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하타의 등불」에서 비음명상(nādānusaṅdhāna)고찰 (A Study on the Nādānusaṅdhāna in Haṭhapradīpikā)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6 최종저작일 2020.04
36P 미리보기
「하타의 등불」에서 비음명상(nādānusaṅdhāna)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요가학회
    · 수록지 정보 : 요가학연구 / 23호 / 9 ~ 44페이지
    · 저자명 : 장소연

    초록

    나다(nāda)는 내면에서 들리는 소리로, 북을 치듯 부딪쳐서 들리는 소리가 아니라 부딪치지 않고 울리는 신비로운 소리(秘音)이다. 비음명상의 목표는 다양하고 미세한 비음을 듣는 것이 아니라, 비음마저 소멸시키는 것이고, 최종에는 비음이 소멸될 때 비음에 묶인 마음도 소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HP의 최종 목표와도 같다. 마찬가지로 고전요가에서도 마음의 작용을 멈추는 것을 요가(YS1.2)라고 하고 이것을 고전요가의 목표로 삼는다. 하지만 고전요가에서 마음작용의 멈춤은 제감, 응념, 선정으로 이어지는 심리 수행의 심화과정을 통해 삼매가 성취된다고 하는 반면 하타요가에서는 쁘라나를 소멸함으로써 쁘라나와 함께 작용하는 마음이 소멸된다고 한다. 이처럼 두 요가 체계는 마음을 소멸하는 방법론에 있어서 다소 차이가 있다.
    하지만 비음명상은 하타요가가 주로 추구하는 방법론과는 다른 쁘라나의 소멸이 아닌 비음의 소멸을 마음소멸의 방편으로 삼는다. 더욱이 비음명상이 고전요가의 팔지요가와 함께 언급되는 것은 비음이라고 하는 소리에 집중하고 그 소리가 최종에는 사라지고 마음이 소멸된다고 하는 일련의 행법들이 고전요가에서 하나의 대상이 집중을 하고 집중의 상태가 길어지고 깊어지면 종국에는 그 대상마저 사라진 상태를 삼매라고 하는 것과 방법론적 측면에서 유사하다. 따라서 거친 소리에서 미세한 소리로 궁극에는 비음의 소멸까지가 고전요가의 팔지요가에서 제감부터 명상에 이르는 삼매를 성취하는 방법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물론 비음명상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결절이 뚫리고 그 내면의 소리, 즉 수슘나에서 들리는 소리를 듣고 그리고 그 너머의 소리의 소멸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아사나, 무드라, 반다 그리고 쁘라나야마는 필수적이며 선행되어야 한다.

    영어초록

    Nada is a sound that is heard from the inside, not a sound that strikes like a drum, but a very mysterious sound that does not strike. The mysterious sound gradually decreases from a loud sound like thunder, becoming a flute, and finally a small sound like a drop, and finally into an inaudible sound. The goal of mysterious sound meditation is not to hear various and fine sounds, but to extinguish even the mysterious sounds. . At the end, the goal is aims to extinguish the mind bound to it to when the mysterious sound is extinguished This is the same as HP's final goal. likewise, In classical yoga, stopping the work of the mind is called yoga (YS1.2) and this is the goal of yoga. however, in classical yoga, the stopping of mind action is achieved through the deepening process of psychological performance which leads to sensory organ control, concentration, and meditation On the other hand, in Hathayoga, the mind that works with prānas is said to be disappeared by the extinction of the prānas. These two yoga systems differ in the methodology of stopping the mind. However, mysterious sound meditation uses the extinction of mysterious sounds as the means of extinction, not the extinction of prāna, which differs from the methodology mainly pursued by Hatha Yoga.
    Moreover, the mysterious sound meditation is mentioned with astanga of classical yoga because it concentrates on the sound called mysterious sound and eventually disappears and the mind disappears. This is because these series of practices are similar in terms of how to achieve samādhi in classical yoga, that is, when one focuses on one object and the state of concentration becomes longer and deeper, the object eventually disappears.
    Thus, from the coarse to the subtle, at last, the disappearance of the mysterious sound can be explained by the method of accomplishing the samādhi from the control of the senses to the meditation of the astanga stages of classical yoga. Of course, in order to perform mysterious sound meditation, āsana, mudrā, banda and prānāyama must be necessary and preceded in order to hear the inner sound, that is, the sound heard from ṣumṇa, and to reach the extinction of the sound beyon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요가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