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삼봉 정도전(三峰 鄭道傳) 정치사상의군신공치론(君臣共治論)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ambon Jeong Dojeon’s the politics of the “condominium of the king and ministers(君臣共治論)”)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21 최종저작일 2023.09
28P 미리보기
삼봉 정도전(三峰 鄭道傳) 정치사상의군신공치론(君臣共治論)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범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범한철학 / 110권 / 3호 / 31 ~ 58페이지
    · 저자명 : KOROESI NIKOLETT

    초록

    본 연구는 여말선초의 유학자 삼봉 정도전(三峰 鄭道傳, 1342~1398)의 군신 관계를 연구함으로써 조선조 군신공치(君臣共治) 사상의 발생과 그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일부 학자들은 삼봉의 재상론에 집중하여 그의 군신관계에 대한 사상을 신권론(臣權論)의 측면으로 연구하고 있다. 그러나 필자는 삼봉의 정치사상은 “신권론”이 아니라 “군신공치”로 이해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군신공치’는 “임금과 신하가 국가를 함께 다스린다”라는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왕권과 신권이 서로 견제되어 균형을 이루는 정치이념으로 이해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이론은 임금과 신하들 간의 협력적인 통치를 강조하며, 군주제의 도덕적이고 윤리적인 측면에 기반을 둔다.
    삼봉은 역시 군신공치의 상호적 견제를 지지하며 이는 통치의 조화를 이루기 위한 필수적인 요건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삼봉은 왕권을 약화시키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신권을 왕권의 같은 수준으로 올려야 한다고 생각한 것이다. 삼봉은 국가의 최고 권위자로서 왕의 중요성을 인식하였고, 임금이 실권을 가진다는 점을 인정하지만 왕권은 신하의 충고와 지적에 의하여 제한되어야 한다. 삼봉은 임금이 절대적인 권위로 다스리는 것이 아니라 신하와 함께, 신하의 지적을 수합하여 결정을 내려야 한다고 확신한다. 특히 간관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간관은 왕권과 재상권을 견제하기 위하여 정치적으로 비판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며 간언의 역할을 수행한다. 다른 관직들도 권력의 분립에 역할을 한다. 결국 삼봉이 주장하는 군신관계는 조화를 이루기 위한 상호작용과 상호견제에 기반을 둔다.

    영어초록

    This paper focused on the relationship of the king and the ministers in Sambong Jeong Dojeon’s political philosophy who was one of the prominent Confucian scholars of late Goryeo-early Joseon period. While numerous scholars have previously explored Sambong's ideology, the majority of the interpretations suggest that his philosophy lends support to the concept of "ministerial power (臣權論)," wherein the prime minister wields the central authority while relegating the king to a purely symbolic role.
    However, this study suggests that Sambong's philosophical stance embraces elements of the "condominium of the king and ministers (君臣共治論)" ideology, which has roots tracing back to pre-Qin Confucian texts and later developed in Neo-Confucianism. The "condominium" refers to a governance system wherein the king and ministers collaborate harmoniously to rule the nation. The king, while holding decision-making authority, heeds the counsel of his ministers, and in turn, the ministers respect, support and help the king.
    This notion of the "condominium" can be discerned within Sambong's philosophy as well. Despite his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the prime minister, he does not seek to overly limit the king's power. On the contrary, Sambong acknowledges the king's vital role as the ultimate decision-maker and the sole authority to appoint or replace the prime minister. Moreover, the power of the prime minister is subject to limitations imposed by the king and other ministers who oversee and scrutinize the prime minister's actions and decisions.
    This paper tried to contribute a more nuanced understanding of Sambong's political thought, shedding light on how he uses the principles of the "condominium of the king and ministers". By reevaluating Sambong's philosophical stance, this study adds to the broader discourse on Confucian political thought during the early Joseon period, illuminating the intricate dynamics that gover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ing and ministers in the context of statecraf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범한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