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類개념에 대한 荀子의 인식과 활용

방대한 850만건의 자료 중 주제별로 만들수 있는 최적의 산출물을 해피 캠퍼스에서 체험 하세요 전문가의 지식과 인사이트를 활용하여 쉽고 폭넓게 이해하고 적용할수 있는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35 페이지
어도비 PDF
최초등록일 2023.04.03 최종저작일 2022.06
35P 미리보기
類개념에 대한 荀子의 인식과 활용
  • * 본 문서는 배포용으로 복사 및 편집이 불가합니다.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동양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방문화와 사상 / 12권
    · 저자명 : 이경무

    목차

    논문 초록
    Ⅰ. 서론
    Ⅱ. 類개념 인식
    1. 物類와 倫類그리고 有類와 無類
    2. 同類와 異類그리고 (能)類와 不(能)類
    3. 名과 稽實定數
    Ⅲ. 類개념 활용
    1. 以類度類와 比類-推類그리고 通類
    2. 統類와 壹統類및 通統類
    3. 類擧와 擧統類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초록

    類개념에 대한 순자의 인식은 세 가지 측면에서 묵자, 맹자, 공손룡은 물 론이고 후기 묵가와도 차별화된다. 첫째, 순자는 類개념을 物類와 倫類의 범 주로 구별하고, 그 안에서 倫類의 정당성을 有類와 無類의 구별로 세분화한 다. 둘째, 순자는 類개념을 同類와 異類의 범주로 구별하고, 그 안에서 倫類 의 실천을 不(能)類와 (能)類의 구별로 구체화한다. 셋째, 순자는 同類와 異類 의 범주 구별이 필요한 이유를 사물[事]의 실질[實]과 이름[名]의 관계 그리 고 사물[事]의 실질[實]의 같음[同]과 다름[異]에 근거하여 입론한다. 類개념에 대한 순자의 활용은 以類度類의 유비추리, 統類의 귀납적 일반 화, 類擧의 매거에 의한 귀납추리 등 세 가지 맥락에서 선진 제자 및 후기 묵 가와 차별화된다. 첫째, 類개념의 범주 구별 특히 同類와 異類에 대한 인식 을 근거로 유비추리 문제를 다루는 점에서 실용적이다. 둘째, 物類와 倫類, 同 類와 異類그리고 有類와 無類, (能)類와 不(能)類등의 범주 구별과 각 범주에 관한 인식을 근거로 귀납적 일반화 문제를 다루는 점에서 독창적이고 또 이를 인륜의 실천이나 언행 등에 적용한 점에서 실천적이다. 셋째, 소청을 판단 하거나 직무를 수행하는 등 여러 가지 일을 처리해 가기 위해 서로 같은 부류 [同類]를 사례로 들어 현실 문제를 해결한다는 점에서 실제적이지만 동시에 제한적이다.

    영어초록

    Xúnzǐ[荀子]’ lèi[類] concept understanding was be able to differentiate three points of view from Mòzǐ[墨子]’, Mèngzǐ[孟子]’, Gōngsūn Lóng[公孫龍]’ and late Mohist[墨家]’. First of all, Xúnzǐ[荀子] made up a distinction between wùlèi[物類] and lúnlèi[倫類] category as a concept of class or kind of things and that of ethics, so he could got subdivision between yǒulèi[有類] and wúlèi [無類] by ethical righteousness of lúnlèi[倫類]. Second, he divided lèi[類] concept into tónglèi[同類] and yìèi[異類] so he could get separate designation of class of sameness and kind of differentness and than got practical division between bùnénglèi[不能類] and nénglèi[能類] according to practical competence of applied ethics in lúnlèi[倫類]. And third, he argued about why the tónglèi[同 類] and yìèi[異類] categories that were driven from rectification of names and distinction between sameness and differentness of things should be discriminated. Xúnzǐ[荀子]’ lèi[類] concept application was also be able to distinguish from Mòzǐ[墨子]’, Mèngzǐ[孟子]’, Gōngsūn Lóng[公孫龍]’ and late Mohist[墨家]’ by three types of use and it’s logical context. First, he pragmatically revealed the progress of analogical inference that was deduced from analogy for the sameness about tónglèi [同類]. Second, he autonomously made up to several distinctions between wùlèi[物 類] and lúnlèi[倫類], tónglèi[同類] and yìèi[異類], yǒulèi[有類] and wúlèi[無 類], bùnénglèi[不能類] and nénglèi[能類] and than applied them for moral practice and behavior in real situations. Third, he practically but maybe restrictively in logic got solved or treated some kinds of regal judgment and public duties by adapting a trust example from the class of sameness on tónglèi[同類].

    참고자료

    · 없음
  • 자료후기

      Ai 리뷰
      지식판매자가 등록한 자료는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이 돋보입니다. 과제를 작성하는 데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좋은 자료가 많이 등록되기를 기대합니다.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본 학술논문은 (주)코리아스칼라와 각 학회간에 저작권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AgentSoft가 제공 하고 있습니다.
        본 저작물을 불법적으로 이용시는 법적인 제재가 가해질 수 있습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문화와 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