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빤짜 꼬샤(Pañca Kośa)와 인드라망(Indra’s Net)을 통한 메를로-퐁티(Merleau-Ponty)의 몸철학 이해 (Understanding of Merleau-Ponty’s Body Philosophy through the Concepts of Pañca Kośa and Indra’s Net)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02 최종저작일 2016.11
32P 미리보기
빤짜 꼬샤(Pañca Kośa)와 인드라망(Indra’s Net)을 통한 메를로-퐁티(Merleau-Ponty)의 몸철학 이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인도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도연구 / 21권 / 2호 / 43 ~ 74페이지
    · 저자명 : 김영진

    초록

    메를로-퐁티는 몸에 대한 집중적이고 치밀한 논의를 전개하였는데, 이는 오늘날 ‘몸철학’이라고 불린다. 이 논문은 메를로-퐁티의 몸철학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두 개념, 즉 ‘육체-정신 통합체로서의 몸’과 ‘대상-지평 구조(la structure point-horizon)’에 관심을 집중하며, 인도철학의 빤짜 꼬샤와 인드라망에 의존하여 이 개념들에 대한 좀더 쉬운 설명을 얻고자 시도한다.
    첫째, 메를로-퐁티는 육체와 정신의 통합을 주장하며, 이에 대한 하나의 근거로서 환상지 증후군(le membre fantôm)을 제시한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메를로-퐁티의 주장을 인도철학의 빤짜 꼬샤 개념과 함께 살펴본다. 인도철학에는 몸을 육체와 정신의 연속체로 보는 오랜 전통이 있으며, 여러 학파에서 육체-정신의 통합체로서의 몸을 설명하는 다양한 개념들을 발전시켜왔다. 이러한 개념들 중 하나인 빤짜 꼬샤는 기원전 5-6세기의 문헌에 나오는 오래된 개념으로서, 몸의 다양한 층위에 대한 비교적 쉬운 설명을 제공한다. 메를로-퐁티가 몸이 갖는 여러 속성들을 구별하여 개념화하지 않는 것과 달리, 빤짜 꼬샤는 몸의 여러 층위를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이들을 비교적 평이한 용어로 기술하는데, 이는 몸이 갖는 육체적 측면과 정신적 측면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둘째, 대상-지평이란 하나의 대상이 주변의 다른 대상들을 자신의 지평으로 동원하는 구조를 뜻하는데, 메를로-퐁티는 이 대상-지평 구조를 통해 몸과 세계의 상호얽힘(chiasme)을 설명한다. 메를로-퐁티가 이처럼 추상적이고 낯선 용어를 사용하는 것과 달리, 인드라망은 비교적 쉬운 비유를 통해 세상과 몸의 관계를 이야기한다. 인드라망은 몸을 구슬에 비유함으로써 하나의 몸이 자기 자신을 포함한 전 세상을 어떻게 비추고 있는지를 설명한다. 이 인드라망을 표현한 그림은 부분과 전체가 서로 얽혀 있는 모습을 한눈에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빤짜 꼬샤와 인드라망은 메를로-퐁티의 몸철학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낮은 문턱을 제공한다. 육체와 정신의 분리를 겪었던 서양철학과 달리, 인도철학에서는 몸을 정신과 육체의 통합체로서 다루는 여러 개념들이 큰 단절 없이 오랫동안 이어져 내려왔다. 빤짜 꼬샤와 인드라망은 이러한 전통 속에서 갈고 닦인 개념들이며, 이들은 비교적 평이한 용어와 세련된 비유를 통해 통합적 몸에 대한 이해에 기여한다.

    영어초록

    Merleau-Ponty devoted himself to the study of body, which is called ‘Body Philosophy’ today. This study focuses on two basic concepts of Merleau-Ponty’s body philosophy, that is, ‘a body which is considered as the unity of physical body and mind’ and ‘the object-horizon structure’.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get a better understanding for these concepts through such concepts as Pañca Kośa and Indra’s Net from Indian religious and philosophical traditions.
    First, Merleau-Ponty suggests that physical body and mind can not exist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nd demonstrates it through neurological phenomena like the phantom limb syndrome. Because it helps to understand Merleau-Ponty’s argument about body, this study is interested in Pañca Kośa, one of several Indian religio-philosophical concepts which regard body as the unity of physical body and mind. Whereas Merleau-Ponty does not specifically conceptualize multi-layers of body, the theory of Pañca Kośa divides Śarīra (body in Sanskrit) into five different layers. This theory also gives to these layers specific and descriptive names composed of non-technical words, thereby making the dual aspects of Śarīra, or the physical aspect and spiritual aspect, easily understandable Second, according to the object-horizon structure, when we look at an object, the surrounding objects become the horizon of this object. Merleau-Ponty argues that we can never identify an object without its horizon because an object is based on its horizon and vice versa. He explains the interpenetration of body and world through the concept of object-horizon. But it is not easy to understand this abstract and unfamiliar concept. Therefore, I try to explain the object-horizon structure by using the metaphor of Indra’s Net, an endless net with numberless pearls. An individual pearl in this net reflects all the other pearls including itself, and such a reflection vividly symbolizes the interpenetration of body and world.
    In conclusion, whereas Western philosophy suffered from a sharp division of physical body and mind, Indian philosophy has maintained long and continuous traditions which consider human body as the continuum of physical body and mind. The concepts of Pañca Kośa and Indra’s Net, developed and elaborated in Indian philosophical traditions since the ancient times, provide an easy access to Merleau-Ponty’s body philosophy through plain, descriptive terms and sophisticated metapho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