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비구니 본공의 선풍진작과 법맥상승 (Bhikkhunī Bon-Gong's Contribution to the Rise of the Meditation Trend and the Succession of Dharma)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09.08
36P 미리보기
비구니 본공의 선풍진작과 법맥상승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선학회
    · 수록지 정보 : 禪學(선학) / 23호 / 7 ~ 42페이지
    · 저자명 : 하춘생

    초록

    격동의 근ㆍ현대기를 살면서 교단안팎에서 자타공인 ‘비구니 선사’로 불린 本空은 현대를 살아가고 있는 후학들의 가슴속에 깊이 각인된 인물이다. ‘本空’은 당대의 선승 滿空이 내린 법호다. 출가의 본의는 물론 구도자가 지향해야 할 궁극적인 목표를 한마디로 갈음하고 있는 ‘本空’은 곧 선의 정곡을 의미하기도 한다.
    본공은 한소식을 접하는 悟道와 함께 만공으로부터 법인가를 받고 入寂할 때까지 제방선원에서의 화두참구와 비구니 선풍진작에 앞장서는 등 ‘시대의 참 선객’으로 유명하다. 그의 구법행각은 오로지 ‘하나(一)’를 관하는 경지를 터득하는 일이었고, 용맹정진 화두참구에 든 그의 現身은 절구통 수좌의 면목을 그대로 보여주었다. 見性을 향한 그의 처절한 수선행각에 당대의 비구선승들이 앞다퉈 탐을 내며 速成開悟를 促하였고, 스스로는 비구선승들과의 끊임없는 구법교류를 통해 자신의 경지를 점검받는 일에 결코 경솔하지 않았다.
    본공의 생애는 크게 세 시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제1기 出家因緣期(1907~1925)는 출생부터 시절인연을 만나 출가를 결행하기까지의 19년간이고, 제2기 修行悟道期(1925~1935)는 출가이후 만공을 만나 禪門에 입문하면서 깨달음을 이루고 만공으로부터 법호를 수지하게 되는 10여 년간의 구도기간을 말한다. 제3기 保任決擇期(1935~1965)는 오도이후 法悅을 누리며 제방선원에서 수선정진하다가 입적하기까지 30여 년간의 시기다. 당대 비구선승들과의 교류를 통해 수행의 정도를 점검하거나 경지를 내보인 행보는 수행오도기와 보림결택기에 두루 이루어졌다.
    본공이 근대기 활로를 개척했던 비구니 전통승풍은 그의 발자취를 따르고 있는 후학들의 문도결집으로 더욱 빛을 발하고 있다. 십바라밀의 실천을 지향하듯 열 명의 상좌가 法流를 계승했고, 그 열 명에서 200여 명의 법손이 출현해 오늘날 ‘봉래문중’을 형성한 가운데 비구니승가의 위상강화에 큰 몫을 하고 있는 현실이 그렇다.
    본고는 비구니 선승 본공의 구법행각과 同시대를 살았던 비구선승들과의 교류관계 등을 살펴 그가 터득한 惺惺寂寂한 경지와 그로부터 말미암은 문중형성과 법맥상승 관계를 고찰하는데 기본취지를 두었다.

    영어초록

    Bhikkhunī Bon-Gong, who was acknowledged as the “Meditation-master" throughout her life during the turbulent period of the modern and present era, is an individual who has been deeply incised in the heart of her students that are living in this present time. Her Dharma-protector "Bon-Gong," which was given by the legendary meditation-master Man-Gong, indicates what the ultimate purpose of life ought to be for those who have decided to dedicate their lives to become a devout practitioner as well as what the notion of initiation should entail, penetratingly manifesting the essence of meditation.
    One of Bon-Gong's characteristics that puts her on a such prominent position is her unceasing effort for the investigation of critical phrase and spreading the trend of meditation among bhikkhunīs ; and this was the aspect that entitled her as "the true practitioner of the time." Her practice to acquire Dharma was solely the attainment of the state of perceiving "one," and her dauntless concentration for the examination of critical phrase was itself an evidence and demonstration of what is called "mortar seating." Bon-Gong's fashion in pursuing her style of practice, which was in no way unsuitable for being described as compelling and even desperate, inspired all the prominent Bhikkhu meditation monks of the time to spur themselves toward enlightenment in the diligent and urging manner. On the personal level, Bon-Gong never showed even the slightest amount of arrogance in examining her level of practice through ceaseless linguistic interactions with the meditation practitioners of Bhikkhu.
    Broadly, the life of Bon-Gong can be segmented into three different periods ;The first period of renunciation(1907-1925), being the nineteen-year-period between Bon-Gong's birth and initiation, the second period of austerities and enlightenment(1925-1935), being the ten-year-period of practice after the initiation during which she entered the spiritual path and gained understanding through her encounter with Man-Gong and carried on his teachings which sprung from his wisdom mind, and the third period of preservation and examination(1935-1965), being the thirty-year-period during which she devoted herself into the meditational practice until she entered into complete extiction. Her unique way of inspecting her level of practice and manifesting her spiritual powers through active interactions with the Bhikkhu meditation monks of the time was executed all throughout austerities, enlightenment, preservation and examination.
    Now, Bhikkhunī tradition cultivated by Bon-Gong is illuminating even more by the collective and zealous effort of her students in the modern period ; the wave of Dharma was succeeded through ten successors as if implicating the pursuit for the practice of Ten Pāramitā, which gave birth to two hundred students of Dharma forming "Bong-Rae-Mun-Jung," sustaining the veneration of meditation family of Bhikkhunīs.
    The basic intent for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state of enlightenment that Bon-Gong had attained as well as its correlation with the rise of the formation of the lineage and the succession of Dharma, through a close examination of Bon-Gong's way of practice and her interrelation with the male meditation monastics of the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禪學(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