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역사인물의 현대적 기억으로서 문화화 (Culturalization as a Modern Memory of Historical Characters)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4 최종저작일 2018.01
23P 미리보기
역사인물의 현대적 기억으로서 문화화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과 문화 / 91호 / 275 ~ 297페이지
    · 저자명 : 이혜경

    초록

    이 글은 역사 속의 애국적 인물을 현대적인 의미로 되살려 그들을 기억하고 기념하는 방안으로서 문화화에 대한 단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여기서의 문화화란 기억하고 기념하는 그 자체의 시간을 동시적으로 공유하는 의미를 함유하는 것이기도 하다. 역사는 단순히 지나간 시간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현대에서 끊임없이 되돌아봐야 할 우리의 소중한 기억이다. 역사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 또한 누군가의 기억 속에서는 여전히 살아 있다. 물론 여기서의 기억은 다층적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현재의 우리를 있게 한 역사 속의 인물들은 수없이 많은 기준에 의해서 나누어질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사람마다 다른 기억이 구유된다. 특히 애국적 인물들에 대한 현대성을 띤 문화화의 새로운 방향을 수립하는 일은 언제나 나라의 중요한 과제였다. 그만큼 다양한 방식이 동원되었고, 실현되었다.
    그럼에도 시간의 흐름에 따른 기술의 발전과 문화의 변화는 그 하나의 시점과 방안에 머물게 하지 않는다. 그렇기에 이 글은 여러 나라의 문헌을 살피고, 웹 사이트를 방문해 현재의 모습을 헤아려 보고자 했다. 이 같은 작업은 만들어진 기록을 분석하고 해석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우리의 가치 있는 발걸음이 미래의 거울이 되게 하여 현재라는 시간 또한 역사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순환적 모습을 상정하는 일이기도 하다.
    사람들은 역사 속에서 존재한다. 흥미롭게도 이러한 역사는 문화 콘텐츠의 보고이다. 역설적으로 문화란 늘 역사적인 인물에 의해 재생되었고, 현대는 디지털 세계 속에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그것을 보존하는 경우도 생기기 마련이다.
    문화 콘텐츠라는 말은 문화적 의미에서 비롯된 것으로 그 중심에는 역사와 사람들이 있다. 역사는 시대가 배경이 된 인물의 무대였다. 주인공은 시대상을 드러내고, 문화를 만들어 냈다. 문화화는 현대가 그들을 기억하는 방식이다.
    역사와 인물은 우리 삶을 있게 하고, 윤택하게 하는 콘텐츠로 문화를 이루는 두 가지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여기에 애국적 인물과 사적은 그 정신과 성취를 촉진케 하는 두 가지 중요한 축이다. 이를 통해 문화적 재현으로서 콘텐츠의 발견을 선도하는 축제와 함께 많은 기념관이 여러 지역에서 운영되고 적지 않은 성과를 얻고 있다. 이런 과정에서 등장하는 애국적 인물이야말로 더 큰 호기심과 관심을 촉발시킬 수 있다.
    이글이 역사 속에서 애국적 인물을 발견하고, 역사와 인물이 함께 하는 문화화의 내용을 개발하는 의미를 검토해 앞으로의 방향 설정을 위한 작은 토대가 될 수 있기를 바란다. 역사와 애국적인 인물은 콘텐츠 개발의 원천이다. 오래도록 기억하며 기리는 역사의 인물이란 곧 우리가 보여주는 문화화의 재해석에도 살아있는 셈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intends to provide a basis for culturalization as a way to remember and memorialize the patriotic characters in history. This work will have a modern meaning. History does not simply mean time past. It is our precious memory that we have to constantly look back on in modern times. The characters in history are still alive in someone's memory.
    The study was developed literature data research and visiting various sites on the Internet. By analyzing and interpreting the records made in the future to help the research. As a result, history is learned that the current mirror of our valued footsteps. People are into history. History is a treasure trove of cultural content. To these historical figures with us, it may be necessary to preserve them in digital databases. The phrase cultural contents stem from the meaning of culture is used to refer to various things.
    At the heart of cultural contents are history and people. History created culture and at the center of it were always characters. History and characters have been reborn into contemporary cultural contents in our lives. Figures and historic sites are two very important axis that can promote the spirit and achievement of patriotic figures. Through this, each regions operate festivals and memorial halls in leading the discovery of cultural contents, and are able to gain much result in reality.
    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focus more on biography of figures in accordance with more expertised and realistic life of patriotic figures. In particular, patriotic figures can prompt curiosity and attention.
    The content included, discovers patriotic heroes and examines the meaning of developing contents accordingly, and takes on a meaning in being the groundwork for establishing future direction. History and patriotic figures are a source of content development. This article will help to re-interprets the characters in the history reborn as a culturaliz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