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띠(sati)의 현대적 수용법 연구- ‘-구나’ 행법의 도입 - (A Study on the Modern Reception of Sati: Introducing the ‘-Guna’ Practice)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7 최종저작일 2024.10
28P 미리보기
사띠(sati)의 현대적 수용법 연구- ‘-구나’ 행법의 도입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65호 / 149 ~ 176페이지
    · 저자명 : 김성식

    초록

    본 논문은 21세기 현대 정신문화로 확산되는 명상에 관한 사띠 수행의 현대적 행법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오늘날은 물질문화의 급속한 팽창이 초래한 경쟁주의, 이기주의, 허무주의, 고립주의에 따른 각종 심리적 장애, 사회적 갈등 등으로 개인과 사회는 올바른 각성을 요구하고 있다. 이처럼 반성의 시대에서 명상은 점차 사회적 호응과 함께 대중화되는 추세이며, 그 중심에는 사띠(sati)가 있다. 그것은 불교 수행의 핵심적인 요소로서 순간순간 몸과 마음의 집착을 끊게 함으로써 스트레스 감소, 면역력의 증가, 만족과 수용 그리고 종교적 완성을 성취하게 한다. 이에 사띠의 중요성만큼이나 수행법의 이해와 저변 확대를 위한 ‘-구나’ 행법은 사띠 함의(수동적 주의집중, 마음챙김, 새김, 주시, 알아차림, 정념 등)에 관한 현대적 수용이며, 그 상관성은 매우 크다. 따라서 이 행법은 한국사회의 각성을 돕는 유용한 도구가 될 것이라 기대된다.
    이것은 지금 이 순간 몸과 마음의 명상 주제에 대한 현상(法)의 유무와 상황을 향한 ‘있는 그대로’의 관찰을 의미하며, 말미에서 ‘-구나’를 통해 반조하는 자각을 나타낸다. 이러한 ‘-구나’ 행법의 도입과 활용의 의미는 이것이 한국인에게 보편화된 생활용어이며, 사띠의 기능과 역할에 있어 가장 근접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그것의 특징은 보임, 들림, 느껴짐 등 인지하는 대상에 대해 있는 그대로 바라보는 ‘관찰자의 위치성’, ‘수동적인 관찰’, ‘순간순간의 비판단적 자각’ 등에 있다. 따라서 몸과 마음의 일어나는 현상에 대해 ‘-구나’가 일어나는 순간만큼은 분명한 사띠가 존재한다. 이 행법은 오염원의 입장에서 관찰자의 위치성으로 이동을 의미하며, 대상과의 동일시에 벗어나 괴로움의 소멸과 함께 통찰의 토대가 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modern application of Sati practice, which has spread as a contemporary spiritual culture in the 21st century. In today's world, the rapid expansion of material culture has led to competition, selfishness, nihilism, and isolationism, resulting in various psychological disorders and social conflicts and demanding proper awareness both individually and collectively. In this era of reflection, meditation is gradually becoming more popular with social support, and Sati is the major form of meditation. Sati is a key element of Buddhist practice, enabling individuals to break free from the obsession of body and mind to reduce stress, increase immunity, and achieve contentment, tolerance, and ultimately, religious fulfillment. Given the importance of Sati, the “-guna” practice, which aims to deepen understanding and expand application of Sati, is a modern interpretation of the implications of Sati—passive attention, mindfulness, recollection, observation, awareness, and right mindfulness. The correlation between these is significant. Therefore, this practice is expected to be a valuable tool in aiding the awakening of Korean society.
    This refers to the observation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phenomena (dharma) regarding the target of meditation of body and mind at this moment, and the observation of progression “as is,” culminating in self-reflection through “-guna”. The significance of introducing and applying the “-guna” practice lies in the fact that it is a commonly used Korean term in everyday language and is closely aligned with the function and role of Sati. Additionally, its characteristic features include the “observer's position,” “passive observation,” and “non-judgmental awareness of moments,” all of which involve observing perceived objects—such as seeing, hearing, and feeling—exactly as they are. Therefore, at every moment when “-guna” arises in response to the phenomena occurring in the body and mind, true Sati is present. This practice signifies a shift from the standpoint of contaminant to the position of observer to deviate from identification with the object and to lay the foundation of insight with the cessation of suffer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