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지식, 사용, 그리고 지시 (Knowledge, Use and Referenc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9 최종저작일 2019.06
18P 미리보기
지식, 사용, 그리고 지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동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대동철학 / 87권 / 21 ~ 38페이지
    · 저자명 : 김보현

    초록

    기술적 지시론은 화자가 이름을 사용하여 대상을 지시하는 것은 대상이 유일무이한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화자는 그것을 알고 한정기술구로 표현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이에 반하여, 인과․역사적 지시론은 화자는 이름을 고리에서 고리로 전달하는 언어공동체의 일원이기 때문에, 이름사용자들 사이에 형성되어 대상에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소통사슬의 도움을 받아 대상을 지시한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어린애가 태어나서 그의 부모가 그에게 이름을 지어주고 친지들에게 그에 관하여 말하면, 사람들은 그를 그 이름으로 부른다. 그 이름은 다양한 소통수단을 통해 마치 사슬처럼 고리에서 고리로 퍼져 나간다.
    인과․역사적 지시론자들은 기술적 지시론이, 지시체에 대해 잘못 알고 있거나 또는 거의 모르는 사람도 그것을 지시할 수 있다는 사실을 제대로 평가하지 못한다고 비판한다. 그들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 그들의 지시론이 기술적 지시론보다 더 나은 지시상(指示像)을 제시한다고 주장한다. 즉, 그들의 지시론에서는 이름을 그 임자에게 연결하는 끈이 화자의 바른 지식이 아니라 사용된 이름들 사이의 고리사슬이고 그 결과 그 이론은 지시를 지식에서 해방시키고 위의 사실을 올바로 평가한다는 것이다.
    인과․역사적 지시론에서는 이름은 이전의 이름에서 지시를 빌려오고 따라서 화자의 믿음(지식)에 들어맞는 대상이 지시체가 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런 지식이 필요 없다고 주장된다. 그러나 나는 그런 주장에 동의하지 않는다. 명명식에 참석한 사람들은 지시체에 관해 소위 대면지라는 것을 지니고 있다. 이들이 처음으로 사용하는 이름들은 지시를 빌려올 이전 이름이 없고 따라서 지시체에 들어맞음으로써 지시체를 식별하게 하는 화자의 지식(한정기술구)이 필요하다. 나는 이런 점에서 인과․역사적 지시론이, 최소한 부분적으로는 기술이론의 반복이라고 본다. 그뿐 아니라, 명명식에서 최초 이름 사용자가 대상을 오인함으로써 인과사슬 위에 있는 이름들이 모두 지시체를 지시하지 못 할 위험 또한 지적한다.

    영어초록

    The description theory of reference says a speaker can refer to an object by its name because the object uniquely possesses its properties which the speaker is to know and mention in the definite description. Compared to that, the causal-historical theory of reference asserts that a speaker can refer to an object with the help of a chain of communication going back to the object which has been established among the users of the name, for he is a member of a community which passed the name on from link to link. For example, when a baby is born and his parents give him a name and talk about him to their friends, people call him by that name. Through various means of communication, the name is spread from link to link as if it were a chain.
    Causal-historical Theorists criticize the description theory for not doing justice to the fact that even a speaker with false knowledge or without any knowledge of the referent can refer to it. They claim that the causal- historical theory presents a better picture of the reference than the description theory, because for the former, the bond connecting the name to it's bearer is not the speaker's true knowledge, but the causal link among the used names; with the result that it liberates reference from knowledge and deals with the above fact correctly.
    The causal-historical theory is claimed not to need any true knowledge about the referent because a name borrows reference from its previous name lest the referent should be the object of which the beliefs (knowledge) are true. But I do not agree to this claim. The persons who were present at the naming ceremony have the so called knowledge by acquaintance about the referent. The names used first by those people have no previous name to borrow reference from and require a backing of the speaker’s descriptions (knowledge) identifying the referent by its fitting them. In this respect I argue that the causal theory is at least partially a repetition of the description theory. In addition to that, I pointed out the danger that all the names on the causal link of the used names come to fail to refer to the referent owing to misidentification by the first speaker at the naming ceremon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