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미얀마 군부의 로힝자족 탄압과 대응방안 (The Oppression of the Rohingya people by the Myanmar's Military and its Countermeasures)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1 최종저작일 2020.04
44P 미리보기
미얀마 군부의 로힝자족 탄압과 대응방안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계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 사회과학연구 / 39권 / 1호 / 159 ~ 202페이지
    · 저자명 : 이준성, 정한웅

    초록

    이 글의 목적은 ‘제도로서의 군부’에 의해 자행되고 있는 로힝자족에 대한 탄압 사태 고찰을 통하여 어느 정도 인권 침해를 초래하였는지와 이에 대한 진상규명과 책임자에 대한 처벌, 그리고 국제사회 및 국내의 대응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로힝자족 탄압의 원인에는 영국의 식민유산이 남긴 역사적 앙금과 다수의 불교도국가에 이슬람을 믿는 로힝자족 간의 갈등이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다. 미얀마 내에서 벌어진 로힝자족 탄압 문제를 조사해온 유엔 진상조사단은 2018년 8월 27일 보고서에서 미얀마군부가 인종 청소 의도를 갖고 대량학살과 집단 성폭행을 저질렀다고 밝혔다. 조사단은 또 미얀마군의 민 아웅 흘라잉 총사령관과 다른 다섯 명의 장성을 국제법에 따라 중범죄 혐의로 법정에 세워야 한다고 촉구했고, 군부가 로힝자족 주택에 불을 지르고, 어린 아이들을 불길에 던지거나 여성들을 성폭행하는 등의 각종 범죄가 기록된 군부의 유혈탄압 내용을 정리한 보고서를 2019년 8월 10일 냈다. 이와 같은 유엔의 노력으로 국제 여론은 크게 동요되었고, 2019년 11월 서아프리카 무슬림 국가인 감비아가 이슬람 협력기구를 대신해 미얀마를 집단학살 범죄의 예방과 처벌에 관한 협약을 위반한 혐의로 국제형사재판소(ICC)에 제소하였다. 하지만 미얀마의 정치적 방향은 정해진 것으로 보이며 정부, 군부, 그리고 거의 전 국민이 로힝자족 사태에 대해서는 단결되어 있다. 이를 뒷받침하듯이 2019년 11일 미얀마의 실권자인 아웅산 수지 국가 고문이 무슬림 소수 민족 로힝자족 집단학살 협의를 받은 미얀마 군부를 변호하기 위해 네덜란드 헤이그 국제형사재판소에서 열린 ‘로힝자 집단학살’ 재판에 서서 미얀마 군부의 학살 혐의를 부인했다. 아무리 국제사회가 로힝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한다 해도 갈등 행위 주체인 미얀마 정부와 군부의 자발적 해결 의지가 없다면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따라서 미얀마 정부는 소수 민족에 대한 열린 마음을 가지고 로힝자족을 미얀마의 국민 일원으로 받아들일 수 있도록 로힝자족의 평화 해결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따라서 미얀마 정부는 로힝자 사태가 더 악화하지 않도록 국제기구와의 협력을 강화해야 하고 군부와 타협을 통하여 로힝자 위기를 원만히 해결해 나가야 한다. 다음은 군부의 완전한 병영 복귀와 민간 우위의 원칙 확립이다. 현재 상황에서 군부는 정치권에서 철수하고 스스로 병영으로 복귀하지 않는 이상 민간정부에 의한 군부 통제는 불가능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헌법 개정이나 군부가 정치에 개입할 여지를 완전히 소멸시키는 조건이 마련되어야 한다. 인권 문제가 지속해서 발생할 경우에는 국제사회의 강력한 경제적 제재조치와 인도적 군사적 개입을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much human rights violations were committed by the military as a system through exploring the violence against Rohingya to reveal the truth, punish those in charge, and induce the countermeasures of international and domestic societies. As causes of the oppression against the Rohingya people, the conflicts between numerous Buddhist counties and Rohingya which believes in Islamic religion as well as historical deposits left as the British colonial heritage play a significant role. The UN Verification Mission in Myanmar which has been investigating the oppression against Rohingya people, reported in an August 27, 2018 reported that the military army committed genocide and mass rape with the intention of racial cleansing. The UN Verification Mission in Myanmar urged military commander Min Aung Hlaing and other five commanders-in-chief of Myanmar's military to be brought to the court for the charges on felony offenses under the international law. It also recorded and published the report that the military set fire to the houses of Rohingya, threw young children into the fire, and committed a wide range of crimes such as the military's bloodshed including sexual assault on women in Aug. 10, 2019. The international public opinion was greatly shaken with the efforts of the UN and the Gambia, a West African Muslim nation, requested to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ICC) to seek the jurisdiction over the charges of the infringement for the Convention on the Prevention and Punishment of Genocide Crimes in Myanmar on behalf of the Islamic Cooperation Organization in Nov. 2019. Myanmar's political direction, however, appears to be fixed, and almost all of the people as well as the government and the military across the entire nation are united in their view of Rohingya people. In support of this, Aung San Suu Kyi, a state advisor of Myanmar and power-holder denied the charges of military massacre for Rohingya at a trial, held at the International Criminal Court in The Hague, Netherlands on 11 May 2019, in defense of the Myanmar military. No matter how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ries to solve the Rohingya problem, it cannot be resolved without the will of the Myanmar government and the military, which is the subject of the conflict. Therefore, the Myanmar government should strive to resolve the peace of Rohingya people with an open mind towards minorities. Accordingly, the government of Myanmar should strengthen cooperation with international organizations so that the Rohingya crisis will not get worse and find an amicable settlement through the compromise with the military to resolve the Rohingya crisis. The next thing to be required is the complete return of the military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principle of putting the civil society on the priority. Under the current circumstances, the control to the military by the civilian government is not possible unless the military withdraws itself from the politics and returns to the barracks on its own. To resolve this, conditions that completely eliminates the military's involvement in politics should be provided or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should be made. If human rights issues continue to aris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strong economic sanctions and humanitarian military intervention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 사회과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