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개인정보주체의 잊혀질 권리 관련 법적 연구 (Legal Research on Right to be Forgotten by Personal Information Subjects)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4 최종저작일 2024.08
46P 미리보기
개인정보주체의 잊혀질 권리 관련 법적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금융법학회
    · 수록지 정보 : 금융법연구 / 21권 / 2호 / 357 ~ 402페이지
    · 저자명 : 양기진

    초록

    오늘날 고도의 정보사회에서 개인정보의 가치가 재평가되면서 정보유통이 활발하여짐에 따라 이의 반대급부로 개인의 잊혀질 권리(삭제요구권)에 대한 수요가 절실해지고 잊혀질 권리의 실효적 행사를 지원하는 법제가 필요하게 되었다.
    현행 한국법제의 두드러진 특징은 개인정보 일반, 개인신용정보 그리고 개인위치정보로 나누어 정보보호에 관한 규정을 따로 두고 소관부처도 달리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쪼개기'식 법제는 규제의 일관성을 기하기 어렵고 수범자의 입장에서는 이를 준수하기 불편하다. 따라서 현행 법제를 손질하여 신용정보법이나 위치정보법상 개인정보 보호에 관한 사항은 개인정보법으로 이전·통합시킴으로써 규제의 일관성을 기할 필요가 있다.
    많은 경우 개인의 잊혀질 권리의 행사는 타인의 정보나 표현의 자유에 관한 권리와 갈등관계에 있기 마련이므로, 관련 법제는 상충하는 법익 간의 경중을 잘 저울질하여 합리적이며 타당한 기준을 제시하여야 할 것이다. 아울러, 오늘날에는 정보처리가 공익적 목적의 업무에 불가결한 경우가 많으므로 한국법의 개정시 ‘공익’적 사유의 정보처리 근거를 보강할 필요가 있다.
    정보주체의 동의가 없는 경우 사익(私益)을 위한 정보처리는 가급적 불가결한 경우로 제한하고 그 기준 역시 객관적으로 법규에서 제시하여야 한다. 또한 개인이 정보삭제요구권을 행사할 경우에 제3자가 제공받아 보유하는 개인정보도 함께 삭제하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현행 법제는 수탁자가 아닌 제3자에게 제공된 개인정보에 대하여 규제상 불분명한 점이 많다. 따라서 삭제요구권의 행사를 원활히 지원할 수 있는 통지의무를 규정하고 필요시 단일한 행사로 제3자들이 처리 중인 정보를 삭제하도록 하는 장치 마련도 생각해 보아야 한다.
    나아가 검색엔진을 통한 개인정보 노출위험이 더욱 커지고 있으므로 검색엔진 운영자에 대해 소위 검색표출 중단권을 행사할 수 있는 근거 마련이 필요하며, 아동·청소년의 경우 온라인상 남긴 족적을 보다 용이하게 삭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법제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In today's advanced information society, as the value of personal information is re-evaluated and information distribution has become active, the demand for the right to be forgotten (right to request deletion) by individuals has increased, and legislation supporting the effective exercise of this right are indispensable.
    A notable characteristic of the current Korean legislation about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s that it has divided laws which are executed by different government agencies about general personal information, personal credit information, and personal location information. This 'split' type of legislation makes it difficult to ensure regulatory consistency and it also makes people feel inconvenient to comply with these laws.
    When reorganizing the legislation, it is necessary to simplify the laws while significantly reinforcing the devices that can effectively assist exercising individual’s right to be forgotten. In many cases, the exercise of this right may be in conflict with the others’ right to information or freedom of expression, so the laws should present reasonable and appropriate standards by carefully weighing the conflicting interests. In addition, it is also recommended to allow more extensively information processing for public interest.
    In cases where an individual has not given consent,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vate interests should be limited more, and the standards for allowing information processing should be presented in the law objectively. In addition, under the current Korean laws, the right to request dele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s not supported when the personal information has been transferred to a third party; many unclear legal matters remain regarding personal information transferred to a third party. Therefore, it is worth stipulating an information collector’s obligation to notify to the third parties which he/she has provided personal information, and in terms of policy, establishing a mechanism to delete personal information being processed by third parties with a single exercise by the individual’s deletion request.
    Furthermore, since the search engine have been invented, the risk of personal information exposure through search result has increased. It is recommended to establish grounds for exercising against search engine operators the so-called right to stop displaying of search results. In case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legal system to support easier deletion of their online tra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금융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