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Propranolol의 용량에 따른 식도 정맥류 재출혈 예방 (Maximally Tolerable Versus Low Doses of Propranolol in the Prevention of Esophageal Variceal Rebleeding)

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4.01
7P 미리보기
Propranolol의 용량에 따른 식도 정맥류 재출혈 예방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내과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내과학회지 / 86권 / 1호 / 42 ~ 48페이지
    · 저자명 : 권혁용, 하경호, 김선영, 박진홍, 김지숙, 김병석, 이창형

    초록

    목적: 베타차단제는 간경변 환자의 식도 정맥류 재출혈 예방을 위해 널리 이용되어져 왔다. 하지만 베타 차단제를 사용하더라도 문맥압 감소가 충분하지 않으면 식도 정맥류의 재출혈을 유발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최대 내약 용량군과 저용량군 사이에 식도 정맥류 재출혈률을 비교하는 것이다.
    방법: 식도 정맥류 출혈로 응급 내시경적 정맥류 결찰술을 시행 후 베타차단제를 1개월 이상 복용하였던 95명이 등록되었다. 혈역학적 안정이 이루어진 뒤 모든 환자는 propranolol을 투약하였는데 49명은 최대 내약 용량(154.7 ± 10.1 mg/day)을 나머지 46명은 저용량(39.1 ± 5.8 mg/day)을 복용하였다. 식도 정맥류 재출혈 발생을 연구의 종료 시점으로 정하였다.
    결과: 최대 내약 용량군과 저용량군 사이에 기본 특징을 비교했을 때, 나이, 성별비, 간경변의 원인, 복수와 뇌증의 유병률, 혈청 크레아티닌, 추적 기간은 차이가 없었다. 최대 내약 용량군에서 저용량군에 비해 Child-Pugh 등급, MELD 점수, 혈청 빌리루빈이 낮았고 프로트롬빈 시간은 짧았으며 베타차단제의 감량률은 높았다. 최대 내약 용량군에서 식도 정맥류 재출혈률은 저용량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38.8% vs. 67.4%, p = 0.007). 식도 정맥류 재출혈에 관여하는 인자로는 Child-Pugh 등급과 propranolol의 용량이 단변량 분석에서 유의한 인자였다. 그러나 다변량 분석에서는 propranolol의 최대 내약 용량만이 식도 정맥류 재출혈을 감소시키는 유의한 인자였다.
    결론: 식도 정맥류 재출혈 예방을 위한 propranolol의 효과를 용량에 따라 비교해 보았을 때 최대 내약 용량군이 저용량군보다 우수하였다. 본 연구는 식도 정맥류 재출혈을 예방하기 위해 propranolol을 최대 내약 용량으로 투약하는 것이 중요함을 보여주었다.

    영어초록

    Background/Aims:Beta-blockers have been used extensively to prevent esophageal variceal (EV) rebleeding in patients with liver cirrhosi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rate of EV rebleeding according to the dose of beta-blocker, between maximally tolerable dose (MTD) and low dose (LD) groups.
    Methods:A total of 95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emergent EV ligation for acute EV bleeding and have since then taken propranolol for 1 month or longer, were enrolled. Forty-nine patients took propranolol at the MTD (154.7 ± 10.1 mg/day), and 46 patients took propranolol at the LD (39.1 ± 5.8 mg/day). The end point was occurrence of EV rebleeding.
    Results:The MTD and LD groups were well matched for age, sex, etiologies for cirrhosis, presence of ascites or encephalopathy, serum creatinine levels, and follow-up periods. The MTD group showed relatively lower Child-Pugh scores, mode for end stage liver disease (MELD) scores, and serum bilirubin, as well as shorter prothrombin time, but a higher dose reduction rate, as compared with the LD group. The rate of EV rebleeding was lower in the MTD group than the LD group (38.8% vs. 67.4%, p = 0.007). In the univariate analysis, the risk factors for EV rebleeding were Child-Pugh classification and dose of propranolol. However, the dose of propranolol was only a significant risk factor for EV rebleeding according to the multivariate analysis.
    Conclusions:The effect of propranolol on the prevention of EV rebleeding was superior in the MTD group than in the LD group.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내과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