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요약
이 글은 주리적 관점에서 순수선(純粹善)의 절대성, 리의 신성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기와의 협잡(挾雜)을 단연코 거부하였던 이황의 리존적 리발에 따른 성선관을 검토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아울러 본 논문에서는 이황 철학의 독특성, 이를테면 주희를 비롯한 송대 성리학자들이 상정한 리의 개념인 ‘무정의’, ‘무조작’, ‘무계탁’ 등의 일반적인 규정을 넘어서, 리의 능동적인 자발성을 주장하고 있다는 것에 중점을 두고 전개하였다.
이황 리발의 문제는 리생기(理生氣)의 논리나 리를 절대시하는, 능발(能發), 능생(能生), 능동(能動)의 활물(活物)로서의 창조적 리로 규정하는데서 더욱 확연해진다. 또한 리는 유한성ㆍ유욕성ㆍ생명성을 갖는 기의 생성 원인이다. 이러한 것을 전제한 사유의 결과, 리(태극)는 능생자인 반면에 기(음양)는 소생자라고 이황은 상정하고 있다.
즉 리는 순선무악(純善無惡)한 존재로서, 만물을 생성하는 창조의 근원자로 보아 결국 리발을 강조한 것이며, 이를 성발(性發)로 재해석함으로써 인간 심성의 문제를 설명하였고, 나아가 이것을 근거로 하여 종국적으로 ‘理’자의 알기 어려운 의미를 이해함으로써, 비로소 ‘知’에 도달할 수 있음을 역설하고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리의 의미에 대한 완전한 이해와 구체적인 인식 방법은 오로지 궁리와 거경에 의해서만 가능하다고 믿는 것이 성선에 대한 이황의 철학적 입장이다.
이러한 이황의 사상은 심성론으로는 ‘리존기천’의 사상으로 표출되고 있으며, 이것은 결국 ‘사단칠정’, ‘인심도심’, ‘본연성’, ‘기질성’ 등에 대한 자신만의 독특한 철학적 견해를 피력하기에 이른다. 이는 리존적 입장에 따라 ‘절대선’을 지향하기위한 방편으로서, 존재론에서는 주리론을 주장하는 리기론으로, 가치론에서는 가치지향성을 강하게 나타내는 수양론으로 드러나고 있다.
궁극적으로 이황은 지선(至善)으로 표현한 리존의 숭리적(崇理的) 입장과 달도(達道)의 수양 방법으로서, 경(敬)을 통한 인륜과 의리의 구현을 강조하였다는 점에서, 그의 가치 지향적인 리존의 성선관을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논어』, 보경문화사, 1990, 서울
· 『대학』, 보경문화사, 1990, 서울
· 『주자어류』, 대북, 理學叢書, 1978, 중화서국
· 『성리대전』, 景文社, 영인본, 1984, 서울
· 『이정전서』, 景文社, 영인본, 1981, 서울
· 『도산전서』,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84, 서울
· 『퇴계전서』, 成大, 大同文化硏究院, 1978, 서울
· 『율곡전서』, 成大, 大同文化硏究院, 1978, 서울
· 김승태,「李滉 理氣論의 ‘統看’에 따른 종합적 사유」,『동서철학연구』, 한국동서 철학회, 제16호, 1998
· ,「李震相의 三看에 따른 主理論 -栗谷과 對比하여-」,『동서철학연구』, 한국동서철학회, 제57호, 2010
· ,「이현일의 리기 합,이간에 따른 주리론」,『대동철학』, 대동철학회, 제 53집, 2010
· 송인창,「退溪 理發說의 易學的 理解」,『철학논총』, 제26집, 새한철학회, 2001
· 유승국,『한국의 유교』, 세종대왕 기념 사업회, 1980
· 윤사순,『퇴계철학연구』, 고대출판부, 1986
· 이상익,『기호성리학논구』, 심산, 2005
· 이완재,「퇴계의 인간관」, 예문서원, 2002
· 안병주,「퇴계의 학문관」,『퇴계이황』, 예문서원, 2002
· 유지웅,「이황과 이이 성리학의 차이 극복을 위한 고찰(Ⅰ)」,『동서철학연구』, 한국동서철학회, 제57호, 2010,
· 안재호,「도덕정감은 독립적인가?」,『동서철학연구』, 한국동서철학회, 제33호, 2004
· 윤천근,『退溪哲學을 어떻게 볼 것인가』, 온누리, 1987
· 황의동,『율곡이이』, 살림, 2007
· ,『기호유학연구』, 서광사,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