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방언형의 分布와 改新波 -兩脣音 뒤 j계 上向二重母音의 縮約 現象을 중심으로- (Dialectual Forms and Sound Changes in Korean -Focused on Coalescence of j-Diphthong in the Post-bilabial-)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4 최종저작일 2008.06
18P 미리보기
방언형의 分布와 改新波 -兩脣音 뒤 j계 上向二重母音의 縮約 現象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어문연구(語文硏究) / 36권 / 2호 / 99 ~ 116페이지
    · 저자명 : 정승철(鄭承喆)

    초록

    이 논문은, 양순음 뒤 j계 이중모음의 縮約 現象을 중심으로 방언형의 分布를 관찰ㆍ기술하고 이를 통해 j계 이중모음의 通時論을 記述하는 것을 目的으로 하였다. 특히 j계 이중모음의 縮約에서, 隣接하고 있지 않은 방언들이 동일한 특징을 보일 때 이러한 分布上의 不連續性을 어떻게 解釋해야 할지에 焦點을 두고 論議를 진행하였다. 그리하여 관련 현상들에서 나타나는 不連續的인 方言 分布는 해당 改新波의 擴散 過程에서 방언마다 그 受容 與否를 달리한 데 起因한 것이라고 하였다. 즉 양순음 뒤 j계 이중모음의 축약에 있어 형태소 내부와 경계의 相違를 보이는 중부방언과 제주방언의 경우는 형태소 경계에서 일어난 새로운 改新波를 두 방언이 受容하지 못한 데에서, 그리고 ‘비비-어’에 있어 서남방언과 경북 東部 地域 사이에서 발견되는 方言 分布의 斷絶은 경남방언에서 震源한 완전순행동화의 改新波가 北上한 데에서 비롯한 결과로 解釋하였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changing processes of the j- diphthongs in Korean, especially in the post-bilabial. In order to achieve the aim, we examine the standard forms with the phoneme sequences of 'bilabial consonant + j-diphthong' and their equivalent forms in dialects, as well as their geographical distributions. This study argues that the coalescence of j-diphthong under the inside of a morpheme is identified in the whole country, but such a coalescence in the morpheme boundary isn't identified in Jungbu-dialect(namely, the central dialect), Jeju- dialect(the Jeju island dialect) and Dongnam-dialect(the southeast dialect).
    The analysis in this paper is based upon the corelation between dialect distributions and innovation waves(that is, the wave of sound change). So to speak, a diachronic phonological processes may have an effect on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dialectual forms. As a consequence, the discontinuities of dialect distribution in the coalescence of j-diphthong is related with the acceptance of phonological processes (e.g. off-glide j-insertion, glide formation, and progressive assimilation), which is occurred in those dialec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연구(語文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