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경래. (2019). 『일본의 아동학대근절을 위한 사전예방정책에 관한 고찰』. 소년보호연구, 32(1), 1-39
· 경기신문, (202.05.03), “학대피해아동쉼터 부족하니…경찰·아동학대전담공무원 ‘난항’”, https://www.kgnews.co.kr/news/article.html?no=643600
· 국회입법조사처, (2020.08.13.)아동학대 대응체계의 과제와 개선방향-아동보호전문기관을 중심으로
· 금강일보, (2020.03.29.) “신데렐라법이 뭐길래?...국내와 영국의 다른점은?”http://www.gg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756328
· 김경옥(2018), 『일본의 시쓰케(躾)를 명분으로 한 아동학대에 관한 연구』. 일어일문학연구, 106(2), 237-256.
· 국회입법조사처(2020),『일본의 자녀 체벌 금지 관련 법률 개정 동향과 시사점』. https://www.nars.go.kr/report/view.do?cmsCode=CM0043&brdSeq=30303
· 김수진(2017), "아동학대 및 아동학대 예방 부모교육에 대한 아버지의 인식." 국내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 김잔디(2014), 『일본의 아동학대에 대한 대처와 동향』. 서울법학, 22(2), 475-501.
· 김형모(2015), 『아동학대 피해아동 보호를 위한 지역사회 협력체계의 현황분석 및 정책과제』. 입법과 정책 7.2, 525-563.
· 류경희, 윤현석(2016), 『미국의 아동학대 수사절차상 피해자 보호 및지원에 관한 연구』. 피해자학연구, 24(2), 85-108.
· 매일경제 (2021.01.16.), “日울린 일본판 '정인이 사건'…계부 학대에 짓밟힌 '동심'” https://www.mk.co.kr/news/world/view/2021/01/50337/
· 매일경제, (2021.01.24.), [원영아 기억할게③] 아동학대 80% 가정에서…"위기가정 관리 급선무" “https://www.mk.co.kr/news/society/view/2021/01/75478/
· 매일경제 (2021.08.19.) , “0∼6세 가정방문 확대해 아동학대 위기 사전에 포착한다(종합)”https://www.mk.co.kr/news/society/view/2021/08/803826/
· 박언하(2018), 『한국의 아동학대예방 정책의 개선방안: 외국의 아동학대예방 정책 분석을 중심으로』. 복지상담교육연구, 7(1), 331-354.
· 박주영(2019), 『아동학대 방지를 위한 기관 간의 협력』.동아법학,(82),215-249.
· 배태상, 이희영(2021). 『학대피해아동 분리조치에 대한 검토와 개선방안』. 치안정책연구 35.4, 171-202.
· 배태상, 이희영.(2022).『아동학대 전담공무원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경찰학연구,22(1), 135-158.
· 법률신문 (2021.12.03.), “아동 학대 사건에서 ‘피해아동 즉각분리’ 재검토 필요”, https://m.lawtimes.co.kr/Content/Article?serial=174818
· 베이비뉴스 (2021.10.08.), “똑똑똑, 엄마와 아기는 잘 있나요?”… 생애초기 건강관리 시범사업'주목', https://www.ibaby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99017
· 보건복지부(2015). 2014 전국 아동학대현황보고서, www.mohw.go.kr.
· 보건복지부(2021). 아동학대 대응체계 강화 방안, www.mohw.go.kr.
· 보건복지부(2020), 2020년 아동학대 주요 통계. www.mohw.go.kr.
· 서영민(2018). 『영국 아동건강가정방문서비스의 현황과 과제』. 국제사회보장리뷰 5.- 136-141.
· 서울시여성가족재단(2017.06.13.), “[젠더브리프] 찾아가는 복지 서비스 해외 사례”https://www.seoulwomen.or.kr/sfwf/contents/sfwf-newsLetter.do?schM=view&schStr=%EC%B0%BE%EC%95%84%EA%B0%80%EB%8A%94%20%EB%B3%B5%EC%A7%80&id=7809
· 시사IN(2018.07.17.), “뉴욕 시의 ‘아동보호’ 호평받는 이유는?”, 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32283
· 신동아(2022.01.05.), “‘폭행 사망’ 세 살 오군 사건, 왜 반복되나 했더니…”, https://shindonga.donga.com/3/all/13/3114595/1
· 아동권리보장원, 아동학대 유형 및 징후, https://www.ncrc.or.kr/ncrc/cm/cntnts/cntntsView.do?mi=1030&cntntsId=1029&scrollTop=1050
· 아동복지법 [법률 제18425호, 2021. 8. 17., 타법개정], https://www.law.go.kr/법령/아동복지법
·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법률 제17906호, 2021. 1. 26., 일부개정] , https://www.law.go.kr/법령/아동학대범죄의처벌등에관한특례법
· 양소남(2012). 『영국의 아동사례관리체계: 조기개입과 학대아동보호를 중심으로."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7. 25-47.
· 연합뉴스 (2021.05.16.), “정인이 사건 이후 아동학대 근절 대책...현장에선 혼선” https://www.yna.co.kr/view/AKR*************0004
· 연합뉴스 (2021.06.03.), “[반복되는 아동학대] ② 예산 확대·부처 일원화와 인프라 구축 시급”, https://www.yna.co.kr/view/AKR*************0371
· 오정옥, 이경원(2015). 『미취학아동 부모가 인식하고 경험하는 훈육과 학대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복지학, 20(2), 247-271.
· 오향숙(2017). 『아동학대범죄의 사전예방을 위한 가정방문지원 - 미국의 Healthy Families America(HFA)의가정방문프로그램을 중심으로 -』. 少年保護硏究 30.2 , 53-87.
· 원혜연, 임윤령(202). 『미국 뉴욕의 아동학대예방체계 사례관리 고찰 : 한국 아동학대예방체계 사례관리 개선에 갖는 함의』. 아동과 권리 24.3, 489-514.
· 유명미, 박현숙.(2021).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개정내용 검토와 개선방안』..치안정책연구,35(1), 277-305.
· 윤혜미(2003). 『우리나라 아동학대예방센터 활동분석과 아동보호서비스 개선을 위한 논의』. 한국아동복지학, 15, 7-38.
· 이정념. (2021). 『아동학대의 초기 대응체계에 관한 비판적 고찰 :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을 중심으로』. 법과 사회, 66(0), 245-273.
· 이주연. 『미국의 학대아동보호를 위한 차등적 대응체계와 시사점』. 보건복지포럼 241.- (2016): 96-109.
· 이창수, 이용주, 홍상욱(2021). 『아동학대 대응 방안 실효성 분석』. 교정상담학연구, 6(1): 79-100
· 임동호(2008), 『아동보호체계 개선 방안 고찰 -미국과 영국의 아동학대 보호를 중심으로-』.아동복지연구 6.4 (2008): 77-95.
· 장윤영, 박태영.(2006). 『피학대아동의 위탁가정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한국사회복지학, 58(1),425-456
· 정규희, 김희송, 김종한, 양경무, 최인석, 박재홍(2021). 『훈육과 학대의 경계: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을 통해 살펴본 자신과 타인의 체벌 기준』. 保健社會硏究 41.4 , 225-242.
· 조의행(2014), 한국법제연구원, 『영국의 소위 「신데렐라법」 논란과 아동학대 관련 법제』, http://klri.re.kr:9090/handle/2017.oak/8660?mode=full
· 정익중(201). 『아동학대, 졸속 대책보다 실천이 중요하다』. 관훈저널 -.158, 59-66.
· 조성호(2017). 『일본의 자녀·육아 신제도 시행과 과제1).』 보건복지포럼 244, 87-98.
· 한국경제(2021.01.12.), “아동학대 예산 뜯어보니…'정인이 사건' 반복될 만 했다”,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101122158i
· 한국일보, (2020.12.14), “달랑 2주 온라인 교육 후 투입...아동학대 전담공무원 ‘두렵다’”, https://m.hankookilbo.com/News/Read/A*************002724
· 황옥경, 박지민, 구은미, 송미령(2021), 『한국, 영국, 미국의 법과 판례 비교를 통해 본 정서학대와 방임행위의 판단 요소』. 아동과 권리, 25(4), 561-5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