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6세기 조선의 정치ㆍ사회와 불교계 (The Overview of Joseon’s Policy on Buddhism and the Buddhist Activities in the 16th Century)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5 최종저작일 2016.12
44P 미리보기
16세기 조선의 정치ㆍ사회와 불교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국사학 / 61호 / 43 ~ 86페이지
    · 저자명 : 손성필

    초록

    본고에서는 16세기 조선의 정치와 사회 현실을 고려하여 당시의 불교정책과 불교계를 승정체제, 사찰, 승려의 세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승정체제의 개혁은 불교계 전반에 대한 억압으로 이해되어 왔으나, 국가체제 정비와 국가재정 확충을 위한 정책이었으며, 불교계에 미친 영향은 제한적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16세기에는 승정체제의 폐지와 개혁에 대해 정치세력 간에 입장이 달랐는데, 대체로 사림세력은 국가체제에서 불교 제도를 폐지하고 국가가 불교계에 직접 개입하지 않는 정책을 지향한 반면, 훈척세력은 15세기의 정책을 계승하여 승정체제를 통해 불교계에 직접 개입하는 정책을 지향하였다. 연산군 말에 폐지된 승정체제는 중종대에 복구되지 못했으며 명종대에 복구되었으나 명종대 말에 다시 폐지되었고, 임진왜란을 계기로 승군의 통솔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승정체제가 구축되어 조선후기에도 지속되었다.
    조선 초의 승정체제 개혁으로 인해 선교양종 소속 36개 이외의 사찰이 철거되거나, 유지하기 어려웠을 것이라고 이해되어 왔다. 그러나 승정체제 개혁은 그 소속 사찰에 대한 것이었고, 국가가 지급한 면세전인 사원전을 감축하고 사노비를 환수한 것으로, 각 사찰에 따라 시납전, 사전, 시주와 같은 사적 경제 기반을 통해 존속할 수 있었다. 16세기에는 적어도 1,650여 개 이상의 사찰이 있었고, 사찰이 실제로 얼마나 더 있었는지는 가늠하기 어렵다. 사찰은 조선 사회에 고르게 분포한 기관으로서, 당시 지방과 향촌 사회에서 일정한 역할을 한, 주요한 주체 중의 하나였다. 더구나 16세기는 조선 사회의 유교화, 사족 중심 사회화가 점차 진행되어 간 시기이므로, 종전의 사회 질서도 공존하던 시기였다는 점에도 주의를 요한다.
    조선시대에는 다양한 부류의 승려가 있었으며, 각 부류에 대한 국가의 정책도 다소 달랐다. 국가가 승려로의 출가를 제한하고자 한 가장 큰 이유는 그들이 불교의 추종자이기 때문이라기보다 농사에 종사하지 않고 군역을 부담하지 않는 계층이기 때문이었다. 이들을 도첩제를 통해 규제하고자 하였으나, 그 운영 방식으로 인해 사실상 효과가 미미하였다. 중종대에 도첩제가 폐지되었는데, 승려가 증가하자 그 대책 마련에 부심하였으나 적절한 대책을 도출하지 못했다. 승려 정책에 큰 변화가 있었던 것은 명종대였는데, 국가가 승려를 대가 없이 동원하게 됨에 따라 도첩제는 사실상 무력화되었고, 승려는 승려라는 지위로서 국가체제에 편입되기 시작했다. 임진왜란을 계기를 승군 동원은 정례화되었고, 이후 승려가 호적에 등재되면서 국가체제에 완전히 편입되었다. 16세기의 불교계는 이러한 인적, 물적 기반을 토대로 다량의 불서를 간행하였으며, 여말선초의 전통을 계승하고 새로운 전통을 형성해 가고 있었다. 청허계, 부휴계 문파는 사림세력 및 사족층과 마찬가지로 16세기를 거치면서 점차 성장하였고, 임진왜란을 계기로 조선후기 불교계의 주류 세력이 되었다.

    영어초록

    Considering the political and social reality of 16th century Joseon, this study examined Buddhist policies and the Buddhist circle of the time from the three perspectives—Seungjeong(僧政) system, temples, and Buddhist monks. The reform of Seungjeong system has been understood as oppression on the overall Buddhist circle but it was a policy to organize national system and secure national finance, and its influence on the Buddhist circle was limited. In the 16th century, there were different opinions on abolishment and reform of Seungjeong system. Overall, Sarim(士林) power pursued the policy that the country should repeal Buddhist system and should not intervene in the Buddhist circle directly, while Hungu(勳舊) power inherited the policy of the 15th century and pursued the policy of intervening in the Buddhist circle through Seungjeong system.
    It has been understood that due to the reform of the Seungjeong system in the early Joseon era, temples other than the 36 temples of the National Buddhist Organization were removed or had trouble of maintaining. However, the reform of Seungjeong system affected temples that belong to the system and it reduced Sawonjeon(寺院田), the duty-free land and retrieved temple slaves so other temples could subsist with private financial basis such as Shinapjeon(施納田), Sajeon(私田), and Shiju(施主). There were more than 1,650 temples in the 16th century and it is hard to estimate how many temples there were exactly. Temples were the organizations that were spread evenly in the society of Joseon and they were the main agents of rural society that served certain roles in the rural community.
    Unlike the general understanding that Buddhist monks were oppressed by the country, there were various types of monks in Joseon era and the national policy was different for different monks. The major reason that the nation discouraged people from becoming monks was not because they were followers of Buddhism but they were the class that did not engage in agriculture and were free from military service. So the country tried to regulate this by introducing Docheopje(度牒制), whose way of operation had little effect. It was during the rule of Myungjong that there was a big change in the policy on Buddhists. As the country mobilized monks without paying them, Docheopje became practically invalid and monks started getting absorbed in the national system maintaining their status as monks. The Buddhist circle of this time published a large number of books on Buddhism based on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inherited the tradition of the late Goryo era and the early Joseon era, and was forming a new tradi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국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