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선원의 노동기본권과 근로조건에 관한 선원법과 해사노동협약의 비교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Seafarer's Act and Maritime Labour Convention with respect to Seafarer's Labor Fundamental rights and Working Conditions)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6 최종저작일 2014.05
24P 미리보기
선원의 노동기본권과 근로조건에 관한 선원법과 해사노동협약의 비교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서울시립대학교 서울시립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서울법학 / 22권 / 1호 / 163 ~ 186페이지
    · 저자명 : 신동윤

    초록

    2014년 1월 9일, 한국은 해사노동협약을 승인한 56번째 회원국이며 14번째 아시아 국가가 되었는바, 2015년 1월 9일 발효 시점에 앞서 선원법과 해사노동협약의 비교분석은 중요한 논의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선원법은 해사노동협약을 비준하기 위한 목적 하에 마련된 것이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당해 협약을 충족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근본적인 문제는 한국정부가 해사노동협약이 명시하는 선원의 노동기본권을 아직까지 승인하고 있지 않는 것이다. 아울러, 선원의 근로조건에 관한 사항으로, 선원의 최저임금결정방식은 선원법에서 명시하거나 최저임금법을 준용하는 입법적 고려가 필요하며, 해사노동협약의 ‘선원의 특별한 요구’하는 경우, 선원법상 선박소유자와 선원간의 협의라는 의미속에 선원의 휴가지정권이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선원법 규정상, 송환의 재정보증의 대상자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해사노동협약의 ‘모든 선박소유자’ 규정을 충족하기 위해서 그 대상 범위를 확장해야 하며, 선박의 멸실 또는 침몰로 인해 선원이 실직한 경우, 선원에게 보상을 해줘야 함을 명시하고 있다는 점은 선원법이 추후 입법을 고려해야 할 부분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한국정부는 해사노동협약 승인을 위해 계속적인 논의와 노력을 해왔으며, 그 결과 선원법이 마련되었다는 것은 어느 누구도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다. 다만, 한국정부는 법 규정뿐만 아니라 실태조사를 통하여 선원의 법적권리가 보호되고 있고 잘 이행되고 있는지 확인해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On the 9th of January 2014, Korea is a 56th member that ratified Maritime Labour Convention and a 14th country in Asia so tha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eafarer's Act and Maritime Labour Convention will be an important discussion before the point of the effectivation. In the last analysis, the Seafarer's Act satisfies the Maritime Labour Convention in a rough way since it was prepared in order to ratify the convention.
    However, the fundamental matter is that the Korean government have still not ratified the seafarer's fundamental labor rights indicated on the Maritime Labour Convention.
    Likewise, as the working conditions, the determination method of minimum wage shall be regulated on the Seafarer's Act or needed on legislative consideration and in the case of ‘a seafarer's special request' of the Maritime Labour Convention, it shall be interpreted that the seafarer's right of choice with holidays is included within the agreement between the shipowner and seafarer.
    Because the subject of financial guarantee with repatriation is limited under the Seafarer's Act, the scope of the subject shall be extended in order to satisfy the provision of‘all of the ship owners’ on the Maritime Labour Convention and the Seafarer's Act shall consider regulating that the compensation shall be given to the seafarer in the case of his/her unemployment due to the ship's destruction and submergence.
    As stated above, the Korean government has been with consistent its discussion and effort in order to ratify the Maritime Labour Convention and as a result, it is an undeniable fact that the Seafarer's Act is enacted. Merely, the Korean government shall affirm whether or not the seafarer's legal rights are protected and fulfilled through the regulation and fact finding surve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울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