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18개
-
데살로니가전서 2장 1-16절 설교2025.11.161. 사도 바울의 사역 정신과 헌신 바울은 빌립보에서 고난과 능욕을 당했지만 하나님을 힘입어 복음을 전했습니다. 그의 권면은 간사함이나 부정에서 나온 것이 아니며, 사람을 기쁘게 하려 함이 아니라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려 했습니다. 아첨이나 탐심 없이 투명하고 정직하게 사역했으며, 사람에게서 영광을 구하지 않았습니다. 이는 모든 성도들이 보고 듣고 경험한 대로의 순수한 사역이었습니다. 2. 목자적 사랑과 헌신의 모델 바울은 그리스도의 사도로서 권위를 주장할 수 있었으나 도리어 유순한 자가 되어 유모가 자녀를 기름과 같이 했습니다. 밤...2025.11.16
-
진가가 드러나는 때(에4장1-17절)2025.01.241. 위기 상황에서의 결단과 기도 본문에서 모르드개와 에스더는 유대인들이 직면한 위기 상황에서 결단과 기도로 대응합니다. 모르드개는 에스더에게 자신의 민족을 위해 왕에게 나아가 간절히 구하라고 요청하며, 에스더는 자신과 유대인들을 위해 금식하며 기도한 후 왕에게 나아가기로 결단합니다. 이처럼 위기 상황에서 믿음의 사람들은 두려워하지 않고 결단하며 하나님께 기도함으로 위기를 극복할 수 있습니다. 2. 하나님의 섭리와 사명 모르드개는 에스더가 왕후의 자리에 오른 것이 이 때를 위함이 아닌지 묻습니다. 이는 하나님께서 에스더를 왕후로 세...2025.01.24
-
출애굽기 4장 18-26절 말씀 강해 및 영적 교훈2025.11.121. 모세의 소명과 순종 모세는 미디안에서 40년간 양을 치며 훈련받은 후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아 애굽으로 돌아간다. 장인 이드로에게 보고하고 아내와 아들들을 데리고 떠난다. 모세는 하나님의 지팡이를 손에 잡고 가는데, 이는 하나님이 주신 능력과 이적을 상징한다. 모세의 여정은 자신의 민족을 위한 소명을 현실로 받아들이는 순종의 과정이다. 2. 할례의 영적 의미 십보라가 돌칼로 아들의 포피를 베어 모세의 발에 갖다 대는 사건은 할례의 영적 의미를 보여준다. 할례는 하나님과의 언약 관계에서 생명을 담보로 거룩함을 다짐하는 표시이다. ...2025.11.12
-
예레미야 20장 7-182025.01.021. 예레미야의 고난 예레미야는 하나님의 말씀을 전하다가 사람들로부터 조롱과 모욕을 받게 되었습니다. 그는 하나님께서 자신을 강권하셔서 이 어려운 사명을 맡게 하셨다고 고백합니다. 그러나 그의 마음속에는 하나님의 말씀이 불같이 타오르고 있어서, 그 말씀을 전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예레미야는 고난 가운데서도 하나님을 신뢰하며 그의 심판의 메시지를 전했습니다. 1. 예레미야의 고난 예레미야는 하나님의 말씀을 전하는 선지자였지만, 그의 삶은 고난과 역경으로 가득했습니다. 그는 백성들의 배신과 불순종에 직면했고, 그들의 죄악을 책망하며...2025.01.02
-
예수 그리스도의 고난과 죽음의 의미와 제자들 및 신자들의 모범2025.01.181. 예수 그리스도의 사역과 고난의 의미 예수 그리스도의 고난과 죽음은 인류의 구원을 위한 희생이다. 예수님은 자신의 생명을 많은 사람들의 대속물로 내어주셨다. 이는 하나님의 사랑과 자비를 보여주는 동시에 인류의 죄를 대속하기 위한 절대적인 필요성을 나타낸다. 예수님의 고난과 죽음은 단순한 고통이나 죽음이 아니라, 인류를 죄에서 구원하기 위한 하나님의 계획이었다. 2. 예수 그리스도의 섬김의 본보기 예수님은 섬김의 본을 보이셨다. 미가복음 10장 45절에서 예수님은 자신이 섬기러 왔지, 섬김을 받으러 온 것이 아님을 강조하셨다. 이...2025.01.18
-
시편 5편 주해2025.05.111. 정한 마음의 기도 시인은 도덕적으로 온전한 삶을 하나님 앞에서의 문제로 인식하였습니다. 이러한 인식으로 인해 시인은 자신이 해결할 수 없는 악한 자들의 사악함을 하나님께서 친히 다스리실 것이라는 믿음을 갖습니다. 시인은 하나님께 경외의 심정으로 나아가 아침마다 기도하며 하나님의 도우심을 간구합니다. 2. 하나님 앞에서 쫓겨나는 악인 시인은 하나님의 성품이 죄악을 기뻐하지 않으신다는 확신을 가지고 모든 악행을 증오하실 것이라는 결론으로 이끌고 갑니다. 하나님은 악을 기뻐하지 않으시며 모든 악행을 미워하시므로 악한 자들은 멸절될 ...2025.05.11
-
욥기 25-27장에 대한 연구2025.01.281. 하나님의 주권과 권능 빌닷은 하나님의 절대적인 주권과 권능을 강조한다. 하나님은 지극히 높은 곳에서 평화와 번영을 주관적으로 베푸시는 분이며, 그의 경륜을 이루기 위한 무리의 수는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다. 또한 하나님의 빛이 미치지 않는 곳이 없다고 말한다. 2. 하나님 앞에서의 인간의 미천함 빌닷은 하나님 앞에서 인간이 얼마나 미천한 존재인지를 강조한다. 인간은 하나님과 비교할 수 없는 존재이며, 도덕적으로 온전할 수 없는 부패한 존재라고 말한다. 인간은 하나님의 눈에 깨끗하지 못한 존재이며, 구더기와 같은 존재라고 표현...2025.01.28
-
누가복음 6장의 평지설교에 대한 연구2025.01.281. 평지설교의 구조 평지설교는 어디서 단락이 끝나는지 분명치 않고, 그 자체에 여러 개의 주제를 포함하고 있어서 구조를 결정하기 쉽지 않다. 그러나 대부분의 학자들은 평지설교가 접속구절에 근거해서 세 부분(눅 6:20-26 도입/눅 6:27-38 구체적인 삶/눅 6:39-49 마지막 권면과 경고)으로 나뉜다는 데 동의한다. 2. 평지설교와 산상설교의 관계 대체적으로 종교개혁 이전 시대까지는 대부분의 학자들은 평지설교와 산상설교를 서로 다른 두 설교로 이해했다. 그러나 종교개혁 시대에 이르러서 두 설교들의 상호관계에 대한 논의가 활...2025.01.28
-
기독교 신앙의 핵심: 하나님, 예수님, 성령님2025.11.171. 하나님 기독교 신앙에서 하나님은 세계의 창조주이며 무한하고 전능한 존재로 인식된다. 성경적 시각에서는 인간과 세상을 창조하고 사랑과 구원을 주는 신이며, 신앙적 시각에서는 믿음의 대상으로서 인간의 삶에 영향을 미치고 구원을 위해 예수 그리스도를 보낸다. 종교적 시각에서는 숭배와 경배의 대상이며, 종교적 실천과 의식을 통해 교감을 이룬다. 기독교인들은 성경과 교리를 바탕으로 하나님을 이해하고 신앙생활을 통해 하나님과 교류한다. 2. 예수님 예수님은 기독교 신앙에서 하나님의 아들이자 인류의 구원자로 묘사된다. 성경적으로는 십자가에...2025.11.17
-
입학을 위한 심방 설교문2025.01.121. 제왕시 시편 20편은 제왕시입니다. 제왕시의 내용은 왕을 위하여 도움을 주실 것을 간구하거나 왕을 축복해주시기를 하나님께 요청하는 것입니다. 전쟁하러 가기 전 왕을 위해 드리는 거국적 간구시입니다. 2. 예배 3절에는 '네 모든 소제를 기억하시며 네 번제를 받아 주시기를 원하노라'라고 말씀합니다. 올해 사랑하는 우리 아들딸들이 그리고 우리 가정이 우리가 드리는 예배를 하나님께서 기억해주시고, 그 예배를 열납되기를 간절히 소망합니다. 이스라엘이 제사를 드리고, 우리가 예배를 드리는데 제사, 예배에 힘이 있는 것이 아니라 예배를 ...2025.0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