지위남용 규제에 대하여 적극적인 평가가 이루어지지 못한 것은 먼저 경쟁과의 관련성이 희박하고 둘째 私法상의 규제로 해결되어야 할 문제가 공정거래법상으로 규제되는 것은 적절하지 않으며, 셋째 거래상 지위남용 규제는 계속적 거래관계에서만 적용되며 넷째 거래상 지위남용 규제가 경쟁을 보호하는 것이 아니라 경제적 약자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라는 비판 때문이라고 추측된다. 이에 대해 본고는 다음과 같은 논리로 위의 비판에 대해 반론을 제기하고 거래상 지위남용 규제의 정당성을 주장하였다.
    먼저 경쟁과의 관련성이 희박하다는 주장에 대해서는 우선 공정거래법의 목적은 경쟁 그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라, 공정하고 자유로운 경쟁을 촉진하는데 있으며, 거래상 지위남용 규제는 시장참가자의 자유롭고 자주적인 판단에 의한 거래 활동을 보호함으로써 시장의 공정하고 자유로운 경쟁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하였다.
    시장참가자의 거래의 자유를 보호하는 것은 私法의 영역이지 공정거래법의 영역이 아니라는 비판이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거래상 지위남용 행위 중에는 私法의 영역에 해당하지 않는 부분이 있으며 설령 사법의 영역에 해당한다고 할지라도 私法절차에 의해 해결할 수 없는 영역이 있기 때문에 그 존재이유가 있다고 하였다.
    경제학적 입장에서 홀드업문제는 거래상 지위남용 규제를 뒷받침하는 강력한 학설이지만 계속적 거래에만 본 규제가 적용된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에 대법원 판례를 들어 단발적·일시적 거래 또는 홀드업문제가 아닌 경우에도 거래상 지위남용 행위가 일어날 수 있으며, 이는 정보의 비대칭 또는 법문화적 특징 때문에 일어나는 것으로서 이러한 경우에도 본 규제가 적용되어야 한다고 하여 거래상 지위남용 규제의 확장을 꾀하였다.
    마지막으로 거래상 지위남용이 경제적 약자보호를 위한 규제라는 비판에 대해서는 거래상 지위남용 규제는 사업자의 자주적인 판단에 의해 경영을 할 수 있는 경영환경을 보장하기 위한 규제로서 이러한 규제의 반사적 효과로 경제적 약자를 보호하는 것처럼 보일 뿐 경제적 약자보호 그 자체를 목적으로 하고 있는 것은 아니라고 밝혔다.

    영어초록

    The regulation on abuse of the position in trade had the second largest case processing performance in the Monopoly Regulation and Fair Trade Act following Unfair Use of Incentives. Nonetheless, there is no active assessment on it. The study had an intention to make active assessment on the regulation of the abuse of the position in trade considering the situation so far.
    Reasons that there was no active assessment on the regulation of abuse of the position in trade includes firstly, it has rare relevancy with competition, secondly, it is not suitable to regulate with the Fair Trade Act which must be regulated by private law, thirdly, the regulation of abuse of the position in trade is applied to continual trade relation only, and fourthly, the regulation of abuse of the position in trade is not for the protection of competition but for the protection of the economical weak.
    This study raised objections on the above criticism based on the following reasons, and argued the justification of the regulation of abuse of the position in trade.
    Firstly, as for the argument that there is rare relevancy with competition, the objective of Fair Trade Act is not for competition itself, but for promoting fair and free competition, and the regulation of abuse of the position in trade plays a role in promoting fair and free competition of market by protecting trade activity through free and independent judgment of the market participants.
    However, there is criticism that protection of freedom of trade of market participants is the area of private law rather than the area of Fair Trade Act. As for this, even though the regulation of abuse of the position in trade belongs to the private law in theory, it has a reason of existence as there is an area that is not solved by the private law.
    In the economic perspective, the hold-up problem is a powerful academic theory to support the regulation of abuse of the position in trade, but it has a limit that the regulation of abuse of the position in trade is applied to continual trade only. As for this, the study attempted to extend the regulation of abuse of the position in trade as abuse of the position in trade can take place at sporadic trade or for other cases than the hold-up problem due to asymmetry of information or legalization characteristic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업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