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牛栗學에서 본 華西李恒老의 性理思想 (A Study on Hwaseo’s Neo-Confucianism from the View of Yulgok and Ugye)

5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9 최종저작일 2010.12
53P 미리보기
牛栗學에서 본 華西李恒老의 性理思想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율곡학회
    · 수록지 정보 : 율곡학연구 / 21권 / 405 ~ 457페이지
    · 저자명 : 성교진

    초록

    화서(華西) 이항로(李恒老, 1792~1868)는 조선왕조 말기의 저명한 성리학자로서그의 학설은 주리론이요, 우주론에 있어서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주장하였다. 조선시대 후기에 위정척사(衛正斥邪)의 중심인물로서 19세기 후반기를 풍미(風靡)하였다. 고려후기 안향(1243~1306)이 전수하였던 주자(朱子) 성리학(性理學)은 조선조519년간 태극지리(太極之理)요, 음양기지(陰陽之氣)였지만 한당(漢唐)의 정현(鄭玄)과공영달(孔穎達)의 태극관(太極觀)은 그것이 아니었으니 태극자(太極者)는 주역(周易)의본의(本義)대로 순화미분지기(淳化未分之氣)인 것을 밝혀 보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핵심은 화서 이항로가「율곡전서답우계선생서기의(栗谷全書答牛溪先生書記疑)」이다.
    율곡이 37세 때에 38세인 우계에게 보낸 답서 속에서 의심되는 부분이라고 화서(華西)는 말하고 있었다. 그 분량은 모두 오항(五頁)에 달하고 있으니 주로 인심(人心)과도심(道心)에 관한 것이었다. 이 문제는 본론의 제4장에서 밝힌 바와 같이 화서는 형기(形氣)와 성명(性命)으로써 분별(分別)하지 않는 것이 의아스럽다고 했지만 율곡은그 양자가 ‘무비심지발(無非心之發), 구시기발(俱是氣發)’이었음을 고수(固守)하고 있었기에 그 답서(答書)에서 ‘기불용사즉도심야(氣不用事則道心也)요 기이용사즉인심야(氣已用事則人心也)’를 간곡히 피력(披瀝)하였다. 제5장에서 화서의 사단칠정론(四端七情論)을 본다면 약론기발이발지별(若論氣發理發之別)을 말했으니 화서는 이미 이발(理發)의 타당성(妥當性)을 안고 들어간 듯하다. 하지만 율곡은 우계와의 왕복서(往復書)에서 시종일관 기(氣)는 발지자(發之者)요 이(理)는 소이발자(所以發者)로서 이발(理發) 이자(二字)는 철저히 배제(排除)하였기 때문에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을 표방(標榜)했던 華西의 이기인도사칠관(理氣人道四七觀)은 처음부터 합치(合致) 될 수가 없었다. 설사 화서가 ‘시기발이사단시이발야(是氣發而四端是理發也)’로써 동시발(同時發)을말했다 하더라도 율곡의 기발이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은 화서로부터 삼백년전에이미 우율왕복서(牛栗往復書)에서 정론(定論)으로 나와 있었던 문제였다.

    영어초록

    Hwaseo is one of the famous Neo-confucianist in late Chosun. He insisted on emphasis on 'li' and dualism under theory of 'li(理)' and 'qi(氣)'.
    His theory inherited An Hyang's neo-confucian theory in late Korea, that is based on ZhuXi's theory of 'li' and ‘qi’. This thesis is on the Hwaseo's Neo-confucianism, especially theory of 'li' and 'qi'. Generally, Hwaseo is considered as a member of Yulgok's school. As Yulgok’s school emphasized ‘qi’ in the relationship of ‘li’ and ‘qi’, they assert only in ‘qifa(氣發)’, and disallow ‘lifa(理發)’. However, even though Hwaseo inherited Yulgok’s school, he approved ‘lifa’, provisionally. This content is put in “Doubt in 4-7 Debate between Yulgok and Ugye”, especially the view of human mind and moral mind. In this thesis, I will focus on the analysis of this book. Through this, it will reveal common and different grounds between Yulgok and Hwaseo. Also, this will allow us to acknowledge development in the theory of ‘li’ and ‘qi’ during the 3-century-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율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9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