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프로이트 저작의 초기 한국어 번역 연구 -백상창의 『성욕론』과 이용호의 『선집』을 중심으로- (A Study on Early Translation of Freud’s Works in Korea - With Focus on Sang-chang PAEK’s Theory of Sexual Desire (性慾論) and Yong-ho LEE’s Selected Works (選集) -)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2 최종저작일 2017.05
30P 미리보기
프로이트 저작의 초기 한국어 번역 연구 -백상창의 『성욕론』과 이용호의 『선집』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인문과학 / 65호 / 219 ~ 248페이지
    · 저자명 : 이정민

    초록

    본 연구는 프로이트의 저작이 최초로 한국어로 번역되었을 때의 맥락을 되짚어 감으로써 한국과 한국어라는 장에 프로이트의 이론이 정착되어 갔던 경위를 고찰하고자 한다. 이론이 부분적으로 인용되었고 완전한번역서나 번역논문이 존재하지 않았던 식민지 시기와는 달리, 해방 후에는 본격적으로 프로이트의 저작이 번역되어 발간되었다. 이중 특징적인저작이 백상창의 『性慾論』(1956)과 이용호의 『선집』(1958-1972)으로, 전자가 의학 목적으로서의 번역이라고 한다면 후자는 그간 프로이트의 이론이 응용되었던 분야인 의학, 예술(특히 문학), 사회라는 수요에 의거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양상이 현재도 거의 유사하게 지속되고 있다는 점에서 초기 한국어 번역본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번역이라는 측면에 있어서는, 조사결과에 따르면 이 두 편의 번역본은 독일어나 영어로부터 번역했다는 번역자의 주장과는 달리 일본어로부터의 중역으로 판단된다. 이는 역사적인 측면에서 반일감정의 문제, 그리고 식민지 시대 일본에 의존적이었던 지식장의 성격, 한국어로 된 학술용어의 미정착 등을 이유로 꼽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원문과 번역문을 무작위로 선정하여 대조해 봄으로써 보다 명확한 논의를 가능하게 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서 프로이트 수용사의 단편을 그려 보고자 하는 바이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how the Freudian theory of personality was adopted in Korea and Korean language by reviewing the context of the times when Freud’s works were initially translated into Korea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of Korea (1910-1945), the theory was only partially introduced by the Japanese academic circles with no translation found yet.
    After the Korean War (1950-1953), translation of Freud’s works started to be published in earnest with Sang-chang PAEK’s Theory of Sexual Desire (性慾 論, 1956) and Yong-ho LEE’s Selected Works (選集, 1958-1972) as the notable outcomes. Both translations could represent what kind of purpose had Koreans with regard to the theory at that time. The former, PAEK’s translation (especially the selection of Freud’s papers) seems to have focused much on a medicinal purpose, considering the career of the translator as a psychiatrist. On the other hand, the latter, LEE’s translation was aimed at meeting the demand of the general readers who were interested in the theory itself or arts (especially literature) as well as social and cultural theories. This can be regarded as an important feature in the reception history of the Freudian theory in Korea considering that a similar trend still continues to exist as well. From this context, the acceptance of Freud in the early 1950s was the origin of the aspects of the present reception and it shows the general forms of usages in the Freudian theory which were constructed historically.
    On the aspect of translation, the research randomly chose original (German) and English, Japanese, and Korean texts and compared the translated texts with them,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ource language. Unlike translators’ claims that their respective books had been translated from original German or English texts, their translations were estimated to have been the retranslations based on Japanese translations.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y did not mention the source texts correctly, due to the possible conflict resulting from the anti-Japanese sentiments in society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and the reliance of the domestic academic field on the Japanese counterpart at that time. And the terms, which would be the basis of human thoughts, were directly imported from Japan as well. (Most of the terms are still used nowadays.) In conclusion, the early translations of Freud’s works in Korea still remained in the magnetic field of Japan and Japanese language, even though they gained independence and established sovereignty: This can be viewed as a broad landscape of the academic activities in the 1950s in Korean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과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