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오현 선시조(禪時調)의 미적 특성 고찰 (Aesthetic Consideration of Jo Oh-hyeon’s Seonsijo(禪時調))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5 최종저작일 2022.02
25P 미리보기
조오현 선시조(禪時調)의 미적 특성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조학회
    · 수록지 정보 : 시조학논총 / 56호 / 175 ~ 199페이지
    · 저자명 : 홍용희

    초록

    조오현의 시조 세계는 선시조를 통해 본래무일물(本來無一物)의 세계를 궁극으로 추구한다. 선시조(禪時調)는 선(禪)과 시조의 합성어이다. 시조는 문자에 의존하는 양식이라면 선(禪)은 불립문자(不立文字)를 강조한다. 그렇다면 이처럼 상반된 속성을 지닌 선(禪)과 시조가 어떻게 공존할 수 있을까? 이것은 조오현이 시조 장르를 통해 선(禪)의 심지를 밝혀서 본래무일물(本來無一物)의 세계를 구현하게 된 배경과 연관된다.
    이 글은 이점을 밝히기 위해 시조 장르의 속성이 성리학적 이념의 요체인 거경궁리(居敬窮理)를 지향한다는 점을 탐색하였다. 시조가 집중하는 성리학의 이(理)의 세계는 선(禪)의 궁극에 해당하는 본래무일무(本來無一物)와 상통한다. 물론 선(禪)의 본래무일물(本來無一物)은 성리학의 이(理)와 달리 본연지성(本然之性)의 본체마저 부정하는 절대의 차원이다.
    조오현은 시조를 통해 선(禪)을 추구하는 배경이 여기에서 찾아진다. 이점은 또한 선(禪)이 그의 시조 세계의 심지이며 동시에 형식과 내용 가치의 궁극이라는 점을 가리키기도 한다. 특히 그의 이러한 시조 세계는 형식뿐만 아니라 내용에 있어서도 득의망상(得意忘象)의 미의식을 통해 구현된다. 특히 그의 득의망상의 미의식은 마음의 수행을 통해 외적 대상은 물론 내적 주체까지 무화시키는 경지를 지향한다. 그리하여 그의 득의망상의 미의식은 마음 공부로 집중된다. 여기에 이르면 그가 스스로 “중은 끝내 부처도 깨달음까지도/내동댕이쳐야하거늘/대명천지 밝은 날에/시집이 뭐냐”고 일갈하는 연유를 좀 더 분명하게 짐작할 수 있다. 그의 본래무일물(本來無一物)을 지향하는 득의망상(得意忘象)의 미학에는 “깨달음”과 “부처”와 “시집”까지도 차별 없이 포괄되고 있는 것이다. 그의 시조가 가없이 활연한 까닭이 여기에 있다.

    영어초록

    Jo Oh-hyeon ultimately pursues the world of original intangible things (本來無一物) through his ancestors. Seonsijo (禪時調) is a compound word of Seon (禪) and Sijo. While Sijo is a style that relies on letters, Zen emphasizes non-literate characters. How then can Zen (禪) and Sijo, with these opposite attributes, coexist? This is related to Jo Oh-hyeon’s realization of the world of original intangible things via the core of Zen through the Sijo genre.
    To reveal this point, the article examines the fact that the attributes of the Sijo genre are directed toward Geogyeonggung-ri (居敬窮理), the essence of Neo-Confucian ideology. The world of Li (理) in Neo-Confucianism, as the focus of the Sijo, is in line with the original intangible things of Zen. Of course, unlike the Li of Neo-Confucianism, the original intangible thing of Zen (本來無一物) is an absolute dimension that denies even the very essence of original nature (本然之性).
    The background of Jo Oh-hyeon's pursuit of Zen through his ancestors is found here. This simultaneously indicates that Zen is the core of his ancestral world and is ultimate in form and content. His eponymous world is realized through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the delusion of gain (得意忘象), not only in form but also in content, aiming to a state of nullifying both the external and the internal subject through mental practice. Thus,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his delusion of profit is focused on studying the mind. Thus, one can more clearly guess the reason why he is arguing, “In the end, even the Buddha and even enlightenment/I have to throw myself away/On a bright day in Daemyungcheonji/What is the book of poetry?” The aesthetics of his delusion of gain (得意忘象), which aims for the original one-of-a-kind thing, indiscriminately encompasses “enlightenment”, “Buddha” and “book of poetry”. It is the reason why his ancestors were so activ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