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비유의 단위에 대하여 (the Unit of Metaphor)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09 최종저작일 2019.11
30P 미리보기
비유의 단위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시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시학연구 / 60호 / 43 ~ 72페이지
    · 저자명 : 권혁웅

    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비유를 이루는 두 단위를 새롭게 명명하고 그 근거를 밝히는 데 있다. 기존의 용어인 ‘원관념’과 ‘보조관념’은 부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비유를 이루는 단위는 ‘관념’도 아니며, ‘원/보조’라는 용어가 암시하는 것처럼 ‘원본/복사본’, ‘본의/매개물’도 아니기 때문이다.
    비유의 단위는 이미지다. 1) 비유의 생산성은 그것의 감각적 환기 능력에 달려 있는데, 이미지야말로 감각과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2) 관념이 한 번에 하나의 의미밖에는 생산해낼 수 없는 데 반해, 이미지가 산출하는 의미는 언제나 여럿이다. 3) 따라서 관념이미지란 용어는 성립할 수 없다.
    주체와 세계의 관계에 따라 비유의 단위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로 모형화된다. 1) 주체와 주체-이미지, 2) 주체-이미지와 세계-이미지, 3) 세계-이미지1과 세계-이미지2. 마지막 모델에 주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세 번째 모델을 비유의 단위를 이르는 일반적 모형으로 간주할 수 있다.
    비유의 두 단위에서 첫 번째 세계-이미지(통상 ‘원관념’이라 부르는 것)는 1) 비유의 운동을 촉발하며, 2) 주체의 감정/신체능력을 변용시키고, 3) 두 번째 세계-이미지를 불러일으킨다. 따라서 세계-이미지1은 환기-이미지, 격발-이미지, 출발 및 귀환-이미지라 불릴 수 있다. 두 번째 세계-이미지(통상 ‘보조관념’이라 부르는 것)는 1) 비유의 운동이 지나가는 궤적을 그려내고, 2) 이로써 세계의 실상을 담아내는 거울이 되거나, 3) 세계와 언어의 관계를 보여주는 국면이 된다. 따라서 세계-이미지2는 편력-이미지, 반영-이미지라 불릴 수 있다.
    세계는 이 두 개의 좌표를 통해서 기술될 수 있으며, 두 단위는 서로 간의 왕복, 주체와의 왕복을 통해서 배가된다. 게다가 이미지가 생산하는 의미가 복수이므로, 두 단위는 이론상 무한한 의미를 생산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newly examine two units of metaphor. The existing Korean terms for “tenor” and “vehicle” can be rendered, in their literal translation into English, as “original concept” and “auxiliary concept.” However, unlike the relationship implied by the words “original” and “auxiliary,” the pair of utits take neither the form of the “original vs. copy” opposition nor the “tenor vs. vehicle” opposition.
    A metaphor is comprised of images, a fact which has several implications. 1) The productivity of a metaphor lies in its engagement of the senses, which are stimulated by sense impressions, or in other words by images in the broadest understanding of the term. 2) While a concept is tied to a single meaning, an image can have several meanings. 3) As such, the idea of the “conceptual image” is a contradiction in terms.
    Depending on the agent involved in a metaphor, and his or her relationship to the world, the utits of a metaphor can vary, and constitute three types or models of metaphor: 1) subject and subject-image, 2) subject-image and world-image, and 3) world-imageⅠ and world-imageⅡ. Since the last model also implicitly includes the subject, it can be considered the model that is typically used when discussing the utits of metaphor. The world-imageⅠ component (the tenor; as “original concept”) triggers the action of the metaphor and changes the emotional and/or physical state of the subject, thereby summoning the world-imageⅡ component. The world-imageⅠ component can be seen as an arousal-image, trigger-image, and start- and return-image. The world-imageⅡ component (the vehicle; as “auxiliary concept”) determines the trajectory of the metaphor's action, serving as a mirror of reality or revea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ld and language. As a result, the world-imageⅡ component can be seen as an itinerant-image and reflection-image.
    The world is described through these coordinates, and the two utits are amplified through their interactions with each other and with the subject. Since images are capable of assuming multiple meanings, the two utits can, in theory, through these interactions produce infinite meaning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시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0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