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효종대 ‘有爲之志’의 정치사상적 의미 (The Political Meaning of ‘有爲之志’during Hyojong’s reig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22.12
35P 미리보기
효종대 ‘有爲之志’의 정치사상적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시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선시대사학보 / 103호 / 325 ~ 359페이지
    · 저자명 : 이민정

    초록

    이 글에서는 효종대의 시대성격을 드러내는 유효한 개념으로 ‘有爲’와 ‘有爲之志’의 의미에 주목한다. 이를 통하여 효종대의 국가운영의 방향을 둘러싼 다양한 논의가 등장할 수 있었던 배경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들 개념은 단순히 청과의 군사대립 끝에 復讐雪恥를 한다는 군사적 의미만을 가진 것은 아니라, 국가 운영론(經世論)이라는 관점에서 해석할 수 있다.
    孟子에 의하여 정립된 ‘유위’의 의미는 다분히 인간의 덕성과 연결되어 논의되었으며, 후대에 이것이 정치의 장으로 논의가 확대되었을 때에는 주로 ‘왕도정치를 성취하려는 의지’로 이해되었다. 동시에 맹자는 ‘유위’의 범주에 ‘왕도’ 뿐만이 아니라 ‘패도’의 단서도 포괄함으로써 논쟁적인 영역을 남겨 놓았다. 조선시대에는 ‘유위’가 신유학 정치사상의 테두리 속에서 맹자의 ‘왕도정치’ 자체를 지향하는 것으로 해석되었지만, 현실속으로 들어오면 ‘유위’의 의미는 다양한 층위와 내용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전쟁이나 반정 등으로 국가와 지배층의 적극적인 개혁이 요구되었던 시기에는 국가 및 군주의 권력 행사 범위와 형태에 대하여 깊은 고민이 있었고, 그것이 ‘유위’ 개념을 통하여 나타났다. 효종대에 들어오면 ‘유위’는 이 시기 전반을 관통하는 화두이자, 이 시기 정치 주체들의 목표가 되었다. 이전 시기의 경향이 지속되고 있었지만, 宋時烈의 언급에서도 볼 수 있듯이 ‘富國强兵’의 시대적 요구가 절실하게 대두되는 상황에서 ‘패도’로 간주되던 것들이 ‘왕도’의 범주에서 정당화되었다. 결과적으로 ‘유위’가 포함하는 대상의 범주가 확장 재해석된 것이다. 효종대의 ‘유위지지’는 왕도정치의 원칙 속에서 부국강병을 성취하려는 당대의 필요성이 집약된 말이었다. 이러한 변화는 효종대에 등장했던 다양한 갈래의 경세론이 등장할 수 있었던 사상계의 분위기의 맥락에서 읽을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background of various discussions surrounding the direction of state management through the concepts of “有爲” and “有爲之志”, which can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Hyojong’s era. These concepts can be interpreted from the perspective of statecraft, not just military point of view.
    The meaning of “有爲” was discussed in connection with human virtue, and when the discussion expanded to the political arena, it was mainly understood as ‘the will to achieve 王道’. At the same time, Mencius left a controversial area by including not only the clue of 王道 but also the clue of 覇道 in the category of “有爲”. In the Joseon Dynasty, “有爲” was interpreted as aiming for Mencius’s “王道” itself within the boundaries of the Neo Confucian political thought, but when entering reality, the meaning of “有爲” had various layers and contents. In particular, at a time when active reform of the state and the ruling class was required due to war or rebellion, there was a deep concern about the scope and form of the exercise of power by the state and monarch, and it emerged through the concept of “有爲”. When Hyojong’s era was entered, “有爲” was a topic that penetrated the first half of this period and became the goal of political subjects during this period. Although the trend of the previous period continued, as can be seen in the mention of time, what was considered “覇道” were justified in the category of “王道” at a time when the demands of the era of “富國强兵” emerged desperately. As a result, the category of objects included in “有爲” was expanded and reinterpreted. Hyojong’s era “有爲之志” was a word that combines the necessity of the time to achieve wealth and strength in the principles of 王道政治. This change well illustrates the ideological context in which various branching theory that appeared during the Hyojong period could have appear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선시대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