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주자가례』의 수용과 보급 과정 ― 동전東傳 판본版本 문제를 중심으로 (Acceptance and Spreading Process in 'Jujagarye(朱子家禮: Family Rites of Zhu Xi)')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0.06
24P 미리보기
『주자가례』의 수용과 보급 과정 ― 동전東傳 판본版本 문제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학진흥원
    · 수록지 정보 : 국학연구 / 16호 / 183 ~ 206페이지
    · 저자명 : 장동우

    초록

    『주자가례』의 동전東傳 판본 가운데 최초의 것은 『가례보주家禮補註』본으로 추정된다. 이후 1403년 『주자성서朱子成書』본, 1419년 『성리대전性理大全』본의 도입이 확인된다. 『성리대전』본은 18세기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간행이 되고, 이와 함께 『성리대전』본에서 『가례』부분만을 독립시켜 목판으로 간행한 『가례대전家禮大全』본이 1563년 처음 간행이 된다.
    1518년 도입되어 중종中宗대에 을해자로 간행된 『가례의절家禮儀節』의 유통은, 4권본인 『성리대전』본과 『가례대전』본이 중심이던 상황에서 7권본이라는 새로운 판본의 출현을 촉발시킨다. 1658년(효종 9) 3월에 함경도 경성부에서 목판으로 간행된 것이 7권본의 가장 빠른 판본이다. 이후 1726년(정조 10)에 간행되고, 1759년(영조 35) 예각藝閣에서 무신자戊申字로 간행된다. 중국의 경우에도 7권본이 있기는 하지만, 그것은 「심의제도深衣制度」를 권7로 분리하고 「가례도家禮圖」를 권1에 바꾸어 실은 것일 뿐, 통례通禮‧관례冠禮‧혼례昏禮‧상례喪禮‧제례祭禮라는 전통적인 5권본의 체재는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반면 조선의 7권본은 도圖, 서序, 권1「통례」, 권2「관례」, 권3「혼례」, 권4∼권6「상례」, 권7「제례」의 체재를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중국의 7권본과 차이가 있다.
    특히 1759년에 간행된 무신자본戊申字本에는 「가례도家禮圖」가 주자朱子의 친작親作이 아님을 논증한 구준丘濬의 주장과 김장생金長生의 주장을 『가례집람』에서 인용하여 싣고 있으며, 『주자가례』의 본문本文과 본주本註에 대한 교감校勘 사항을 두주頭註에 기록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끈다. 이는 무신자본이 명대 구준의 연구를 계승하면서도, 당시까지 진전된 조선 예학의 성과를 통해 비판적으로 극복한 조선 『가례』』연구의 결정판으로서의 의미를 지닌 것임을 보여준다.

    영어초록

    What is the first out of Manuscript copy in Entering to Korea for 『Jujagarye(朱子家禮: Family Rites of Zhu Xi)』 is estimated to be a set of 『Garyeboju(家禮補註)』. Since then, the introduction has been confirmed a set of 『Jujaseongseo(朱子成書)』 in 1403 and a set of 『Seongridaejeon (性理大全)』 in 1419. A set of 『Seongridaejeon(性理大全)』 is continuously published until reaching the 18th century. In addition to this, a set of 『Garyedaejeon(家禮大全)』, which was issued with wood-block by making only the part of 『Garye』 independent from a set of 『Seongridaejeon(性理大全)』, is published for the first time in 1563.
    The distribution of 『Garyeuijeol(家禮儀節)』, which was published with Eulhaeja(乙亥字) printed font during King Jungjong(中宗) by having been introduced in 1518, leads up to appearance of new Manuscript copy called a set of 7 volumes in a situation with the center on a set of 『Seongridaejeon』 and 『Garyedaejeon』, which belong to a set of 4 volumes. What was issued with wood-block in Gyeongseongbu of Hamgyeong-do in 1658 is the fastest manuscript copy in a set of 7 volumes. Since then, it is published in 1726 and is published with Mushinja(戊申字) printed font in Yegak(藝閣) in 1759. Even in case of China, there is a set of 7 volumes. However, it is literally maintaining a traditional system in a set f 5 volumes. On the other hand, a set of 7 volumes in Joseon has difference from a set of 7 volumes in China in a sense of newly forming according to division in 『Garyeuijeol(家禮儀節)』.
    Especially, a set of Mushinja(戊申字) printed font, which was published in 1759, has significance as the ultimate set in a research of 『Garye(家禮)』 in Joseon, which critically overcame through performance of Yehak(禮學) in Joseon, which had been progressed until that time, even while succeeding to a research of Gujun(丘濬) during Ming Dynas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