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헤겔의 ‘시민사회’론 (Hegel’s Theory of ‘Civil Societ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08.11
35P 미리보기
헤겔의 ‘시민사회’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철학사상 / 30호 / 95 ~ 129페이지
    · 저자명 : 백종현

    초록

    헤겔의 시민사회론은 “외면적 국가”의 국면인 근대 ‘시민사회’에 대한 비판적 분석이자 근대의 정치-경제적 시민사회가 이성성을 현실화해 진정한 국가로 고양해 가는 과정에 대한 서술이다. 가사(oikonomia)에 매이지 않은, 자유롭고 독립적인 공민(citoyen)들만이 시민으로서 공공의 일(res publica)에 참여할 수 있는 그리스-로마적 국가(polis, civitas)에서 ‘시민사회(civilis societas)’는 곧 ‘국가’로 이해되었다. 그러나 근대 산업사회의 구성원은 “자기 자신의 이익을 자기의 목적으로 삼는 사인(Privatperson)”으로서의 ‘시민(bourgeois)’이다. 이들을 성원으로 갖는 ‘시민사회’는 아직은 보편적 의지의 현실태인 진정한 의미에서 국가라 할 수 없다. 그러나 개인들이 시민사회의 체험을 통해 단지 이기적으로 자신을 보존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특수한 목적을 보편적인 목적으로 고양시킴으로써 하나의 전체가 될 때 ‘국가’는 비로소 구체적으로 실현된다. 헤겔의 시민사회론은 그 과정을 서술한다. 헤겔은 근대적 ‘시민사회’를 다수의 인격들로 특수화한 개별자들이 “절대적 통일” 없이 “원자론의 체계”를 이루고 있는 “비상국가”의 형태로 본다. 시민사회는 상호간에 ‘나’를 목적으로 ‘너’를 수단으로 삼는 이기적인 개인들의 “전면적인 상호 의존체계”로, 거기에는 “만인의 상호의존의 전면적인 뒤엉킴”이 있다. 각 개인은 자신의 생존과 안녕 및 권리 확보를 의도하되, 그러나 그것은 만인과의 연관성 속에서만 실현된다. 그래서 시민사회는 ‘필요욕구의 체계’로서 ‘정치경제 체제’, “자연적인
    필요욕구와 자유로운 의사에 의해 조정된 체계”인 “법률”에 기반한 ‘사법 제도’, 필요 충족의 사적 행위가 타인에게 손상을 입히거나 불법을 저지를 우연성에 대한 배려와 특수 이익으로부터 공동 이익을 도모하기 위한 ‘경찰행정 및 직업단체’ 등의 “세 요소”를 갖는다. ‘시민사회’는 아직 윤리적 현실태는 아니지만, 시민사회에서의 개인의 자각과 발전 체험이 ‘국가’를 보편 속에 특수가 묻혀버린 가족의 연장선상에 있는 ‘족장 국가’가 아니라 특수와 보편의 구체적 통일체인 ‘입헌 국가’로 성립 가능하게 한다. 시민사회의 도야과정에서 “개인들과 계층들의 관계, 그리고 개인들 상호간의 관계, 또 개인들의 중심과의 법적 관계”의 규정이 생기고, 이 규정의 보편화가 ‘국가의 틀’ 곧 헌법을 이루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시민사회는 가족과 함께 국가의 토대이다. 국가는 가족과 시민사회의 지양적 통일체, “개별적 전체”로서, 국가는 이를테면 가족적 시민사회 내지는 시민사회적 가족이다.

    영어초록

    Hegel’s theory of civil society is not only a critical analysis of a modern ‘civil society’ state, but also a description of dialectic processes where a political-economic society actualizes its rationality.
    Hegel describes a ‘civil society’ as the form of state where individuals particularized into a number of persons organize ‘the system of atomistics’ without ‘absolute unity’. It is a kind of system of all-round interdependence where all selfish individuals mutually regard ‘I’ as the purpose and ‘You’ as the means, so there is an interlinked dependence of each on all. Each individual of a civil society intends to maintain his/her life, wellbeing and guarantee of rights. All these are only actualized in connections with all people; at this very moment, a individual becomes a member of the bourgeois. They consider this ‘society of bourgeois’ as a ‘state’.
    So, the state as a civil society has ‘three elements’: The first one is the ‘system of political-economy’ as a ‘system of natural needs’; The second one is the ‘administration of justice’ based on ‘law’ that is an adjusted system by natural needs and free will; and the final one is the ‘police and corporation’ that intends to promote the public interest against the private interest by means of considering some cases that are necessary and sufficient personal acts that injure others or infringe upon a law.
    Insofar as a civil society fundamentally demands that its needs should be a system filled with labor, therein, a great number of machines which facilitate and abridge labor, and enable one man to do the work of many gradually comprise the central core of labor. At one time, as a subject of labor, man who ascribed his/her products to himself/herself, as a result, became fallen to outskirts of the machinery as the means of labor. So, in a ‘civil society’ mediated by products of labor, it is an unavoidable conclusion that human beings are estranged and alienated.
    Social contractors think that a ‘civil society’ organized by individuals who take part in the contract, namely the bourgeois, will constantly guarantee their ‘freedom’ and ‘equality’, but it is a mere illusion; in actually, they are not free and equal in their civil society. Although a ‘civil society’ achieved an accumulation of wealth in proportion to an advancement of industry like in modern western industrial society, there appeared several negative results, such as disproportionate wealth being concentrated in a few hands, the rabble coming out, and so forth. A ‘civil society’ where, on the one hand, there always appears an overproduction, and on the other hand, a scarcity of necessities, is confronted with a severe problem; that it may display an excess of wealth, this ‘civil society’ is not wealthy enough to deal with an excess of poverty and formation of a rabble. The police of state settles such an irrationality by universal social policies institutionally.
    A ‘civil society’ is the hard way of, or the process of education of a divided spirit into individuals, therein, by imposing this limitation and finitude upon itself in the shape of natural needs and the continuum of this external necessity, and, in the very process of adapting itself to these limitations, by overcoming them, finally it gains its objective existence within them.
    In the process of being organized for ‘civil society’, ‘administration of justice’ and ‘police and corporation’ promote an ethical idea to be actualized, namely, they make a consequential moment by which ‘justness_[das Rechte]’ becomes the actual as ‘the law[das Recht]’ and ‘the right[das Recht]’. Consequently, a ‘civil society’ is not only a market-society where all selfish individuals take part according to their will for their profit, but also a politics-society that has self-regulation and institutions to manage the public interest. That is, it means that a ‘civil society’ makes a step forward into an ‘ethical society’.
    A ‘civil society’ is not an ‘ethical society’ yet. However, individuals’ awakening and experiences of growth in a ‘civil society’ make it possible for a state to be not a ‘patriarchal state’ based on a family system, but a ‘constitutional state’. In other words, in the process of being educated for a ‘civil society’, there appear a lot of regulations concerning the relations between individuals and classes, and those between individuals; further, the legal relationships of individuals to them, and of these estates to one another and to their centre, and all such regulations make a ‘framework of state’, namely constitutions. In this ‘state’, finally, each individual becomes a person, i.e. citoyen, by acquiring his/her concrete freedom.
    As has been above mentioned, Hegel’s theory of state is an earnest theory of relations between essence and appearance, the universal and the particular, the total and the individual, and so fort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