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 [화엄경(華嚴經)]. [영락경(瓔珞經)]의 사계(四階)의 깊은 인연(因), [대품경(대품경:大品般若經)]. [대집경(大集經)]의 넓고 넓은 지극한 도(道)와 [일장경(日藏經 ... 술법이요 믿음을 일으키는(起信) 종체(宗體)가 된다.9) [능가경(楞伽經)]을 가리킴. 부처님이 마라야(摩羅耶)산의 능가성에서 비구. 보살들과 문답한 백팔의(百八義)를 지칭함.10 ... (佛法)에 들어가서 모든 공덕이 생겨나고 모든 마구니(魔)의 경계에서 벗어나서 위없는 도(道)에 이르는 것이다.[화엄경(華嚴經: 60권본)]의 게송에서 이렇게 말했다."믿음은 도
화된 말하는 삼강.오륜에 이르기까지 없는 것이 없습니다.경전은 크게 경(經).율(律).논(論) 세가지.삼장(三藏)으로 분류됩니다. 경은 석존이 설한 가르침이며 율은 수행사문과 재가 ... 한 한글 대장경이 있습니다.그밖에『여래장경』『승만경』『대보적경』『대승열반경』『대집경』『미륵상생경』『지장보살본원경』『수능엄삼매경』『금광명경』『능가경』『대일경』『금강정경』『원각경』『우란분경 ... 』등이 있습니다.또 계율에 관한 경전으로는 『사분률(四分律)』『십송률(十誦律』『우바새계경(優婆塞戒經)』등이 있습니다.논장으로는『대비바사론(大毘婆沙論)』『구사론(俱舍論)』『중론(中論
했고, 670년(문무왕 10)에는 무설전(無說殿)을 새로 지어 《화엄경(華嚴經)》을 강설(講說)하였으며, 그 후 751년(경덕왕 10)에 김대성(金大城)에 의하여 크게 개수되면서 탑 ... 쇼카왕경이나 방등대집경에 의하면, 수미산을 다스리는 제석천 또는 부처님이 지국천왕으로 하여금 동방에서 불법(佛法)을 지키라고 명령하였다고 하며, 그래서 지국천왕은 나라를 지키 ... 나한 의태를 나타내려한 것이 아닌지도 모르겠다.이 탑은 일명 석가탑(釋迦塔)이라고 하는데, 동쪽의 다보탑(多寶塔)에 대한 호칭으로, 《법화경(法華經)》에 보이는 석가여래 상주설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