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277개
-
비행역학 항공기 성능 산출2025.11.111. 항공기 성능 계산 주어진 항공기 제원(무게 5000lb, 날개면적 167ft², 터보프롭 엔진 1000hp)을 바탕으로 무게중심(c.g.)이 20%, 25%, 30%MAC에 위치할 때의 성능을 계산한다. 해수면, 10,000ft, 20,000ft 고도에서 최대속도, 최대상승률, 최대항속거리, 서비스 천장고 등을 산출하며, 프로펠러 효율 0.85, 연료소비율 0.4lb/hr/hp를 적용한다. 2. 상승비행 운동방정식 등속상승비행에서 항공기에 작용하는 양력, 항력, 추력, 무게의 힘의 균형을 분석한다. 상승각과 상승속도가 일정하게...2025.11.11
-
압축성 유체와 비압축성 유체의 특성 및 항공역학적 영향2025.11.151. 압축성 유체와 비압축성 유체 압축성 유체는 압력을 받으면 체적이 줄어들고 밀도가 증가하는 유체를 의미한다. 반면 비압축성 유체는 밀도의 변화가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은 유체이다. 공기의 경우 마하 0.3 이하의 흐름을 비압축성 흐름으로, 마하 0.3을 초과하는 흐름을 압축성 흐름으로 취급한다. 이러한 구분은 항공기 설계 및 공력 해석에서 중요한 기준이 된다. 2. 음속과 마하수 음속은 음파가 전달되는 속도로, 공기 중에서는 a=√(γRT) 공식으로 계산된다. 여기서 γ는 비열비(공기의 경우 1.4), R은 기체상수(287 ...2025.11.15
-
(A0) 서울대 항공우주공학과 압축성유체역학 HW/중간대체과제/텀프 모음2025.01.181. 압축성 유체 역학 이 과제는 압축성 유체 역학 분야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압축성 유체 역학은 유체의 밀도 변화가 유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학문 분야입니다. 이 과제에서는 쐐기와 원뿔 형상에 대한 무점성 유동 해석, 고체 벽면에서의 충격파 반사 현상 등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압축성 유체 역학의 기본 개념과 수치 해석 기법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1. 압축성 유체 역학 압축성 유체 역학은 유체의 밀도 변화가 유동 특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분야입니다. 이 분야는 항공, 우주, 자동차 등 다양한 산업 분야...2025.01.18
-
항공기 기체의 구조2025.11.151. 항공기 기체 구조의 구성 및 기능 항공기 기체는 동체, 날개, 꼬리날개, 착륙장치, 기관 마운트 및 나셀로 구분된다. 기체 구조는 비행 중 항공기에 작용하는 하중에 견디고 경제적인 운항을 위해 가벼워야 한다. 기체에 작용하는 하중은 인장, 압축, 전단, 비틀림, 굽힘 하중이 있으며, 1차 구조는 중요한 하중을 담당하고 2차 구조는 비교적 적은 하중을 담당한다. 2. 동체 구조 형식 및 주요 부재 동체는 승무원, 승객, 화물을 수용하고 날개와 꼬리날개가 장착되는 구조이다. 동체 구조는 트러스 구조와 응력 외피 구조로 나뉜다. 응...2025.11.15
-
양력의 발생 원리2025.11.151. 항공기에 작용하는 4가지 힘 항공기에는 양력, 중력, 추력, 항력의 4가지 기본 힘이 작용한다. 양력은 중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작용하여 항공기를 뜨게 하는 힘이며, 대부분 주날개에서 발생한다. 중력은 만유인력의 법칙에 의해 지구가 항공기를 끌어당기는 힘이고, 추력은 항공기 기관에서 생성되어 비행경로 방향으로 작용한다. 항력은 비행경로에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며 유도항력과 유해항력으로 구분된다. 2. 베르누이 정리 베르누이 정리는 유체의 에너지 보존 법칙으로, 비압축성 비점성 유체의 흐름에서 압력, 속도, 높이의 관계를 설명한다...2025.11.15
-
항공기의 Trim 포인트 산출2025.04.271. Trim 상태 Trim 상태는 항공기가 일정한 고도와 속도를 유지하며 C.G를 중심으로 하는 모멘트가 0인 각운동 없이 날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조종사의 입장에서는 조종간에 걸리는 힘으로 비행상태를 느끼므로 이러한 설명은 타당하지 않다. 비행 중에 조종사는 평형 여부를 항공기에 작용하는 힘의 크기보다는 조종간에 걸리는 힘인 조종력으로 판단하게 된다. 2. Trim 상태에서의 CL, CD, alpha, delta_e Trim 상태의 CL, CD, alpha, delta_e를 구하려면 Cm-CL 그래프에서 시작해야한다. Cm=0...2025.04.27
-
[A+] 항공기계공학개론 / 리커다인 활용2025.05.151. RecurDyn에 대한 소개 RecurDyn은 ㈜FunctionBay에서 개발한 동역학 해석 프로그램으로 다물체 동역학(MBD: Multi-Body Dynamics)에 특화 되어있다. 하나 이상의 강체가 기구학적인 구속 조건이나 접촉 조건 등으로 연결되어 있는 시스템에 힘이 작용할 때 거동을 예측할 수 있다. 강체를 이용하여 시간에 대한 해석을 수행하기 때문에 빠르게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2. RecurDyn에서의 구현과정 RecurDyn에서 조건 설정: 막대BA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 초기조건을 속도로...2025.05.15
-
정역학은 힘을 받는 질점과 강체에 대해 평형상태에서 힘을 분석하는 학문이다2025.05.101. 정역학의 중요성 정역학은 물리학과 공학에서 중요한 개념이며, 힘을 받는 질점과 강체에 대한 평형상태를 분석하는 학문이다. 정역학을 배워야 하는 이유는 구조물 설계, 기계 시스템 분석, 자동차 및 항공기 엔지니어링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되기 때문이다. 정역학을 이해하고 적용함으로써 안전성, 성능 및 구조물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기술공학 분야에서 더 나은 설계와 개발을 실현할 수 있다. 2. 정역학의 구조물 설계 적용 기술공학에서 정역학은 구조물의 안전성과 강도를 평가하는 데 중요한 도구이다. 정적 및 동적 하중 조건...2025.05.10
-
비행역학 Required Power Curve(필요 동력 커브) 산출2025.04.271. 필요추력(Thrust Required) 항공기가 주어진 고도에서 비행을 하는데 필요한 추력을 필요추력(Thrust Required)이라 하고, 항공기에 장착한 추진기관으로부터 비행에 이용할 수 있는 추력을 이용추력(Thrust Available)이라 한다. 등속수평비행에서 필요추력은 항력과 같다. 필요추력은 유해항력(Parasite Drag)과 유도항력(Induced Drag)을 감당하는 추력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다. 2. 필요동력(Power Required) 항공기의 동력은 비행속도(V)와 추력(T)의 곱으로 나타낼 수 있...2025.04.27
-
동역학의 중요성과 기술공학 분야에의 적용2025.05.101. 동역학의 정의와 중요성 동역학은 물체의 운동과 이에 영향을 주는 힘과 에너지를 연구하는 물리학의 한 분야이다. 동역학을 배우면 운동 현상을 깊이 이해할 수 있고, 기술공학 분야에서 더 나은 제품과 시스템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된다. 2. 동역학을 배워야 하는 이유 동역학을 배워야 하는 이유는 첫째, 운동 현상에 대해 이해할 수 있고, 둘째, 설계 및 최적화를 할 수 있으며, 셋째, 안전 및 신뢰성을 평가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되고, 넷째, 제어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다섯째, 현상에 대한 이해와 창의성이 향상되...2025.05.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