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소설 <왕랑반혼전>판본 字形의 조형미와 한글서예사적 의의 고찰 (Consideration on Formative Beauty in Character Shape of Woodblock-Printed Classical Novel Wangnangbanhonjeon and on Significance in Calligraphic History of Korean Alphabet)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17.09
45P 미리보기
고소설 &lt;왕랑반혼전&gt;판본 字形의 조형미와 한글서예사적 의의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예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예학연구 / 31호 / 219 ~ 263페이지
    · 저자명 : 정복동

    초록

    본고는 조선시대 1637(인조)년부터 1776년(영조 52년)에 이르는 지방 사찰에서 간행된 한글고소설류 <왕랑반혼전>에 대한 조형미를 분석하여 한글서예사적 의의를 고찰하였다.
    지방사찰에서 간행한 10여종의 <왕랑반혼전>은 불교계 고소설로서 이본들의 字形이 국가기관에서 간행한 국보(보물)급 판본문헌과 다르게 그 시대에 민간에서 유행되었던 한글 자형으로 판각하였다. 이에 대표문헌 화엄사본(1637년:전남 구례), 동화사본(1753년:대구 동구), 흥률사본(1765년:황해도 구월), 해인사본(1776년:경남 합천)을 선정하여 서지 사항을 DB화하였다.
    <왕랑반혼전> 이본 4종의 판면 구성 형식은 가장 이른 시기에 간행된 화엄사본은 제목이 한자이며, 본문은 오른쪽에 한자와 현토를 배자하였고, 왼쪽에 이에 대한 해석을 한글로 배자하여 15세기의 형식을 따랐다. 18세기에 간행된 동화사본과 해인사본은 현토가 없어졌다. 또한 3종의 판본문헌은 한자와 한글 모두 배행․배자수가 다르며, 합본된 비교 문헌과도 배행․배자수가 다른 것으로 보아 각각 다른 시기에 간행된 문헌을 합본한 것으로서 각각 다른 시기의 다양한 훈민정음 언해본류의 서체이다. 특히 순 한글 서체로 필사한 흥률사본은 합본한 비교문헌과 판면구성형식이 같고 조화로우며 서체가 유사하여 18세기에 황해도 지방 사찰의 대표적 서풍임을 알 수 있다.
    <왕랑반혼전> 4종의 조형미는 행별 장법미, 단일문자의 결구미, 자모음의 용필미를 분석하였다. 행별 장법미는 15~18세기 말의 자료 18종을 선정하여 중심축선을 분석한 결과 왕랑반혼전 4종 모두 중앙과 우측에 중심축을 맞추었다. 지방 사찰에서 간행된 목판본의 중심축이 17세기 초부터 우측으로 이동되기 시작하였다는 것은 한글서예사적으로 큰 의의가 있다. 왜냐하면 궁중 왕후들의 한글편지 등에서는 17세기 중기부터 우측으로 중심축이 이동되었는데, 지방사찰본의 중심축이 17세기 초부터 우측으로 이동되기 시작하였다는 것은 각 지방에서 한글을 많이 사용하였다는 것을 증명하며, 많은 사람에게 포교하기 위해 간행된 불교소설이라는 점이 이미 한글을 읽을 수 있는 사람이 전국 각지에 많았다는 것을 보여주는 전거이기 때문이다.
    <왕랑반혼전> 이본 4종의 결구미와 용필미를 비교 분석한 결과 지방 사찰판본과 필사본은 가로 장방형의 유사점이 있으나, 방필과 원필을 겸용하여 동화사본은 원필형에 가까워 웅혼한 미가 있고, 해인사본은 방필형이 많아 수경한 금석기가 있으며, 화엄사본은 초기 판본의 자형에서 과도기의 성격을 띄어 졸박함이 보인다. 특히, 흥률사본은 필사본으로 中宮收斂과 外畫伸展으로 긴밀함과 광박함을 겸한 우수한 서체이다.
    한글서예사적으로 17세기초부터 사대부가의 서풍을 이었다는 점과 중심축선이 우측과 중앙을 겸하였다는 것은 한글서예보급이 확산되었고, 한글서예 인구도 많았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formative beauty of Korean classical novel Wangnangbanhonjeon published in local temples between 1637 and 1776 in Joseon dynasty and inquired the significance in calligraphic history of Korean alphabet.
    Wangnangbanhonjeon was a Buddhist classical novel, and the character shapes woodblock-printed in ten kinds of books published in local temples had been prevailed among people and differed from that of national treasure woodblock-printed books published in the national organization. Therefore, it built a bibliographic database by selecting the representative versions such as version of Hwaeom temple(1637: Gurye-gun, Jeollanam-do), version of Donghwa temple(1753: Dong-gu, Daegu-si), version of Heungnyul temple(1765: Guwol-gun, Hwanghae-do) and version of Hae-in temple(1776: Hapcheon-gun, Gyeongsangnam-do).
    A page composition of different versions of Wangnangbanhonjeon was as below. The version of Hwaeom temple was the earliest version, and its title was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In the body, classical Chinese phrases and Korean endings were disposed on the right, and Korean translation was placed on the left like the format of books in 15th century. However, Korean endings had been excluded in the version of Donghwa temple and the version of Haein temple published in 18th century. In addition, the number of lines and letters in three versions mentioned above were different, and that in a bound version of comparative book was also different. Regarding this, it could be said that these four versions were published at different times, so that the character shapes shown in them were diverse styles of characters of Korean annotation version of Hunminjeongeum. Especially, the version of Heungnyul temple which was a manuscript with pure Korean alphabet had the same page composition as the bound version of comparative book, and its style of characters was similar and harmonious. Therefore, we could find that it was a representative style of characters of local temples in Hwanghae-do in 18th century.
    This study analyzed the formative beauty of four versions of Wangnangbanhonjeon in terms of arrangement beauty of each line, structure beauty of each character, and wielding brush beauty of consonants and vowel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axes of four versions of Wangnangbanhonjeon were adjusted to the center and the right side. It was very significant that the axes of the woodblock-printed book published in local temples had started to move from the center to the right side in the early 17th century, on the other hand, the axes of queens’ correspondence in the court moved to the right side in the mid-17th century. Because it proved that Korean was often used in local area and there were many people who could read Korean all over the country.
    In the result of analyzing the structure beauty and the wielding brush beauty of four different versions of Wangnangbanhonjeon, the versions of local temples and the manuscript version had similarities in the character shape, and they used both the sharp brush and the round brush. The version of Donghwa temple was close to the round brush, so it had a bold beauty. The version of Hae-in temple used many sharp brushes, so it had a strength of metal and stone. The version of Hwa-eom temple had a character of transition period, so it had a clumsy beauty. Especially, the version of Heungnyul temple was a manuscript, so its character shape converged on the center, and its stroke stretched out. Therefore, its character shape was outstanding.
    Wangnangbanhonjeon has succeeded the style of literati calligraphy since the early 17th century in the calligraphic history of Korean alphabet, and its axes have placed in both the center and the right side. It proved that Korean calligraphy was propagated and there were many people who wrote Korean calligraph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예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