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18개
-
마가복음 12장 35-44 설교문2025.01.121. 그리스도와 다윗의 관계 당시 유대인들은 그리스도(메시아)를 다윗의 자손으로 불렀습니다. 그들은 하나님께서 다윗과 같은 위대한 지도자를 보내주실 것이라 믿었습니다. 그러나 예수님께서는 자신이 다윗의 자손이 아니라 다윗의 주가 되시는 분이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예수님의 말씀은 메시아가 단순히 이스라엘 왕국을 회복하는 것이 아니라 온 세상에 하나님 나라의 도래를 선포하는 분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2. 서기관(율법학자)들에 대한 비판 당시 종교 지도자들은 자신들의 권세와 권위를 높이는 데에만 관심을 기울였습니다. 그들은 자신들을 찬란...2025.01.12
-
기독교 교양과목 시험 대비 암기 요약2025.11.171. 사랑의 의미와 본질 기독교에서 사랑은 단순한 감정을 넘어 이웃에 대한 의지적이고 행동적인 헌신을 의미한다. 사랑은 타인의 최선을 위한 행동이며, 이웃의 이익을 도모하고 섬기는 행위를 포함한다. 예수님의 가르침에 따르면 사랑은 이웃을 돕고, 서로 희생하며, 고통을 완화하는 실천적 행동이다. 이러한 사랑은 신앙인의 삶을 이끄는 중심이 되며, 신앙인들의 삶을 통해 하나님의 사랑이 실천적으로 드러난다. 2. 참된 자유의 개념 기독교에서 자유는 선택의 권리를 넘어 죄와 사망에서의 해방을 의미한다. 참된 자유는 죄악, 불의, 공포, 탐욕...2025.11.17
-
이사야 1장 2-20절: 하나님을 배반하는 죄에 대한 경고2025.11.121. 부모와 하나님을 거절하는 죄 세상에서 가장 큰 죄는 부모를 거절하는 것이고, 영적으로는 하나님을 배반하는 것입니다. 두 경우 모두 사랑을 받고도 그렇게 하며, 받은 사랑을 알면서도 거역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마귀를 거절하는 것은 죄를 거절하는 의로운 행동이지만, 복을 주는 하나님을 거절하는 것은 멸망으로 이어지는 죄입니다. 2. 이사야 1장 4절의 경고 이스라엘 백성을 향한 하나님의 슬픔을 표현합니다. 범죄한 나라, 허물 진 백성, 행악의 종자, 부패한 자식들이 여호와를 버리고 이스라엘의 거룩하신 이를 만홀히 여기며 멀리하고 ...2025.11.12
-
구속언약: 성경적·신학적·역사적 관점2025.11.121. 구속언약의 기원과 전개 구속언약은 1638년 데이비드 딕슨이 스코틀랜드 교회 총회에서 처음 용어를 사용했으며, 17세기 후반에 일정하게 등장하여 표준으로 자리 잡았다. 16세기 전체와 17세기 초반에는 창세전 삼위일체 세 위격 사이의 내적 언약의 존재가 논의되었고, 종교개혁 이후 개혁파 정통 사상 안에서 17세기 중반부터 20세기 초반까지 공인된 관념으로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졌다. 2. 구속언약의 성경적 원리 성경은 창세전 성부와 성자 사이의 협정 존재를 암시하는 언어를 사용한다. 매매 용어, 화목제물 명칭, 성부와 성자의 대화...2025.11.12
-
20240930월 매일성경 새벽설교 열왕기하 15장 23절-38절, 혼돈 속에서 흐르는 하나님의 은혜2025.01.231. 여로보암의 죄에서 떠나지 아니한지라 본문은 이스라엘 왕국의 혼란스러운 시기를 배경으로 하고 있습니다. 짧은 기간 동안 여러 왕들이 교체되며, 정치적으로 불안정하고 도덕적으로 타락이 만연한 상황이었습니다. 특히, 브가히야 왕에서 시작하여 베가를 거쳐 호세아에 이르기까지, 계속되는 쿠데타와 왕의 교체로 인해서, 북이스라엘은 극심한 혼돈 속에 빠져들고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북이스라엘이 겪고 있는 이러한 혼란의 근본 원인은 바로 하나님을 떠났기 때문입니다. 2. 그럼에도 계속 이어지는 하나님의 은혜 이러한 영적 타락은 필연적으로 사...2025.01.23
-
기도문2025.01.051. 기도 이 기도문은 금요기도회에서 드려지는 기도로, 하나님께 감사와 회개, 기도 응답, 국가와 세계 평화를 위한 기도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기도자는 하나님의 사랑과 은혜를 간구하며, 일상의 어려움과 죄를 고백하고 용서를 구합니다. 또한 국회의원 선거와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등 시사적인 문제에 대해 기도하며, 말씀 전파와 예배 봉사자들을 축복하기도 합니다. 1. 기도 기도는 개인의 신앙생활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차지합니다. 기도를 통해 우리는 하나님과의 관계를 깊이 있게 유지할 수 있으며, 삶의 어려움...2025.01.05
-
시가서 기말 주해레포트 [시편 23편]2025.05.021. 시편 23편 시편 23편은 여호와가 나의 목자시니 내가 부족함이 없다는 내용으로, 하나님의 보호와 인도하심을 노래하고 있다. 이 시편은 한국교회에서 가장 사랑받는 시편 중 하나로, 필자는 '등잔 밑이 어둡다'는 속담과 '꺼진 불도 다시 보자'라는 표어를 통해 이 시편이 익숙하지만 새로운 의미를 발견할 수 있다고 제안한다. 1. 시편 23편 시편 23편은 하나님의 보호와 인도하심을 노래하는 아름다운 시편입니다. 이 시편은 하나님께서 우리의 목자이시며, 우리를 푸른 초장과 잔잔한 물가로 인도하신다는 메시지를 전합니다. 우리가 어려...2025.05.02
-
여호와이레 창세기 22장1-14 설교문2025.01.241. 하나님의 시험 하나님의 시험은 분명한 이유가 있고 우리의 성장을 가져오지만, 사단의 시험은 유혹으로 우리를 넘어뜨립니다. 아브라함은 하나님의 부르심에 순종하여 이삭을 번제로 드리라는 명령을 받았지만, 이는 인간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아브라함은 하나님의 선하심과 부르심을 믿고 순종하였습니다. 2. 여호와이레 아브라함은 하나님이 준비하신 숫양을 발견하여 이삭 대신 번제로 드렸습니다. 이를 통해 아브라함은 하나님이 보고 계시며 준비하신 것을 보게 되었습니다. 이처럼 우리의 삶에서도 하나님이 보고 계시며 준비하신...2025.01.24
-
마가복음 14장 53-72 고난주간 설교문2025.01.151. 베드로의 예수 부인 베드로는 예수님을 멀찍이 따라가며 예수님을 부인했다. 이는 공간적 거리뿐만 아니라 신뢰와 믿음의 거리를 나타낸다. 우리와 예수님과의 관계도 이와 같아서, 단순히 멀찍이 있는 것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우리는 진리를 깨닫고 무엇이 중요한지 분별해야 하며, 우리의 믿음의 자리가 어디인지 생각해 보아야 한다. 2. 예수님의 고난과 침묵 예수님은 공회에서 모함을 당하고 사형선고를 받으셨지만, 전혀 흔들림이 없으셨다. 예수님은 침묵하며 자신이 메시아이자 하나님의 아들임을 고백하셨다. 이에 대해 대제사장과 사람들은 신성...2025.01.15
-
마태복음 5장 21-48절: 율법의 성취와 제자의 의2025.11.151. 살인과 분노의 죄 마태복음 5장 21-26절에서 예수님은 구약의 살인 금지 계명을 넘어 마음의 분노와 욕설까지 문제 삼습니다. 형제에게 화를 내거나 '라카'(골빈 놈), '미련한 놈' 같은 욕설을 사용하는 것도 살인 행위에 해당하는 유죄 판결을 받는다고 선언합니다. 예수님은 이러한 분노와 사소한 욕설이 지옥 불에 들어가게 할 정도로 심각한 문제임을 강조하며, 제자들이 형제와의 불편한 관계를 회복하고 화해해야만 하나님께 예배를 드릴 수 있다고 가르칩니다. 2. 간음과 마음의 정욕 마태복음 5장 27-30절에서 예수님은 구약의 간...2025.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