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96개
-
OP-Amp 증폭기 설계 및 실험2025.11.171. 비반전 증폭기(Non-Inverting Amplifier) OP-Amp의 비반전 증폭기는 입력 신호와 같은 위상의 출력을 생성하며, 증폭값은 저항의 비에 의해 결정된다. 학번 마지막 번호 5배 증폭을 위해 저항 비를 4로 설정하여 입력 1V에서 출력 5V를 얻었다. 또한 2배 증폭 설계에서는 버퍼를 통해 안정도를 높였으며, LED 1번과 3번이 켜지는 비반전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2. 반전 증폭기(Inverting Amplifier) OP-Amp의 반전 증폭기는 입력 신호에 대해 180도 위상차를 가진 출력을 생성한다. 2...2025.11.17
-
금형 및 C/F 개발 지침(표준)2025.11.171. 금형 개발 프로세스 금형은 재료의 변형을 이용하여 성형 가공함으로써 필요한 형상의 제품을 얻을 수 있는 형을 총칭한다. 금형 개발은 공법 검토, 설계, 제작, 정도검사, TRY-OUT 실시, 검증 및 PILOT 단계를 거친다. 제작 단계에서는 패턴 제작, 주물작업, 면삭, STEEL 조립, COPY, 사상 등의 공정을 진행하며, 개발팀장의 승인을 통해 진행된다. 2. C/F(Check Fixture) 개발 C/F는 Press 단품 PNL의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 치구를 말한다. C/F 개발은 C/F PLANN'G 작성, 고...2025.11.17
-
피드백 증폭기 설계 및 실습2025.11.181. Series-Shunt 피드백 증폭기 입력이 전압이고 출력도 전압인 Series-Shunt 구조의 피드백 증폭기를 설계한다. 전원 전압 12V, 입력저항 1kΩ, 부하저항 1kΩ으로 설정하고 피드백 저항 비율을 2로 조정한다. PSpice를 이용해 입력 전압을 0V에서 6V까지 0.1V 증분으로 변화시켜 부하저항 양단의 출력전압 변화를 관찰한다. 입력저항과 부하저항의 값 변화는 입출력 이득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이득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2. Series-Series 피드백 증폭기 입력이 전압이고 출력은 전류인 Series-S...2025.11.18
-
OP앰프 응용회로 실험 결과보고서2025.11.181. OP앰프 기본 회로 OP앰프(KIA4558P)를 이용한 기본 응용회로 실험으로, 직류 전원 장치, 디지털 멀티미터, 신호 발생기, 브레드보드 등의 장비를 사용하여 회로를 구성하고 출력전압을 측정하였다. 소신호 발생기의 offset 전압을 변경하여 다양한 조건에서 회로의 동작을 확인하였으며, 이상적인 OP앰프 동작을 가정하여 이론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2. 종속전류 발생기 부임피던스 회로를 응용한 종속전류 발생기의 동작을 실험으로 확인하였다. 입력전압에 비례한 부하전류를 발생시키며, 부하저항과는 무관하게 동작한다. 1V, 2V,...2025.11.18
-
저항의 병렬회로 실험 결과보고서2025.11.181. 병렬저항회로의 특성 병렬저항회로에서는 각 저항에 걸리는 전압이 동일해야 하는 이론적 특성을 가진다. 실험에서는 여러 저항값(100kΩ, 27kΩ, 10kΩ, 3.3kΩ 등)을 사용하여 병렬회로를 구성하고 각 저항 양단의 전압을 측정했다. 이론값과 측정값을 비교한 결과, 전압은 유사한 특징을 보였으나 저항의 오차율이나 측정기기의 오차로 인해 약간의 차이가 발생했다. 2. 합성저항 계산 및 측정 병렬회로의 합성저항은 1/Rt = 1/R1 + 1/R2 + 1/R3 공식으로 계산된다. 실험에서는 STEP 1에서 이론값 6.801kΩ,...2025.11.18
-
금오공대 기계공학과 기계요소설계 텀프로젝트2025.01.171. 기계요소설계 이 프로젝트는 기계요소설계 과목의 텀프로젝트로, 감속 기어열 설계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설계 조건 및 하중 조건 제시, 기어 설계 과정 및 계산, 3D CAD를 이용한 피니언 기어와 전체 기어열 조립 형상 설계, 그리고 최종 설계 결과 요약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 기어 설계 기어 설계 과정에서는 SM 45C 연강 재료의 허용 굽힘응력과 전단응력을 이용하여 피니언과 기어의 크기를 결정하는 과정이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시행착오를 통해 최적의 모듈 값을 찾아내는 과정도 포함되어 있...2025.01.17
-
BJT 바이어스 회로 실험 결과보고서2025.11.181. 고정 바이어스(Fixed Bias) 회로 고정 바이어스 회로는 베이스 저항을 통해 일정한 베이스 전류를 공급하는 방식입니다. 2SC3198Y와 2SC3198GR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 베타 값이 증가할수록 컬렉터 전류가 증가하는 직선적 관계를 보였습니다. 이는 베이스 전류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베타의 변화가 컬렉터 전류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온도 변화에 민감하며 베타 값의 변동이 심해 온도 안정성이 낮습니다. 2. 전압분배 바이어스(Voltage Divider Bias) 회로 전압분배 바이어스는...2025.11.18
-
슈미트 트리거 회로 특성 분석 및 정궤환 회로 실험2025.11.131. 슈미트 트리거 회로 연산증폭기를 사용한 정궤환 회로로 구성된 슈미트 트리거는 히스테리시스 특성을 가지는 비선형 회로이다. 입력 전압이 상한 임계값(V_TH)을 넘으면 출력이 +V_sat으로 스위칭하고, 하한 임계값(V_TL)을 넘으면 -V_sat으로 스위칭한다. 이러한 히스테리시스 특성으로 인해 노이즈가 포함된 입력 신호에서도 출력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다. 저항값을 조절하여 히스테리시스 간격을 제어할 수 있으며, V_TH와 V_TL은 저항값에 비례한다. 2. 연산증폭기의 출력 스윙 범위 실제 OP-AMP 소자의 출력 스윙 ...2025.11.13
-
울산대학교 전기전자실험 13. 저역통과 및 고역통과 필터 회로2025.01.121. 저역통과 필터 실험에서 저역통과 필터 회로를 구성하고 주파수에 따른 출력전압과 위상을 측정하였다. 이론으로 구한 차단 주파수 15.92kHz와 실험으로 측정한 차단 주파수 15.84kHz가 74Hz 차이가 났는데, 이는 저항과 커패시터의 오차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주파수가 증가할수록 출력전압이 감소하고 위상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고역통과 필터 실험에서 고역통과 필터 회로를 구성하고 주파수에 따른 출력전압과 위상을 측정하였다. 이론으로 구한 차단 주파수 7.96kHz와 실험으로 측정한 차단 주파수 7...2025.01.12
-
중앙대학교 아날로그및디지털회로 예비보고서52025.01.201. 슈미트 회로의 특성 슈미트 트리거 (=5 V)의 문턱 전압을 2.5 V로 설계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문턱 전압 계산 공식을 이용하여 저항비를 1:1로 조정하면 원하는 문턱 전압을 얻을 수 있습니다. 실제 회로 설계 및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2.42 V 부근에서 문턱 전압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슈미트 회로의 출력 주파수 계산 슈미트 회로의 출력 주파수 계산 공식을 도출합니다. 실습 이론에 나오는 식(8-3)과 식(8-5)를 연립하여 주파수 공식 f=1/2πRC를 도출할 수 있습니다. 3. 전압제어 발진기...2025.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