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부를 생산하는 경제적 활동의 기독교적 의미 (A Christian Understanding for the Economic Activity to Produce the Wealth)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4 최종저작일 2019.09
45P 미리보기
부를 생산하는 경제적 활동의 기독교적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조직신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조직신학논총 / 56호 / 223 ~ 267페이지
    · 저자명 : 황돈형

    초록

    성서적 입장에서 ‘부’ 자체에 대한 의미에 대해서는 직접적으로 선과 악의 판단을 내린 것은 아님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차원에서 교부시대로부터 중세기까지 전반적 차원에서 ‘부’에 대한 문제는 윤리적으로 중대한 문제가 될 수 없었다. 그러나 현대사회에서는 가장 큰문제를 일으키고 영향력을 끼치는 것이 부로 인한 불평등과 불공정의 문제이기 때문에 부를 추구하는 경제적 활동이 어떻게 기독교적으로 정당화되었는가를 묻고자 하였다.
    먼저 자본주의가 발생하는 가운데 발생한 기독교와의 관계성을 살펴보았다. 특히 사회의 변화에 따라서 기독교의 경제적 이념이 변화하는 과정을 중세기로부터 종교개혁 시대를 통해서 정리하였다. 그리하여 부를 생산하는 경제적 활동이 개신교에 의해서 신앙적으로정당한 것으로 인정되게 된 것을 밝혔다. ‘부’를 이루는 것은 칼빈주의자들에게는 하나님의 소명을 이루는 인격적 자기 긍정이 된 것이다. 그리고 4차 산업혁명의 요구 가운데 있는 현대 자본주의의 문제점과 가능성을 이해함으로써 기독교적 차원의 경제관이 어떻게 부의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복잡한 현대의 경제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요점은 경제적 행위의주체를 분명하게 밝히는 것이었다. 먼저 다양한 형태의 개입을 통해서 경제적 현상을 통제하는 국가보다는 창의적인 경제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개인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여기서 경제적 주체는 인격적으로 정의로운 행위를 책임 있게 수행할 수 있으며, 또한 일상적인삶에서 능동적으로 자신을 이루어가는 존재이다. 그리고 이러한 경제적 주체가 수행하는 능동적 경제행위를 기본적으로 슘페터를 통해서 파악하였다. 즉 그에 따르면 기업가는 창조적 파괴의 혁신을 이룰 수 있는 경제적 행위를 수행한다. 그리하여 기업가의 경제적 행위는 물량적인 사유재산의 확장으로서의 욕망 충족이 아니며, 주어진경제적 환경에서 새로운 차원의 경제적 질서를 창조하는 행위인 것이다. 이렇게 파악된 기업가의 모습은 오늘날 기독교적 주체가 이루는 경제활동의 가능성과 상응한다. 기독교적 관점에서도 하나님의뜻을 이루는 것은 언제나 창조적 개방성을 이루는 것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서, 하나님의 뜻을 이루는 활동이란 언제나 미래적인 차원에서 자아의 인격적 성취뿐 아니라 보편적으로 모든 이를 위한 사회적 정의를 실현하는 개방적이고 창조적인 행위를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제 부를 추구하는 경제적 활동이 기독교적 차원에서 명확하게하나님의 영광을 나타낼 수 있는 행위가 되기 위해서 세 가지 차원을반성하고자 하였다. 1) 개인의 인간성과 연관된 경제활동, 2) 생산과소비의 연관 관계에서의 공동체성, 3) 경제적 활동과 자연과의 상관성.
    이러한 숙고를 통해서 경제적 활동은 단지 인간의 필요를 채우는 행위가 아니라 기독교적 차원에서 사회적 정의를 이루고 하나님의 사랑을 이루는 행위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In sofar as the economic activity has been not regarded as the constituting activity for a necessary condition of salvation, there has been not the certain Christian ethical judgement about the wealth itself. Therefore, for much of history it has been con ceptualised as simply a ethical issue among many others. But to day, it is acknowledged that economic perspective is a decisive factor to understand the present society at all.
    To recognize the Christian attitude toward the economic ac tivity which pursues wealth, it is assumed that a Christian basic viewpoint about the economic success is transform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socio-political structure from the middle age through the reformation to the modern age. In a word, while the economic desire for wealth itself was treated as ethically bad in the middle age, on the contrary, after the reformation age, it became to be respected as a sign of God’s blessing. Such a changed viewpoint of the economic wealth and success was attributed as a believer’s assignment for his(her) meaning of life. The econom ic success was not aimed for the fulfillment of personal desire of possessions. but accepted as a responsibility of believer for God’s glory.
    In today’s economic situation as a 4th industrial revolution age, as a Christian, we must, consistently with the conversation with the modern philosophers, keep the economic value judge ment that the economic achievement must be for the glory of God, and also must provide accoun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growth and economic redistribution. In order to eluci date and confront today’s economic tasks, it is necessary, on the one hand, to minimize the nation’s intrude which is against the freedom of the economic activity and, on the other hand, to mo bilize and maximize the public awareness for the personal re sponsibility to achieve the admitting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Also, in the work of Joseph Alois Schumpeter, we can find a rec ognition that the economical activity could be defined as a co-work within the creative activity of God for the world.
    Moreover, following the new situation of modern industrial movement, we find a recognition of the God’s way to perpetuate the economic welfare. It is hanged upon the three dimensional relationships within the economic activity: the personality of labour, the close relationship of economic activity for the local community, the reasonable and harmonic setting with the natural environ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2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