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도설(理到說)에 대한 견해를 통해 본 한주 이진상(寒洲 李震相)의 ‘리(理)’ 개념 (Hanju Yi Jinsang(寒洲 李震相)`s concept of Li(理) through his viewpoint on the Ido-seol(理到說))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2 최종저작일 2017.02
24P 미리보기
이도설(理到說)에 대한 견해를 통해 본 한주 이진상(寒洲 李震相)의 ‘리(理)’ 개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철학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철학논집 / 52호 / 107 ~ 130페이지
    · 저자명 : 이원준

    초록

    본 연구는 퇴계 이황(退溪 李滉, 1501∼1570)의 물격설(物格說)인 이도설(理到說)에 대한 한주 이진상(寒洲 李震相, 1818∼1886)의 견해를 바탕으로 한주의 ‘리(理)’ 개념의 특징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퇴계 이도설에서 포착되는 퇴계 성리학 체계에서의 ‘리’ 개념이 후대에 전개·심화되는 양상을 확인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무위의 본체인 ‘리’를 살아 움직이는 것으로 간주한다는 비판에 직면하였던 이도설에 대해 영남지역의 퇴계 후학들은 대체적으로 자구(字句) 해석의 정합성을 확보하는 것으로 논리적 정합성을 확보하려 하였다. 한주 역시 ‘격물(格物)’·‘물격(物格)’에서의 ‘격(格)’을 ‘구(究)’의 의미로 풀이한 것에 기반하여 이도(理到)의 서술어인 ‘도(到)’를 ‘진(盡)’의 의미로 풀이하였다. 그러나 한편으로 그는 퇴계가 ‘리(理)의 자도(自到)’를 승인하면서 체인하였던 ‘리’의 ‘체용(體用)’과 ‘활물’적 특성을 퇴계 성리학의 종지(宗旨)로 보았으며, 이는 그의 인식방법론으로 대표되는 삼간법(三看法)을 설명하는 곳에서 나타난다.
    한주 이전의 학자들은 자구의 의미를 수정하는 데에서 더 이상의 논의가 진행되지 않고 있어 이도설 해석을 통해서 학문적 특성을 파악하기에는 부족하였다. 한주는 리(理)에 대한 활간(活看)이 부족할 경우 ‘심(心)’과 ‘리(理)’의 관계를 곡해할 수 있다는 문제의식 하에서 리일분수(理一分殊)의 관점에 기반하여 퇴계 이도설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물리(物理)를 본구한 ‘심’의 주류변화(周流變化)와 ‘리’의 작용성을 등치시켜 ‘리’의 ‘분수’적 측면을 아우르면서 ‘심’이 만물의 ‘리’를 통섭한다는 ‘리일’의 측면을 강조하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ch the characteristics of the Hanju Yi Jinsang(寒洲 李震相, 1818∼1886)`s thought of the ‘Li(理)’ through Hanju`s view on the Ido-seol(理到說), the Toegye Yi Hwang(退溪 李滉, 1501∼1570)`s latter Mulgyuk(物格) theory, and to establish the foundation for identifying the aspects of development about Toegye School`s concept of Li from Toegye`s Ido-seol.
    The Ido-seol was criticized for regarding Li - the immovable principle - as ‘living thing’. Toegye School`s scholars tried to solve this problem by translating the ‘word’ correctly. Hanju also translated the word ‘Do(到)’, the verb of ‘Ido’, as meaning of ‘perfectly understood’ based on his translation of the word ‘Gyuk(格)’ as ‘Ku(究)’. On the other hand, he also regarded the principle-application structure of Li and the its characteristic the ‘Li as Hwalmul(活物)’ as the main point of Toegye`s Neo-confucianism thought his methodology ‘Three viewpoints[三看法]’.
    Before Hanju, scholars dose not have more opinion from the translation of the word, and it is too difficult to identifying their scholarly identity through their viewpoints on Ido-seol. On the other hand, Hanju thought that the lack of the idea for comprehensive approach between Xin(心) and Li(理) will cause the mis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Xin and Li. In this reason, he evaluated Toegye`s Ido-seol based on the concept of ‘One principle and its manifoldness[理一分殊]’. Consequently, he concatenated the characteristic of Xin which includes all things with concept of Mulgyuk, and emphasized that Xin which penetrates the principle of all things has the characteristic of ‘One principle(理一)’.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철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6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