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2018. 6. 21.자 수사권 조정 합의문상 사법경찰관의 불송치결정에 대한 통제 방법에 관한 헌법적 분석 -검사의 불기소처분에 대한 통제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A Constitutional Analysis of Control over the Police's Non-Transfer Decision in Government's June 21st Agreement for Reorganizaition of Investigative Prerogatives - Focusing on Comparison with the Con)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8.08
36P 미리보기
2018. 6. 21.자 수사권 조정 합의문상 사법경찰관의 불송치결정에 대한 통제 방법에 관한 헌법적 분석 -검사의 불기소처분에 대한 통제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형사정책학회
    · 수록지 정보 : 형사정책 / 30권 / 2호 / 163 ~ 198페이지
    · 저자명 : 이재홍

    초록

    정부가 2018. 6. 21. 발표한 검찰과 경찰의 수사권의 분배에 관한 합의문에 따르면 경찰에게 1차적 수사종결권이 부여된다. 수사종결권을 정당하게 행사하는 것은 기소독점주의를 바탕으로 한 우리 형사사법체계에서 형사사법권 행사의 적정성과 형사사법제도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좌우하는 핵심적인 요소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경찰의 1차적 수사종결권 행사를 어떻게 통제할지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정부가 발표한 수사권 조정 합의문에 따르면, 경찰이 사건을 검찰에 송치하지 않기로 하는 불송치결정을 한 경우, 고소인, 고발인, 피해자가 경찰관서의 장에게 이의신청을 할 수 있다. 이의신청이 있으면 경찰은 사건을 검찰에 송치해야 한다. 경찰의 불송치결정에 대한 이와 같은 불복장치는 일견 경찰의 1차적 수사종결권의 적정한 행사를 보장하기에 큰 문제가 없어 보인다. 하지만 헌법적인 관점에서 자세히 들여다보면, 헌법 제27조 제5항에 규정된 형사피해자의 재판절차진술권 침해 및 권력분립원리 위반의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핵심에는 피해자 개념의 불명확성, 불송치결정에 대한 불복범위의 제한이라는 요소가 놓여 있다. 이는 검사의 불기소처분에 대한 통제장치인 검찰 항고, 검찰 재항고, 재정신청, 헌법소원심판이 실제로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분명히 알 수 있다. 왜냐하면 경찰의 불송치결정과 검사의 불기소처분은 수사종결처분이라는 점에서 그 본질이 동일하기 때문이다. 경찰의 불송치 결정에 대한 이의신청권자로 고소인, 고발인과 함께 피해자를 병렬적으로 규정하고, 피해자의 정의를 최소한 헌법재판소가 재판절차진술권의 주체로 인정한 범위까지는 포함할 수 있도록 규정하며, 경찰의 불송치결정에 대해 검찰의 통제를 거쳐 법원의 전면적인 사법심사를 허용하도록 형사소송법을 개정하여야 헌법상 피해자의 재판절차진술권을 보장할 수 있고, 권력분립의 원리도 충실히 구현할 수 있다.

    영어초록

    According to the Government's June 21st Agreement for Reorganizaition of Investigative Prerogatives, police can drop cases without any prior supervision of prosecutors. As in current criminal procedure act only prosecutors can indict, preventing inappropriate case drop decision of police and prosecutors plays a pivotal role in maintaining public faith in the criminal justice. The June 21st Agreement stipulates police must transfer cases to the prosecution if those involved such as victims make complaints. This seems to be an airtight control of police's termination of investigation. However, closer look in respective of constitutional law reveals blind spots which might infringe the victim's constitutional right to make a statement to a criminal court's judge. These weak spots could breach the separation of powers doctrine as well. Unconstitutionality mainly comes from the vagueness of the word "victims" and from limiting the scope of complaints. As prosecutors' non-indictment decision also drop the case, it is same with police's non-transfer decision in nature. More than 60 years' experience of control on the prosecutors' non-indictment decision can shed light on the problem of the police's non-transfer control. Standing of complaints against the non-transfer decision should include the victims who are allowed to make a constitutional complaint against prosecutors' non-indictment decision under the present criminal procedure act. Prosecutors' control followed by judicial review must be made to the police's non-transfer decision. Criminal procedure act which prescribes these two elements can protect victim's fundamental rights to state his/her damage before a judge, and realize the separation of pow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형사정책”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