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309개
-
맹자의 성선설과 순자의 성악설 비교2025.11.121. 맹자의 성선설 맹자는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측은지심, 수오지심, 사양지심, 시비지심의 사단을 인간이 타고난 도덕적 감정으로 보았다. 이러한 도덕적 마음은 하늘의 뜻이며, 인의예지의 덕목으로 확충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맹자는 효와 제로부터 시작하여 타인에게 나아가는 도덕적 확충을 강조했으며, 호연지기를 길러내는 수양 방법을 제시했다. 이는 인간 내면의 도덕성 회복을 통해 백성을 구원하고자 하는 이론이다. 2. 순자의 성악설 순자는 인간의 본성이 악하다고 주장했다. 인간은 이익을 좋아하고, 욕망을 추구하는 본성...2025.11.12
-
교육고전의 이해 강의를 듣고 '교육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나의 답이 어떻게 달라졌는지2025.01.251. 공자의 교육사상 공자의 논어에서는 교육을 통하여 인간이 변화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강조하였으며, 수기치인의 수양을 통해 군자라는 이상적 인간을 육성하는 것이 교육의 목적이라고 하였다. 공자는 도덕 교육을 중시하고 교사의 인격적 감화를 통한 교육방법을 제시하였다. 2. 지눌의 교육사상 지눌의 수심결에서는 중생 자신의 마음이 부처임을 깨달아 성불하는 것이 교육의 목적이며, 선과 교, 선정과 지혜를 함께 닦는 정혜쌍수와 돈오점수의 교육방법을 강조하였다. 3. 이황의 교육사상 이황의 성학십도에서는 성인이 되기 위한 학문으로 위기지학과...2025.01.25
-
철학의 이해(중간)_1. 교재와 강의 2장을 공부하고 교재 52페이지의 2번문제 (인간은 이성적인 존재인가, 욕망하는 존재인가)에 딸린 8개 문항을 모두 풉니다. 2. 교재와 강의 3장을 공부하고 교재 70페이지의 2번문제 (유가와 도덕적 삶)에 딸린 4개 문항을 모두 풉니다.2025.01.241. 인간의 본성: 이성적 존재 vs. 욕망하는 존재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칸트, 홉스, 흄, 프로이트 등 다양한 철학자들의 관점에서 인간의 본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인간은 이성적 존재인가, 아니면 욕망하는 존재인가에 대한 철학적 논의를 정리하였다. 2. 유가사상과 도덕적 삶 유가사상에서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고 보는 이유와 예의법도의 의미, 유가사상의 인본주의적 특성, 봉건 이데올로기로 활용된 배경 등을 살펴보았다. 유가의 도덕적 삶에 대한 관점을 정리하였다. 1. 인간의 본성: 이성적 존재 vs. 욕망하는 존재 인간의 본성에 ...2025.01.24
-
요정체 간호 Urinary retension2025.05.131. 요정체 요정체는 신장에서 만든 소변을 방광이 완전히 비우지 못하는 상태를 말한다. 가장 흔한 원인은 방광의 출구 막힘(전립선 비대, 종양, 결석 등)이며, 수술로 인해 방광의 감각이 저하되고 방광의 근육 긴장이 감소하는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다. 요정체가 지속되면 요로감염과 결석 형성, 요로계 구조의 손상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임상증상으로는 소변정체로 인한 치골 상부 불편감과 팽만감, 불안정한 상태, 빈뇨 등이 나타난다. 진단을 위해 배뇨 후 잔뇨량 측정, 방광경 검사 등이 필요하며, 치료로는 약물요법, 신장/신우/...2025.05.13
-
로저스의 인본주의이론과 사회복지실천2025.11.171. 로저스 인본주의이론의 발생 배경 로저스는 프로이드의 생물학적 결정론에 반발하여 인본주의 심리학을 창시했다. 듀이의 실용주의, 카렌 호나이의 사회적 관계 치료, 랭크의 관계 중심 상담, 형태주의 심리학의 영향을 받았다. 철학적으로는 훗설의 현상학과 실존주의, 루소의 성선설에 뿌리를 두고 있다. 인본주의 심리학은 20세기 중반 정신분석학과 행동주의에 맞서 제3의 심리학 세력으로 등장했으며, 인간을 근본적으로 선하고 자신의 잠재력을 실현할 수 있는 존재로 본다. 2. 로저스 인본주의이론의 주요 개념 통합된 유기체는 개인의 사상, 행...2025.11.17
-
철학의 이해 - 인간의 본성과 도덕적 삶2025.01.241. 인간의 본성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칸트, 홉스, 흄, 프로이트 등 다양한 철학자들의 관점에서 인간이 이성적 존재인지 욕망하는 존재인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을 이성적 존재로 보았고, 칸트는 선험적 의식을 통해 세계를 구성하는 주체로 보았다. 반면 홉스와 흄은 인간을 자기보존의 충동과 감정에 의해 움직이는 존재로 보았으며, 프로이트는 무의식이 인간 행동을 결정한다고 보았다. 2. 유가의 도덕적 삶 유가에서는 인간을 본래 도덕적인 존재로 보았다. 유가에 따르면 인간은 하늘의 원리인 인의예지에 따라 살...2025.01.24
-
철학의 이해 2 - 인간의 본성과 유가사상2025.01.241. 인간의 본성: 이성적 존재 vs. 욕망하는 존재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칸트, 홉스, 흄, 프로이트 등 다양한 철학자들의 관점에서 인간의 본성에 대한 논의를 살펴보았다. 인간은 이성과 욕망의 조화를 이루는 존재이며, 도덕적 행위의 주체로서 자연을 인식하고 도덕적 기준을 설정할 수 있는 존재라는 점이 강조되었다. 2. 유가사상과 도덕적 삶 유가사상에서는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고 보며, 예의법도를 통해 도덕적 삶을 실천할 것을 강조한다. 유가사상은 인간의 주관과 도덕적 본성을 중시하는 인본주의 사상으로 평가되지만, 봉건 이데올로기...2025.01.24
-
동서양고전의 이해 - 원효의 대승기신론 소별기, 장 자크 루소의 사회계약론, 존 롤스의 정의론2025.01.251. 원효의 『대승기신론 소·별기』 동양의 고전 중 가장 감명 깊게 읽은 고전은 제1강 원효의 『대승기신론 소·별기』였다. 내가 현재 믿고 있는 종교는 천주교이지만 신앙과는 별개로 불교라는 종교에 대해서 늘 긍정적인 인식이 있었다. 왜냐하면, 천주교나 개신교를 비롯한 기독교는 하느님을 유일한 신으로 믿으며 그분의 뜻에 따라 선하게 살면 천국으로 갈 수 있다는 교리가 중심인 반면, 불교는 누구나 덕을 쌓고 참선을 한다면 누구든지 부처가 될 수 있다는 내용이 핵심이기 때문이다. 나는 이러한 차이가 불교가 사람들이 선한 마음을 실천할 수...2025.01.25
-
음악으로 분석한 영화 레미제라블 A+ 보고서2025.01.291. 자베르와 장발장의 대립 영화 속에서 자베르와 장발장은 서로 대립하는 인물들이다. 자베르는 법을 엄격히 지키는 경찰관으로, 장발장을 죄수 24601로 계속 추적한다. 하지만 장발장은 주교의 자비로 인해 변화하여 선한 삶을 살게 된다. 이들의 대립은 'Valjean's soliloquy'와 'Javert's suicide'라는 두 곡을 통해 잘 드러나며, 장발장의 새로운 시작과 자베르의 죽음을 대비시킨다. 2. 에포닌의 짝사랑, 코제트를 향한 마리우스의 사랑 마리우스는 사회 개혁에 관심이 많은 진보적인 청년이지만, 코제트를 만나면...2025.01.29
-
철학의 이해: 인간의 본성과 도덕적 삶2025.01.241. 인간의 본성: 이성적 존재 vs. 욕망하는 존재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칸트 등의 철학자들은 인간이 이성적 존재라고 보았지만, 홉스와 흄은 인간을 욕망하는 존재로 이해했다. 프로이트는 인간의 무의식과 충동에 주목하며 도덕이 이러한 인간 본성에 기반한다고 주장했다. 2. 유가 사상의 도덕적 삶 유가 사상에서는 인간의 본성이 선하다고 보며, 예의법도를 통해 도덕적 삶을 실천할 것을 강조했다. 유가 사상은 인본주의적 성격을 지니지만, 역사적으로 봉건 이데올로기로 활용되기도 했다. 1. 인간의 본성: 이성적 존재 vs. 욕망하는 존...2025.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