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행정부작위와 국가배상책임의 구조적 해석 (The Structural Analysis of the Administrative Nonfeasance and Tort Liability of the State)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13.11
34P 미리보기
행정부작위와 국가배상책임의 구조적 해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토지공법학회
    · 수록지 정보 : 토지공법연구 / 63권 / 163 ~ 196페이지
    · 저자명 : 박정훈

    초록

    최근 국가배상법책임과 관련하여 중요한 사건은 ‘군산윤락가화재사건’, ‘미니컵젤리사건’, 등에서 보듯이 대부분 국가의 권한불행사로 인해 국민이 피해를 입은 경우이다. 국가배상법에서 부작위는 행정권은 물론 입법권․사법권에서도 문제가 발생하지만 실제로 쟁송화되는 사례는 행정의 부작위에 관한 것이다. 행정부작위로 인한 국가배상책임의 인정을 위해서는 적극적인 권한행사와 마찬가지로 국가배상법의 요건을 갖추어야 하지만, 이 경우 법리적으로 모순 없는 구조적인 해석이 국가배상법의 해결과제로 등장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 같은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행정부작위로 인한 국가배상책임에 있어 기존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종합적인 관점에서 다음의 주요점에 관해 이론적․실무적인 법리논증을 시도하였다.
    첫째, 행정의 권한불행사가 문제되는 국면은 ‘재량’인 경우이며, 유형적으로는 규제권한불행사유형과 직접침해유형이란 분류에 따라 극복해야 할 과제들을 연혁적으로 검토하고, 이러한 전제에서 행정부작위에서 가장 핵심적인 쟁점인 작위의무위반(위법성)의 도출법리인 재량권수축이론과 재량권의 소극적 남용론의 차이점은 물론 양자가 상호보완적인 관계임을 학설과 판례를 통해 분석하였다. 특히 행정부작위의 위법성판단에서 독일의 재량권수축이론을 도입하여 일본의 학설과 하급심판례에서 전개된 구체적 작위의무의 성립요건은 행정과 사법법치주의 실현을 위해 유용한 법리이자 이미 실무적으로 일부 도입하고 있음을 논증하였다.
    둘째, 그간 부작위로 인한 국가배상소송에서 항고소송의 원고적격에 관한 ‘법률상 이익’(사익보호성)의 적용여부 및 그 위치에 관해 학설․판례의 혼란스러운 논의가 있지만, 국가배상제도의 보호범위를 결정한다는 기능적인 측면에서 적용의 필요성과 그 위치에 대해 위법성․인과관계․손해의 개념본질에 입각하여 손해의 요소임을 분석하였다. 즉 근거법령에서 사익보호성의 요구는 일차적으로 국가배상제도의 보호범위 여부를 결정하는 기준이며, 이차적으로 구체적인 사건에서 구제되는 법적 보호의 범위와 관계된다는 법리구성을 통해 손해의 요건으로서 법률상 이익을 통일적으로 해석하였다.
    셋째, 행정부작위에서 과실과 위법성의 관계에 대해 재량권수축이론의 구체적 요건 및 재량권의 소극적 남용론에 의할 경우에도 결과적으로 그 구체화 요건은 재량권수축이론과 마찬가지이며, 이렇게 볼 때 구체적 요건으로 제시되는 예견가능성․회피가능성 등의 항목을 고려할 때 일부 판례에서 보듯이 양자는 일원적으로 파악함이 법리상 타당함을 검토하였다.
    그 밖에 현행 부작위위법확인소송과 같은 항고소송과 행정부작위의 ‘위법’은 동일한 개념이 아니며, 부작위로 인한 국가배상책임에 항고소송에서의 법률상 이익의 법리를 도입할 경우에도 양자는 같지 않다는 점 등을 다루어 행정부작위로 인한 국가배상책임에 관한 본격적 연구에 단초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Recently important cases on the tort liability of the state are ones which people had been damaged almost by the nonuser of the authority to the state. For instance, there are Red-light District Fire Case in Gunsan and Mini-cup Jelly Case. The Nonfeasance in the state compensation act happened in the administrative power, legislative power and judicial power. Actually, every lawsuit was brought on the nonfeasance of administration. In order to affirm the tort liability of the state from the Administrative nonfeasance, plaintiff must prove material facts in the state compensation act like active use of authority. The problem awaiting solution is the legally consistent, structural analysis in the state compensation act. This thesis tried theoretical, practical legal demonstration in the below by the universal approach based on the past researches, originating from the critical mind in the above.
    First of all, the problematic phase of nonuser of the administrative authority is on the discretion and it historically reviewed tasks to overcome according to two categories: a type of nonuser of authority to control and other of direct infringement. Besides, it compared, through a doctrine and case laws, the theory of shrinking discretion with one of passive misuse of the right to discretion as the derivative, legal theory on the violation of duty of feasance (illegality) as the core of the administrative nonfeasance. What is more, it also analyzed that both theories in the above are complementary. Especially, material facts of specific duty of feasance are developed by Japanese doctrine and case laws of lower courts, introducing Germany theory of shrinking discretion in the judge of illegality of the administrative nonfesance. It also demonstrated that the material facts in the above are useful legal theory and they are partially introduced in the practice.
    Second, this thesis analyzed that legal interest is a factor of damage, based on the essence of definition on the illegality, causation and damage, on the necessity to apply ‘legal interest’ (the nature of the safeguard of the private interest) and its position in the functional aspect to decide the scope of protection in the state compensation system as there is a confusion in the debate on those, including doctrine and case laws: the applicability of legal interest on the standing in pleading in the action of the state compensation from the nonfeasance and its position. The demand of the nature of the safeguard of the private interest in the suitable statues is, first of all, the standard to decide whether it is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in the state compensation system; second, it is involved with the scope of legal protection as the relief in the specific case. Through the construction of legal theory in the above, it universally interpreted legal interest as a factor of damage.
    Third, the specific factor on the relation, in the administrative nonfeasance, between negligence and illegality in the theory of shrinking discretion is consequently the same as one of the theory of passive misuse of a right to discretion. Thus, this thesis reviewed whether universally understanding both theories in the above in considering foreseeability, avoidability, and etc implicated as a specific factor is legally reasonable.
    This thesis also would provide the hint for further research on the tort liability of the state from the administrative nonfesance. For example, the definition of illegality in the between pleading like affirmative action on the illegality of the nonfeasance and the administrative nonfeasance is different. Besides, the definition of legal interest in introducing the theory of legal interest in pleading on the tort liability of the state from the nonfeasance is different in the both fields.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토지공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