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통신사행 동래부 왜학역관과 일본 시가문학 (Japanese Interpreters of Dongnae-Bu(東萊府) who performed official duties as Tongsinsa(通信使) Members and Japanese Classic Poetry)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3 최종저작일 2018.02
40P 미리보기
통신사행 동래부 왜학역관과 일본 시가문학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부산광역시사편찬위원회
    · 수록지 정보 : 항도부산 / 35호 / 263 ~ 302페이지
    · 저자명 : 안수현

    초록

    종래 조선후기 통신사 문학연구의 주체는 통신사행록 혹은 한시담론으로 전개된 필담창화를 주도한 삼사(三使)와 제술관 등 양반사대부 중심이었다. 본고는 통신사행에 수행한 또 다른 문학담론의 주체로서 동래부 소속 왜학역관의 일본문학에 주목하였다. 신분상으로 양반사대부의 하위에 속했던 역관계층의 문학은 넓은 의미에서 이른바 위항(委巷)을 중심으로 활발한 시사(詩社)활동을 전개한 양상과는 달리, 동래부 소속 왜학역관은 같은 중인층이면서 그들의 일본 시가문학 활동은 공개적으로 담론화 할 수 없는 주변의 문화였고, 개인적 차원에 머물러야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래부 소속 왜학역관은 통신사행의 기능적 활동뿐만 아니라, 와카(和歌)와 하이쿠(俳句)와 같은 일본의 정형시가문학의 이해자였으며 창작의 주체였음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왜학역관에 의한 일본문학의 호출을 둘러싼 근본적인 배경은 조선통신사 수행에 참여한 역관의 언어담론에 대한 부정적 시선이 작동되었다는 점이다. 비록 공식적인 경로를 통한 제기는 된 아니었으나 17세기 후반부터 ‘소통’ 문제의 발생은 오랫동안 일본어 권력으로서 자리매김해 온 『첩해신어(捷解新語)』의 추락은 조선과 일본 양측의 역관에 대한 부정적 시선을 초래하였다. 이러한 텍스트의 추락된 권위와 오해를 청산한 것은 통신사행에서 활약한 동래부 왜학역관의 언어적 자질과 문학적 소양의 발현에 의한 기여도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당시 유교 이데올로기가 지배적이었던 조선 내에서 문학이란 한문학(漢文學)이었던 만큼, 일본문학이라는 개념조차 없었을 뿐만 아니라, 설령 존재했다하더라도 제도권 문학으로 인정받지 못했을 것이다. 그러한 왜학역관 계층이 향유했던 일본문학이란 ‘숨겨진’ 문학적 활동에 다름 아니었다. 조선의 문학공간에서 은폐된 일본시가문학은 통신사행의 시공간에서 ‘드러남’으로 표출되었다. 특히 왜학 역관에 의한 와카(和歌)와 하이쿠(俳句)의 동시 호출과 창작활동은 통신사 문학 주체를 바라보는 새로운 시선이라는 점에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한문(漢文) 중심의 필담창화의 종속적, 보조적 존재로 머문 동래부 왜학 역관의 전모는 시정되어야 한다. 지금까지 대일무역 실무 담당자와 통신사행 수행담당자로서 이른바 ‘통역장치’로서만 해석된 제한적 사유에서 벗어나, 자발적으로 일본 시가문학을 이해하고, 또한 창작을 통하여 조선과 일본 양국 간의 긍정적 외교문화담론의 형성에 기여한 국제적 감각을 겸비한 교양인으로 평가되어야 한다.

    영어초록

    The Tongsinsa literature in the late Joseon Dynasty, as it is also known, the Higher Yangban-Sadaebu(兩班士大夫) Class who had exchanged a lot of conversations and poetry by writing in Chinese character played a prominent parts between Joseon and Japan.
    However this study focused on the Japanese interpreters of Dongnae-Bu who performed official duties as Tongsinsa and participated as another literary activists.
    On the other hand, literary activity of Japanese classic poetry such as Waka(和歌) and Haiku(俳句) by the Japanese interpreters did not have the place of discourse.
    In the background, a general tendency of those days usually comes from ignorance around Japanese literature. As a result, their Japanese literature was outside subculture and individual hidden scale.
    Nevertheless, the Japanese interpreters of Dongnae-Bu were excellent appreciators and poets of Japanese poetry for contributing to diplomatic relations with Japan.
    Looking at the Tongsinsa literatures in a new way, by the middle class Jungin(中人), especially the Japanese interpreters of Dongnae-Bu should be conducted.
    They were not mere official attendants and interpretation devices belong to Tonsinsa but acquiring a cosmopolitan outlook at that time.
    According to carrying out on correspondence in the middle class, the Japanese interpreters of Dongnae-Bu who made Japanese,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ongsinsa Literature. we have to As the main subject of the study on literature carried out on this study.
    Eventually understanding and creating of Waka(和歌) and Haiku(俳句) literature between the two countries through positive diplomatic evaluation by the Japanese interpreters of Dongnae-Bu.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항도부산”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