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학교 문법에서는 하향 이중모음(‘ㅡ’ + 반모음(j)')으로 봄■이중모음 가운데 ‘ㅢ’는 본서에서처럼 수평 모음으로 보는 입장 이외에, ‘ㅑ, ㅘ’와 마찬가지로 상향 모음 ... 원순 이중모음) : ㅗ/ㅜ (w)계 - ㅘ, ㅙ, ㅝ, ㅞ③ ‘ㅢ’ : 상향 이중모음으로 보는 입장, 하향 이중모음으로 보는 입장, 수평 이중모음으로 부는 입장이 있 ... 에는 다른 것들은 모두 상향 이중모음인데, ‘ㅢ’만 하향 이중모음이라는 부담감이 있게 되지 때문이다. 따라서 본서에서는 ‘ㅢ’의 ‘ㅡ’와 ‘ㅣ’를 각각 온전한 모음으로 인정
음은 반드시 파열되지 않아야 함, 그러나 위 진술은 파열될 수도 있음을 전제문법 교과서 p. 58모음체계에 있어서 반모음 설정의 문제이중모음은 반모음(半母音)과 단모음이 결합 ... 하여 이루어진다. 혀가 ‘ㅣ’의 자리에서 다름자리로 옮겨 갈 때 발음되는 반모음이 ‘ㅣ[j]’이고 ‘ㅗ/ㅜ’의 자리에서 다른 자리로 옮겨 갈때 발음되는 반모음이 '오/우[w]'이다. 반 ... 의 중심을 이루는 모음을 가운뎃소리[중성(中聲)], 그 앞의 자음은 첫소리[초성(初聲)], 그 뒤의 자음은 끝소리 [종성(終聲)]라고 한다.-반모음과 이중모음을 동일하게 다룸(앞
>아침, 슳다>싫다. 거츨다>거칠다1.6. 단모음화(單母音化)(1) 정의: 치음인 ‘ㅅ,ㅈ,ㅊ’ 아래에서 반모음 [j,w]와 결합된 이중모음이 단모음으로 바뀌는 현상(2) 시기: 음운 현상 중 가장 늦게 일어난 음운 현상으로 갑오개혁 이후 굳어졌다. ... ------------------------------------------31.3. 모음의 축약(縮約/contractyion)----------------------------- ... 의 축약(縮約/contractyion)(1) 정의: 두 형태소가 서로 만날 때에 앞뒤 형태소의 두 음절이 한 음절로 줄어드는 경우로 이때 어느 한 형태소의 모음은 반모음이 된다.(2
(半子音, semi consonant))① 반모음이란? : 모음과 자음의 이중적 성격을 가지는 것. 다른 모음과 항상 결합하여 야만 소리가 난다.② 대표적인 반모음 : [j]와 [w ... 단어의 두음에서 ‘ㅣ’모음앞이나 ‘j'계 이중모음 ’ㅑ, ㅕ, ㅛ, ㅠ‘ 앞에 ’ㄴ‘이 탈락(2) 중화(中和, neutralization)① 개념 : 어떤 환경에서 대립하던 음소 ... ]③ 반모음의 특징㉠ '야‘나 ’와‘를 길게 발음하면, 나중에 남는 소리는 오직 ’아‘뿐이지, [j]나 [w]의 요 소는 더 이상 지속되지 않는 다는 것에서 이 소리들이 과도적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