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14개
-
면역항암제: 항체치료제의 원리와 임상 응용2025.11.181. 항체치료제의 작용 원리 항체는 Y자 모양으로 항원과 정상세포를 구별하는 선별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항체의 양 팔에 있는 항원 결합 부위가 상보적 결정부위에 의해 표적 항원을 선택적으로 인지합니다. 항원 제거 과정에서는 차단 기능(수용체에 항체 결합으로 신호 전달 차단), 항체-의존적 세포-매개 세포 독성(암세포 특이 수용체 인식 후 세포 사멸 유도), 보체-의존적 세포독성(세포막 공격으로 표적세포 용해) 등 다양한 기전을 활용합니다. 2. 항체치료제의 종류 및 분류 수용체 표적 항체치료제는 항체가 수용체에 결합하여 수용체 구...2025.11.18
-
아동간호학 요약2025.01.151. 혈액문제를 가진 아동간호 혈액은 혈구와 혈장으로 나뉘며 혈청은 혈장에서 단백질과 섬유응고원이 제거된 것을 의미한다. 혈구는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으로 나뉜다. 적혈구는 비장에서 제거되며 평균 수명은 120일이다. 백혈구는 골수에서 생성되어 과립백혈구인 호산구, 호중구, 호염구와 무과립백혈구인 B림프구, T림프구, 단핵구로 나뉜다. 혈소판은 8-10일의 수명으로, Thrombopoietin에서 생성되며 간과 비장에서 파괴된다. 신생아의 혈액량은 85ml/kg이며 출생시 RBC, Hb이 증가하고 WBC가 높으며 혈소판과 혈액응고...2025.01.15
-
Kawasaki disease 가와사키병2025.05.071. 가와사키병 정의 가와사키병(Kawasaki disease)은 점막하림프절 증후군이라고도 하며 소아에서 발생하는 원인 불명의 급성 발진성 혈관염이다. 이 질환은 전신에 다양하게 침범하여 피부, 점막, 림프절, 심장 및 혈관, 관절, 간 등에 기능 이상을 가져올 수 있고 가장 발생 빈도가 높은 후천 심장병이다. 2. 가와사키병 원인 원인은 불확실하지만, 현재까지는 유전학적 요인이 있는 소아가 다양한 종류의 병원체에 의해 감염되어 과민반응이나 비정상적인 면역학적 반응을 일으켜 질환이 발생한다고 추정하고 있다. 3. 가와사키병 증상 ...2025.05.07
-
간호관리학 인수인계 신장병2025.01.211. 간호관리학 간호관리학은 간호사가 간호 실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지식, 기술, 태도를 다루는 학문입니다. 이 자료는 간호관리학 임상실습 중 인수인계 실습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인수인계는 환자 정보와 간호 계획을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연속성 있는 간호를 제공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 2. 신장병 이 자료에서 다루고 있는 환자는 B-ALL(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진단을 받고 항암 및 supportive care를 위해 입원한 상태입니다. 환자는 신체 증상으로 양측 다리 색 변화, 양측 손발 부종, 호흡곤란 등을...2025.01.21
-
백신의 종류, 제조 과정 및 작동 원리2025.11.151. 백신의 종류 백신은 약독화 생백신, 사백신, 아단위단백질 백신, 바이러스유사입자 백신, 톡소이드 백신, DNA 백신, mRNA 백신, 바이러스 벡터 백신 등 8가지 종류가 있다. 약독화 생백신은 약화된 살아있는 병원체로 강력한 면역반응을 유도하며 BCG 백신이 대표적이다. 사백신은 죽인 병원체로 안정성이 좋지만 낮은 면역반응을 보이며 B형 간염 백신이 예시다. mRNA 백신은 DNA 백신의 전사과정을 생략한 것으로 화이자 백신이 있고, 바이러스 벡터 백신은 아데노바이러스를 변형하여 항원 유전정보를 전달하는 방식으로 아스트라제네...2025.11.15
-
[병리학] 06 면역2025.01.231. 면역 세포 면역을 담당하는 주요 세포로는 B세포, T세포, 자연살해세포(NK세포), 큰포식세포(대식세포) 등이 있다. B세포는 항체를 생산하는 세포이며, T세포는 세포성 면역을 담당한다. 자연살해세포는 특정 항원에 면역되어 있지 않아도 종양세포나 감염 세포를 죽일 수 있는 세포이다. 큰포식세포는 선천면역을 담당하고 항원을 림프구에 제시하는 역할을 한다. 2. 체액성 면역과 세포성 면역 체액성 면역은 항체가 항원과 결합하여 일어나는 면역반응이다. 항체가 혈액이나 다른 조직액을 통해 운반되기 때문에 체액성 면역이라고 한다. 세포성...2025.01.23
-
1형 당뇨병 소아 환자 간호 사례 연구2025.11.161. 1형 당뇨병(Type 1 DM)의 정의 및 병태생리 1형 당뇨병은 인슐린 의존형 당뇨병으로 췌장의 랑게르한스섬 베타세포가 자가면역 반응에 의해 90% 이상 소실되어 절대적 인슐린 결핍을 초래하는 질환입니다. 주 발병 연령은 7~15세이며 유전적 요인과 바이러스 감염 등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합니다. T림프구와 B림프구가 베타세포를 항원으로 인식하여 항체를 생성하고 베타세포를 공격하면서 혈당이 증가하여 고혈당증이 지속됩니다. 2. 1형 당뇨병의 임상증상 및 진단 1형 당뇨병은 2형과 달리 갑자기 발병하며 다뇨, 다음, 다...2025.11.16
-
Nester's Microbiology Chapter 14: 인체 방어 기전2025.11.171. 피부의 감염 방어 기전 피부는 기계적, 화학적 방법으로 감염을 예방한다. 기계적으로는 밀접하게 연결된 피부 세포와 죽은 세포, 케라틴으로 구성된 표피층이 장벽 역할을 한다. 화학적으로는 산성 상태 형성과 상재 박테리아가 외부 세균 감염을 억제한다. 침에는 과산화효소, 리소자임, 락토페린 등 항균 물질이 포함되어 미생물 감염을 방지한다. 2. 보체계(Complement System)의 활성화 경로 보체계는 고전 경로, 렉틴 경로, 대체 경로 세 가지로 활성화된다. 고전 경로는 항체 인식으로, 렉틴 경로는 렉틴과 MASP에 의해,...2025.11.17
-
효소 면역 측정법(ELISA)2025.01.291. 항원항체 반응 항원은 외부에서 침입한 세균, 바이러스, 독소 등의 이물질을 말하고, 항체는 항원에 결합하는 면역 단백질로 B림프구에 의해 생성되어 주로 혈장에 존재한다. 항원 항체 반응은 한 가지 항체에 한 가지 항원만 반응한다는 특이성을 보이며 항원을 중성화, 응집, 침전시켜 백혈구의 식세포 작용이 잘 일어나게 한다. 2. 효소 면역 측정법(ELISA) ELISA는 항체-항원 반응을 이용하여 시료에 존재하는 물질(일반적으로 단백질)의 양과 항원-항체 반응 강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다. 직접 ELISA, 간접 E...2025.01.29
-
간경화증의 병태생리와 치료 사례2025.01.041. 간경화증의 병태생리 간경화증은 간세포의 파괴와 재생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간의 정상적인 구조가 섬유화되고, 재생결절로 대치되며 혈관구조가 크게 뒤틀려 나타나는 병리조직학적 변화를 말한다. 간이 섬유화되면 간은 굳어지고, 섬유화와 재생된 결절이 혈관과 쓸개즙 통로를 압박하여 혈액이 간을 통과하기 어려워지면서 문맥압이 상승하게 된다. 간경화증의 증상은 대부분 문맥성고혈압에 의해 나타난다. 2. 간경화증의 원인 간경화증의 주요 원인은 알코올성 간질환이다. 알코올로 인해 간세포가 퇴행하고 지방, 백혈구, 림프구가 침투하여 간이 커지게 ...2025.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