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역사에서 민족사로 —<滿洲發達史>(1915)와 <滿洲國史通論>(1940)를 통해 본 이나바 이와키치(稻葉岩吉)의 만주사 연구— (From Regional to National History : Inaba Iwakichi’s Study on Manchurian History through an Analysis of The Developmental History of Manchuria (1915) and The History of Manchukuo (1940))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7 최종저작일 2019.04
35P 미리보기
지역사에서 민족사로 —&lt;滿洲發達史&gt;(1915)와 &lt;滿洲國史通論&gt;(1940)를 통해 본 이나바 이와키치(稻葉岩吉)의 만주사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만주학회
    · 수록지 정보 : 만주연구 / 27호 / 157 ~ 191페이지
    · 저자명 : 정상우

    초록

    이 논문은 20세기 전반기 일본인 연구자들의 만주사 연구를 이나바 이와키치(稻葉岩吉, 1876~1940)의 만주사 연구, 특히 그의 초기 저작인 <滿洲發達史>(1915)와 마지막 저작인 <滿洲國史通論>(1940)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이나바는 만몽불가분이라는 대전제 위에 만주사를 구상하였다. 이는 만주와 몽고의 일체화 또는 만주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몽고의 세력은 물론 만몽에 대한 중국의 태도를 함께 고려해야 한다는, 두 가지 의미를 갖는 것이었다. 특히 <滿洲發達史>에서는 만주사를 만주만이 아닌 만주-중국-몽고를 축으로 하는 몇 개 세력들의 역학관계 속에서 이해해야 한다며, 만주의 역사를 이러한 세력들의 관계 속에서 정리하려 했다. 이는 역사적으로 새외민족들을 중국 왕조와는 별개인 하나의 정치 세력으로서 상정하는 것이자 만주사는 이를 둘러싼 여러 민족들의 세력 관계 속에서만 의미를 띤다는 시각이기도 했다. 즉 연구의 초기 이나바에게 만주는 동북아시아의 여러 세력들이 교차하는 지역이었으며, 그 역사 역시 만주라는 지역의 역사로서 서술되었다고 하겠다.
    이에 반해 만주국 건국 이후의 저술인 <滿洲國史通論>에서는 ‘만주민족’을 설정하여 만몽의 민족을 모두 하나로 아우르고 만주사를 ‘만주민족’의 변화에 따라 구성하고자 하였다. 즉 만주사를 지역사에서 민족사로 전환하여 서술하려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이나바는 만주와 몽고의 정치적 일체화를 특기하는 한편 ‘만주민족’의 기원을 숙신으로 소급하고 ‘만주민족’의 문자, 풍습을 강조하며 漢族․漢文化와 구별되는 ‘만주민족’만의 고유문화-國粹를 거듭 강조하였다. 이렇게 북방민족의 고유문화를 발견․강조한 것은, 그 의도와는 별개로 의미가 있는 것이었지만 이를 넘어서 만몽의 민족적․정치적 일체화를 강조하고 ‘만주민족’의 문화적 고유성을 드러내는 것은 국제적으로 인정받지 못한 만주국의 역사적 당위성을 드러내기 위한 것이자, ‘오족협화’를 주창하며 몽고와의 국경선에서 노몬한 전투가 한창이던 당시 일본 제국이 처한 상황에 대한 즉각적인 응답이었다고 하겠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Japanese historians’ studies of Manchurian history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with a focus Inaba Iwakichi’s (稻葉岩吉, 1876- 1940), The Developmental History of Manchuria (滿洲發達史, 1915) and his last work, The History of Manchukuo (滿洲國史通論, 1940).
    Inaba conceived the history of Manchuria premise on the view that Manchuria and Mongolia were closely connected (滿蒙不可分). This signified two assumptions: first, that both Manchuria and Mongolia had fundamental connections leading to integration; and second, that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Manchuria, consideration of the inter-relations between Manchuria, Mongolia and China was essential and closely intertwined. In The developmental history of Manchuria, in particular, Inaba suggested that Manchurian history resulted from the dynamics interaction of forces of Manchuria, Mongolia and China. As such, frontier tribes were viewed as separate from Chinese dynasty. In other words, in his early work, Manchuria’s history was one of the region’s history.
    In contrast, in the The History of Manchukuo, written after the founding of Manchukuo, Inaba suggested a “Manchurian people” to unite the people of Manchuria and Mongol and organized Manchurian history in like with an ethnic conceptualization “Manchurian people.” In other words, he converted Manchurian history from a regional to ethnic-centered national one to this end, Inaba not only took note of the political unity of Manchuria and Mongolia, but also emphasized the unique language and culture of the “Manchurian people.” This new emphasis, apart from Japanese historian’s intentions, exposed the historical legitimacy of the founding of the Manchukuo—one that emphasized national and political unity of Manchuria and Mongolia that highlighted the cultural uniqueness of the “Manchurian people.” It additionally served as a response to Japanese imperialism, which had propagandized the “Concordia of Five Races” and was in the midst of fighting on the border with Mongolia at the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만주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