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육아휴직 후 복귀에 있어서 법적 쟁점의 검토 (A Legal Study on the Issues surrounding the Returning to Work after Parental Leave)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13 최종저작일 2024.11
21P 미리보기
육아휴직 후 복귀에 있어서 법적 쟁점의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법이론실무학회
    · 수록지 정보 : 법이론실무연구 / 12권 / 4호 / 221 ~ 241페이지
    · 저자명 : 노호창

    초록

    저출산고령화 시대에 자라나는 아동이라도 잘 돌보고 키우는 것이 매우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이를 위하여 현재 육아휴직 및 육아휴직급여제도가 마련되어 있다. 물론 육아휴직과 육아휴직급여가 출산율 자체를 높여주지는 못할지라도 최소한 자녀에 대한 육아가 매우 중요한 시대에 자녀의 육아를 조금이나마 수월하게 만들어 주는 제도로서 매우 중요하다는 점에 대해서 누구나 공감하고 있다.
    육아휴직과 육아휴직급여는 그 법적 근거가 서로 다르다. 동시에 두 가지 제도는 법적 성격도 다르다. 육아휴직은 노동법적 성격의 권리로서 그 제도적 근거가 남녀고용평등법인 반면 육아휴직급여는 사회보장법적 권리로서 그 제도적 근거는 고용보험법이다. 돌봄이라는 큰 범주 하에서 육아휴직과 육아휴직급여가 가지는 중요성에 비추어 볼 때 이 두 가지 제도의 시작과 종료의 전과정에 걸쳐 그 법적 쟁점을 살펴보고 개선점을 확인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것은 중요한 법적 과제이다.
    육아휴직에 있어서는 육아휴직의 사용과 그에 대한 법적 처리가 중요하고 육아휴직급여에 있어서는 절차적 측면에서 신청의 법적 성격과 실체적 권리성의 충돌과 긴장관계 및 부정수급의 판단 기준이 중요하다. 또한 그 재원의 근거에 있어서 정당성 문제가 제기된다. 육아휴직 종료에 있어서는 근로자의 복귀에 있어서 불이익 금지가 중요한 쟁점으로 등장한다. 지금까지 육아휴직, 육아휴직급여, 육아휴직 종료 후의 복귀라는 전 단계에 걸쳐서 법적 쟁점들이 등장하고 때로는 분쟁이 등장하고 다투어졌다. 이 과정에서 육아휴직 및 육아휴직급여는 제도적 관점에서는 지속적으로 개선되어 왔다. 그리고 그 과정에서 법원의 유권적 해석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우리 사회의 존립에 있어서 육아의 문제는 본질적인 과제가 되고 있으며 향후 제도의 발전에 있어서 법원의 판단은 여전히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제 가장 마지막 남은 쟁점으로 육아휴직 후 복귀에 관한 부분이 아직 정리되지 않은 채 남아있다. 본고에서는 육아휴직 후 복귀에 관한 최근의 사례를 통해 관련 쟁점을 분석하고 문제의식을 공유하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In the era of low birthrate and aging population, it has become a very important task to take care of and raise children. For this purpose, parental leave and parental leave benefits are currently in place. Of course, parental leave and parental leave benefits will not increase the birth rate itself. However, everyone agrees that they are very important as a system to make parenting a little easier these days when it is very important to take care of children.
    Parental leave and parental leave benefits have different legal bases. At the same time, they also differ in their legal nature. Parental leave is a labor law right and its institutional basis is the Act on Gender Equality of Employment, while parental leave benefits are a social security right and its institutional basis is the Employment Insurance Act.
    Given the importance of parental leave and parental leave benefits under the broader umbrella of care, it is an important legal task to examine the legal issues throughout the entire process of initiating and terminating these two programs, in order to identify improvements and suggest alternatives. In the case of parental leave, the use of parental leave and its legal treatment are important. And in the case of parental leave benefits, the procedural aspects of the application, the conflict and tension between the legal and substantive nature of the entitlement, and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ineligibility are important. The legitimacy of the funding sources are also important. In the case of termination of parental leave, the prohibition of penalizing the worker upon return to work is an important issue.
    This paper analyzes and reviews the legal issues in all stages of parental leave, parental leave benefits, and return to work after the end of parental leave. It was found that parental leave and parental leave benefits have been continuously improved from an institutional point of view, and that court interpretation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is improvements. Now the last issue on the returning to work after the parental leave remains to be discussed deeply and improv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이론실무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2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