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국 山東省 鐵山의 거대한 佛敎 刻經碑: 6세기 후반 漢族의 문화적 정체성 구현 (The Gigantic Buddhist Stele Carved on Mt. Tie in Zoucheng in the Late Sixth Century: Han Patronage and Their Social and Cultural Goals)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3.10 최종저작일 2017.06
29P 미리보기
중국 山東省 鐵山의 거대한 佛敎 刻經碑: 6세기 후반 漢族의 문화적 정체성 구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연구 / 294권 / 294호 / 131 ~ 159페이지
    · 저자명 : 하정민

    초록

    중국 산동성 남서부 鄒城市에 위치한 鐵山의 산기슭에는 완만한 경사면을 따라 높이 약 51.7m, 폭 약14m에 달하는 거대한 면적에 불교 경전의 일부가 새겨져 있다. 독실한 불교도 匡喆과 그 아우들 顯, 祖, 珎 이 그들과 뜻이 같은 몇몇 사람들과 함께 이 각경을 제작했고, 그 완성 연대는 579년이었다. 흥미롭게도 철산의 마애 각경은 상단에 용과 하단에 거북이를 지닌, 중국 漢代에 형성된 전통적인 石碑의 형태로 제작되었다.
    철산의 각경은 6세기 후반 北齊代(550-577)에 산동성 지역에 조성된 다른 불교 마애 각경들과 구별되는 특징이 몇 가지 있다. 먼저 철산 각경은 완만한 산길을 조금만 걸어 오르면 쉽게 이를 수 있는 산기슭의공개적인 위치에 새겨졌다. 이는 산동성 내 다른 동시기 불교 마애 각경이 산속 깊숙이 조용한 곳에 새겨진것과 다르다. 시각적인 특징 면에서 철산의 각경은 큰 규모를 자랑하며 멀리서도 한 눈에 볼 수 있게 제작되었다. 산동성의 6세기 후반 다른 불교 마애 각경이 약 3~7m 높이의 절벽 면에 100자 이내의 경문을 각 30cm 내외의 글자로 새긴 데 반해, 철산의 각경은 높이 50미터가 넘는 산의 표면에 946 글자의 긴 경문을, 각 글자의 크기도 50cm로 크게 조각한 것이다. 또, 다른 각경들이 단순히 직사각형의 구획 안에 새겨진 데 반해, 철산 각경은 중국 전통적인 석비의 형태로 제작되어 주목을 요한다.
    본고는 6세기 후반에 광철 형제가 자신들을 위한 불교 기념비를 만들고자 했을 때에, 어떠한 동기로중국 전통의 석비 형태를 채택하여 거대한 산의 표면에 각경을 새기도록 했는지 탐구한다. 철산의 각경은‘石頌’이라고 제목이 붙여진 장문의 각경 제기가 새겨져 있어서, 각경 제작을 둘러싼 당시 상황에 대하여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새겨진 불교 텍스트와 함께 철산 각경의 시각적인 특징 및 석‘ 송’에 설해진 후원자의 정체성과 이 기념비에 대한 설명에 주목하여, 본고는 철산 각경의 제작 동기와 역사, 사회 문화적 의의를고찰한다.
    철산 각경의 제작 동기에는 불교적 요소와 사회 문화적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였다. 불교적으로는 菩提心과 육바라밀과 四無量心 등 불교의 기본 개념을 설명하고 있는 『大方等大集經』의 한 부분을 공개적인 장소에 새김으로써, 이 각경을 볼 수 있는 모든 불교도들에게 불교 수행을 격려하고자 하였다. 철산 각경의 제작에는 후원자들의 사회 문화적인 동기도 중요하게 작용했다. 철산 각경 제작자들은 각경을 제작하는 데에 전통적 석비의 형태, 아름다운 서예, 그리고 서예 감평과 미적 평가에 대한 담론 등 여러 한족 지식인들의 전통 요소들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북제대는 선비족 문화와 관습, 그리고 중앙아시아 문화가 크게 유행하고, 한족 문화와 언어는 존중받지 못했던 사회였다. 대부분의 한족들은 관직에 나아가지 못했고, 소수의 관직을 얻은 한족들조차 정치· 문화적으로 불안정적인 위치에 있었다. 이러한 시기에 철산이 위치한 추성 지방의 한족 광씨 형제들은 여러 한족 문화의 요소들을 활용하여, 자신들의 찬란한 문화전통을 조용히 과시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철산각경을 제작한 것으로 보인다. 즉, 철산의 거대한 각경비는 중요한 불교 기념비일 뿐만 아니라, 지역 한족 엘리트들에게 있어서 자신들의 사회 문화적 정체성 구현을 위한 수사적 표현이었다.

    영어초록

    On the evenly ascending slope of Mt. Tie in Zoucheng, in the southwestern Shandong Province, the grand scale of Buddhist sutra carving reaches approximately 51.70 meters high and 14 meters wide. These magnificent carvings were created in ca. 579 CE. Interestingly, the sutra carving was laid out as a full-fledged traditional Han stele, with two dragons at the top and two tortoises below the sutra text. The carving at Mt. Tie has several characteristics distinct from Buddhist carvings at other mountains located in Shandong Province established during the Northern Qi Dynasty (550~577 CE). First, while the Buddhist carvings of this period were located in deep mountains and their location required an arduous climb up rough terrain to access them, the sutra carving at Mt. Tie is located at its foothill and is easily accessible to the public. Second, the scale of the carving at Mt. Tie was much more ambitious and the passages excerpted from the Buddhist sutra canon were much longer than those created at other mountains in Shandong. Third, the carvings at other mountains were created by monk patrons, while the carving at Mt. Tie was sponsored by several lay patrons. These features suggest that the carving at Mt. Tie was created not so much to serve religious goals, but rather to serve secular ones.
    This paper investigates the form and content of the texts carved at Mt. Tie as a way to explore their patrons’ goals for the creation of the giant stele form of sutra carving and the colophons there. It is fortunate that at the Mt. Tie site, the considerably detailed dedicatory inscription titled, Stone Hymn (shisong 石頌), still remains. The Stone Hymn gives us precious information about the patrons, their cultural identity, their social circumstances, and their aspirations for creating the carvings. Significantly, the Stone Hymn proudly reveals that the prime patrons’ ethnic and cultural identity is Han Chinese, with illuminated ancestry tracing back to the Han Dynasty.
    The visual aspects of the Buddhist carvings at Mt. Tie are very specific and identifiable.
    The creators intentionally employed the use of the traditional Chinese stele form and fine calligraphy for the text, and in the content of their writing, included an aesthetic evaluation of the calligraphy itself. Because of these intentional design and content elements, this paper suggests that the Mt. Tie engraving was the visual rhetoric of the Han Chinese people’s cultural identity, pride, and belief in their own supremacy. This paper investigates the Han Chinese patrons, as well as the Han Chinese artistic traditions they imported and then explores what the patrons hoped their creation would proclaim. Northern Qi social and cultural circumstances will be discussed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social and cultural atmosphere in which the Han Chinese patrons chose the forms and content for their crea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