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어교육문법체계 마련을 위한 考察 ― 『国际大纲(2014)』과 『新HSK大纲(2015)』의 비교를 중심으로 (Research on the Construction of Chinese School Grammar System : Focusing on the Comparison between Internatioanl Cirriculum (Grammar: 2014) and New HSK Syllabus (Grammar: 2015))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11 최종저작일 2018.09
25P 미리보기
중국어교육문법체계 마련을 위한 考察 ― 『国际大纲(2014)』과 『新HSK大纲(2015)』의 비교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중국학회
    · 수록지 정보 : 중국학 / 64호 / 121 ~ 145페이지
    · 저자명 : 위수광, 이길연

    초록

    본 연구는 한국인 학습자에게 적절한 중국어교육문법체계를 설계하기 위한 중간 단계로 중국에서 외국인 학습자를 위해 제정한 『国际大纲(语法:2014)』과 『新HSK大纲(语法:2015)』을 비교분석하여 나타나는 문제점을 찾고, 활용 방안을 모색하여 한국인 학습자를 위한 중국어교육문법체계 설계의 토대 마련에 목적이 있다. 두 요목의 비교분석을 통해서 유사한 문법체계로 상호연계성을 가지고 일부 문법항목의 등급배열, 문법항목의 용어와 기술에서 몇 가지 문제점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첫째, 『国际大纲(语法:2014)』과 『新HSK大纲(语法:2015)』의 원칙과 구성 체계는 모두 6등급으로 동일한 문법체계로 연계성을 지녔지만 『新HSK大纲(语法:2015)』이 『国际大纲(语法:2014)』보다 난이도가 높다. 둘째, 한국인 학습자의 특징을 반영하고 등급을 고려하여 비교문, 겸어문, 把자문, 被자문등 누적식순서배열로 배열해야 할 것이다. 셋째, 문법항목의 용어와 기술에서 조동사-능원동사, 존재문-존현문, 被자문-피동문 등 혼용되고, 사용예문도 명확하지 않았다. 이런 문법항목들은 통용성을 지닌 문법항목 용어와 개념이 정확하게 기술할 수 있도록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 『国际大纲(语法:2014)』과 『新HSK大纲(语法:2015)』의 비교분석을 통해 살펴본 문제점과 활용방안을 토대로 한국인 학습자의 중국어교육과 평가가 유기적인 관계를 지닌 교육문법체계가 설계되고 나아가 한국인 학습자를 위한 통용성을 지닌 교육문법요목이 마련되길 기대해 본다.

    영어초록

    International Curriculum(2014) and New HSK Test Syllabus(2015) are teaching and testing syllabuses of international Chinese education. This study compared the grammatical systems in the syllabuses above and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m so as to make preparation for the construction of Chinese school grammar system for Korean learners.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it is found that when establishing the school grammar system, International Curriculum(2014) and New HSK Test Syllabus(2015) both divided different grammatical items, such as word classes (content words and function words), sentence constituents, special sentence patterns, common sentence patterns, moods and complex sentences into six grades. The grammar systems are roughly similar and relevant. Bu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grade arrangement of some grammatical items as well as the use of terms.
    Firstly,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integrating examination and teaching together”, the overall direction and system construction of International Curriculum(2014) and New HSK Test Syllabus(2015) both show the characteristic of “six grades”. The similar grammar systems represent their relevance. However, in terms of word classes (content words and function words) and complex sentences in New HSK Test Syllabus(2015), the amount and difficulty of corresponding objects increases with the rise of grade. Special sentence patterns have been listed in the relatively low-grade learning content. Compared with International Curriculum(2014), the difficulty requirements of New HSK Test Syllabus(2015) are obviously higher. In order to maintain the consistency of the school grammar system, it is necessary to rearrange the grade of grammatical items based on the difficulty required in New HSK Test Syllabus(2015).
    Secondly, on the whole, the relative grade arrangement of grammatical items in the two syllabuses is done well. However, some grammatical items (such as comparative sentence, Ba-sentence and Bei-sentence) in New HSK Test Syllabus(Grammar: 2015) are arranged in a lower grade, reflecting the inconsistency between the two.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yllabuses in the accumulative grade arrangement of coverbial sentence, Ba-sentence and Bei-sentence. In view of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earners, it is essential to correctly arrange the comparative sentence, coverbial sentence, Ba-sentence and Bei-sentence according to the accumulative grade arrangement on the basis of New HSK Test Syllabus(Grammar: 2015).
    Thirdly,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use of terms. For instance, auxiliary verbs and volitive verbs, existential sentence and existential construction, Bei-sentence and passive sentence and so on. The example sentences are also not clear enough. The inconsistency in the names of grammatical items increases the confusion of teachers and learners. Syllabus is a guideline which demands high objectivity, so it is necessary to narrate the grammatical items and concepts in a consistent and accurate manner. In addition, it is also necessary to lay emphasis on universality.
    This paper analyzed the differences between International Curriculum(2014) and New HSK Test Syllabus(2015), then probed into the solutions. The paper can become the research basis for the construction of Chinese school grammar system under the principle of “integrating examination and teaching together”, and the formulation of universal grammar teaching syllabus for Korean learn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