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선수의 퍼블리시티권 보호 (Right of Publicity von Sportler)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12.11
26P 미리보기
선수의 퍼블리시티권 보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스포츠엔터테인먼트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 / 15권 / 4호 / 313 ~ 338페이지
    · 저자명 : 김민중

    초록

    미국에서 지금으로부터 60여년 전에 처음 인정된 퍼블리시티권이라고 하는 개념이 현재는 세계 어느 국가에서든 스포츠선수를 비롯한 유명인사의 권리로 인정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1995년년 무렵부터 판례나 학설을 통하여 퍼블리시티권을 긍정하는 견해가 나타나 현재는 선수와 관련된 퍼블리시티권이 다투어진 사건도 적지 않고, 점차 증가될 전망이다. 물론 퍼블리시티권의 정의에서부터 아직도 여러 가지 논란이 있으나, 우선 퍼블리시티권이란 「사람이 자기의 성명이나 음성, 서명, 사진, 이미지, 외관, 특징적인 모습이나 동작(distinctive appearance and gesture), 독특한 버릇, 개인정보, 자신을 특정적으로 연상시키는 물건 등을 상업적 혹은 기타의 방법으로 이용하고 통제할 수 있는 권리」를 가리킨다고 이해하여야 한다. 그리고 미국에서는 이미 많은 주에서 퍼블리시티권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선수 등의 퍼블리시티권을 효율적으로 보호하고 있다. 역시 국내에서도 선수의 퍼블리시티권을 가장 이상적으로 보호하기 위하여는 조속한 입법이 필요하다고 본다.

    영어초록

    In den Vereinigten Staaten von Amerika hat die Entwicklung des sogenannten "Right of Publicity"(Recht zur Veröffentlichung) schon im Jahre 1953 begonnen. Das Right of Publicity ist kurz gesagt das exklusive Recht, die Ausnutzung des kommerziellen Wertes seiner Persönlichkeitsmerkmale zu kontrollieren. Das Right of Publicity ist ein property right, das übertragbar und auch vererblich ist.
    Sportler gehören neben Filmstars und Fernsehstars zu denjenigen Persönlichkeiten mit dem höchsten Vermarktungspotential. So ist der Sportler in der Lage, hohe Erlöse aus der Verwertung bzw. Vermarktung seiner 'publicity values'(oder Persönlichkeiten) zu erzielen.
    Diese Arbeit beschäftigt sich nun mit Right of Publicity von Sportler. Im Mittelpunkt dieser Arbeit steht die Frage, ob und bis zu welchem Grad sich ein Sportler die Verwendung seiner 'publicity values' zu Werbezwecken ohne Einwilligung gefallen lassen muss. Insbesondere in dieser Arbeit werden die Voraussetzungen und einzelnen Elemente einer Verletzung des Right of Publicity von Sportler erläutert unter besonderer Berücksichtigung der Frage, in welchem Umfang die abgebildete oder genannte Person identifizierbar sein muß. Diese Arbeit beantwortet auch die Frage, wer und was durch das Right of Publicity von Sportler geschützt i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스포츠엔터테인먼트와 법”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