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개인정보보호법제에 대한 소고: 개인정보보호법 및 신용정보법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Law: Focusing on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nd the “Use and Protection of Credit Information Act”)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3 최종저작일 2012.09
38P 미리보기
개인정보보호법제에 대한 소고: 개인정보보호법 및 신용정보법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경희법학 / 47권 / 3호 / 43 ~ 80페이지
    · 저자명 : 김준우, 소재선

    초록

    정보화 사회에 대한 학자들의 다양한 정의에도 불구하고, 현재 우리사회가 농경사회ㆍ산업사회로부터 유형적 자원을 토대로 하여 무형적 지식과 정보를 주요 생산자원으로 이용하는 정보화 사회로 변천되었음에 대하여는 별다른 이론(異論)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소위 정보화 사회라 함은 마땅히 우리가 지향해야 할 사회의 모습이라고 할 것이지만, 한편으론 이러한 사회가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파생되는 여러 문제점들, 이를테면 개인정보나 사적비밀, 감추고 싶은 사생활 등이 정보주체의 의지와 전혀 무관하게 침해되는 어두운 단면을 가지고 있음에 대하여도 무시할 수 없음이 명백하다.
    물론 이러한 문제점들의 발생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하여 우리나라는 여러 법적 수단을 마련하고 있으므로, 자기정보통제권은 과거 대비 보다 적절한 수준에서 보호될 수 있다고 판단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민하여 해결해야 할 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다고 생각한다.
    마련된 가이드라인이 과연 적정 수준인지, 즉 정보수집과 공유의 허용방법 및 허용된 정보공유의 범위, 그리고 허용된 범위를 초과하여 정보가 공유되거나 노출되었을 경우에 정보주체가 대응할 수 있는 대응수단 등이 적정 수준에서 규정되어 통제되고 있는지의 문제가 바로 그것인데, 특히 법인에 비해 더욱 열위에 있다고 보여지는 개인인 정보주체의 경우, 정보보호를 위한 법적 통제장치가 제대로 마련되어 있는지, 있다면 적절하게 운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깊이 있는 검토는 절실히 필요하다고 본다.
    다행히 개인정보보호와 관련하여 일반법이라고 부를 수 있는 개인정보보호법이 지난 2011년 9월 30일 우리나라에서 시행되어 그나마 “법적통제장치”의 “존재” 자체에 대하여는 일정부분 공백이 메워졌다고 볼 것이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법적통제장치”의 “적정성” 여부에 대하여는 여전히 그 완전성에 대한 의문을 계속 제기하지 않을 수가 없는 바, 따라서 이 연구는 다양한 정보수요로부터의 개인정보침해결과를 방지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의 법적 통제장치가 적절하게 마련되어 있는지와 관련하여, 개인정보자기결정권의 일반적인 내용을 살펴본 후 우리나라와 주요 국가들의 법제를 알아봄으로써, 우리나라 법제의 현 상태를 정확히 인식하고, 아울러 우리나라 법제에 내재하고 있는 쟁점들에 대하여도 간략하게나마 함께 살펴봄을 목적으로 하였다.

    영어초록

    Experts who study about human history and civilization have defined many concepts about the information society. Among the various concepts, it seems that there is no objection to the following fact: our society changed from the agricultural or the industrial society to the information society of using intangible knowledge and information as the most important productive resources along with tangible resources.
    The ‘Information Society’ can be said of the society which we ought to pursue in the future but otherwise, we cannot ignore the Information Society’s negative aspects that are of many problems stemming from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For example, in the Information Society, personal information, personal privacy, or other private conditions to be free from being observed or disturbed by other people may be violated against the subject’s will. It is clear that we cannot overlook those shades of the Information Society.
    Of course, in order to prevent those possible negative events, the Korean government is devising several legal terms. So, compared to the past, the Korean society today seemingly lets the social members exercise the right to control personal information at a more appropriate level. Despite of these legal terms are available, it is regarded that problems to be concerned and resolved still remain.


    * Researcher at Institute of Legal Studies Kyung Hee University.
    ** Prof. Dr. at Kyung Hee University Law School, and Advisor to Kyung Hee Institute of Legal Studies.
    One of the problems concerns the acceptability of guidelines which are prepared by law. More specifically speaking, there is a need to review rules and regulations for the subject of information who is situated in privacy violation. If the subject’s personal information is publicly shared or exposed to exceed the allowed range of sharing information or the accepted way of collecting and sharing information, the subject should be insured for his or her legal response. In general, if the subject of information is individual, he or she will be placed in the more disadvantageous position in terms of information security rather than the subject as corporate. Thus, it seems that it is desperately needed to conduct an in-depth review of whether legal control device for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exists, and if so, of whether it properly runs.
    Fortunately, on September 30th 2011, in Korea,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came into force. This Act can be regarded as the framework act in terms of the protection of personal information. With this, it seems that a part of the empty spaces, which have placed within the “existence” of “legal control device” itself, is filled. Yet, a question still continues to be raised as regarding the “adequacy” of the “legal control device” along with its completeness. With regard to these current situations, this study will examine general contents of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ver personal information. At this point, it will also discuss whether Korea’s legal system properly provides legal control device to prevent personal information against a number of demands of information. Then, this study will look at relevant legislations of both Korea and major countries. Accordingly, this study aims at clearly recognizing the current state of the Korean legislation. Furthermore, it briefly considers issues inherent in the Korean legisl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경희법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31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4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