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178개
-
CAG 간호2025.05.111. CAG(관상동맥조영술) CAG(coronary angiography)는 협심증이나 심근경생증 환자에서 상완(요골동맥 또는 상완동맥) 이나 대퇴동맥의 동맥을 통하여 심장까지 가늘고 긴 도관(카테터)를 삽입하여 심근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에 조영제를 투여하여 X선을 이용하여 촬영하여 좁아지거나 막힌 혈관을 찾아내는 진단방법이다. 만약 관상동맥의 협착, 혈전 등 이상소견이 발견되면 필요에 따라 약물치료, 풍선 및 스텐트 삽입, 외과적 수술을 시행받게 된다. 2. 관상동맥 관상동맥은 심장의 근육(심근)에 혈류를 공급하는 동맥들을 ...2025.05.11
-
Aortic stenosis(대동맥판막 협착증) 사례 케이스2025.05.101. 대동맥판막 협착증의 정의 대동맥 판막은 좌심실과 대동맥 사이에 위치하며 심장이 수축하는 동안 열리면서 혈액을 좌심실에서 대동맥으로 박출해내고 확장기에는 폐쇄되어 좌심실로의 혈액 역류를 방지하여 혈액이 일방향으로 흐르도록 하는데, 이런 대동맥판막이 어떤 이유에서든지 좁아지게 되어 심장에서 온몸으로 혈액이 이동하는 과정에 장애가 생기게 되고 이를 보상하기 위해 심장은 더욱 더 강하게 수축하게 되는 상태를 대동맥협착증이라 한다. 2. 대동맥판막 협착증의 병태생리 1) 대동맥판막구의 면적이 좁혀지게 되면 심박출량 감소, 폐울혈로 인한...2025.05.10
-
A+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 간호과정 대동맥판막폐쇄부전증 AR, 심박출량 감소, 출혈 위험성, 감염위험성, 전해질 불균형2025.01.281. 대동맥판막폐쇄부전증 대동맥판막폐쇄부전증은 선천적 또는 염증 과정으로 인해 대동맥 판막이 완전히 닫히지 않는 상태를 말한다. 심장이완기 동안 대동맥에서 좌심실로 혈액이 역류되어 좌심실이 확장되고 심실이 비대해진다. 초기에는 증상이 없으나 50% 이상의 혈액이 역류하면 증상이 나타난다. 치료는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나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 투여, 수술적 치료(판막 교정술 또는 판막 치환술)가 있다. 2. 심박출량 감소 대동맥판막폐쇄부전증으로 인해 심장 기능이 저하되면 심박출량이 감소할 수 있다. 이를 관리하기 위해 활력징후...2025.01.28
-
기본간호학 해부생리요약 _ 심장 보고서_ 심장의 해부생리2025.01.141. 심장의 기능 심장, 혈관과 혈액은 함께 심장혈관계통(심혈관계, cardiovascular system)을 형성한다. 건강한 성인의 심장은 1분당 5L의 혈액을 뿜어낸다. 심장은 실제 두 개의 펌프로 이루어져 있으며, 오른쪽 심장은 혈액을 허파로 보냈다가 왼쪽 심장까지 보내는 허파순환(폐순환, pulmonary circulation)을 담당하고, 왼쪽 심장은 혈액을 온몸에 있는 조직으로 보냈다가 오른쪽 심장까지 보내는 전신순환(체순환, systemic circulation)을 담당한다. 2. 심장의 크기, 모양과 위치 정상 성인...2025.01.14
-
대동맥판막협착증: 정의, 진단 및 치료2025.11.181. 대동맥판막협착증의 정의 및 해부학적 구조 대동맥판막은 좌심실과 대동맥 사이에 위치하며 정상적으로 3개의 얇은 소엽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대동맥판막협착증은 판막이 좁아져 심장에서 온몸으로 혈액이 이동하는 과정에 장애가 생기는 상태입니다. 이를 보상하기 위해 심장이 더욱 강하게 수축하게 되어 심장 근육이 비후되고, 결과적으로 호흡곤란, 흉통, 실신 등의 증상이 발생합니다. 만성 판막질환 환자의 1/4에서 발생하며 환자의 80%가 남성입니다. 2. 대동맥판막협착증의 원인 및 병태생리 원인으로는 선천성 기형, 류마티스열, 노인의 죽...2025.11.18
-
성인간호학실습 대동맥판막협착 케이스스터디2025.05.081. 대동맥판막 협착증 대동맥판막 협착증은 대동맥 판막의 협착으로 인해 혈액 관류에 장애를 받는 질환을 의미한다. 대동맥판막 협착증은 고령의 사람들에게 나타난다는 일반적인 인식이 있지만, 최근 서구화된 식습관, 흡연, 음주문화, 스트레스 등으로 인해 젊은 층에서도 발병률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대동맥판막 협착증은 질병이 서서히 진행되나, 증상이 발현되기 시작할 경우 급격히 악화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예고 없이 급사할 수 있는 위험도가 높은 질병이다. 따라서 조기에 발견하여 적절한 중재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2. 대동맥판막...2025.05.08
-
만성 심부전 케이스(간호진단 12개, 간호과정 1개)2025.01.131. 심부전 심부전은 심실의 충만 또는 방출의 구조적, 기능적 장애로 발생하는 복합적인 임상 증후군입니다. 심실 충만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는 확장기 심부전, 심실의 박출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는 수축기 심부전이라고 합니다. 이 두 유형의 심부전 모두 심박출량이 감소하게 되고, 조직 관류량이 감소되며 폐와 전신 혈관에 울혈이 초래됩니다. 심부전의 원인으로는 고혈압, 협심증이나 심근경색, 심장근육병, 판막질환, 선천성 심질환 및 갑상샘 기능항진증 등 모든 심혈관계 질환이 있습니다. 심부전의 치료는 원인 질환의 치료와 위험요인 관리, ...2025.01.13
-
심장과 목혈관 건강사정 및 간호 검진2025.11.161. 심장의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 심장은 혈액을 순환시키는 순환계의 중추 기관으로, 주기적인 수축과 이완을 통해 혈액을 온몸에 공급하는 펌프 역할을 한다. 심장은 제2늑간에서 제5늑간에 위치하며, 4개의 방(우심방, 우심실, 좌심방, 좌심실)으로 구성된다. 심벽은 심낭, 심근층, 심내막의 여러 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4개의 판막(삼첨판, 승모판, 대동맥판막, 폐동맥판막)이 혈액의 역류를 방지한다. 2. 심장 전도계와 심전도 심장은 자동능력을 가져 독립적으로 수축한다. 전기 자극은 동방결절(SA)에서 발생하여 방실결절(AV), 히스...2025.11.16
-
해부생리학 요약정리2025.05.051. 심음 심음에는 1심음, 2심음, 3심음, 4심음이 있다. 1심음은 낮고 김, QRS간격시 나타나며 방실판막 폐쇄음(심실수축기)이다. 2심음은 높고 짧으며, T, 대동맥/허파동맥판막 폐쇄음(심실확장기)이다. 3심음은 심실확장기음으로 어린이나 젊은사람에게서 나타난다. 4심음은 P파 후에 뒤따르는 음이다. 2. 심장 조절 심장 조절에는 대동맥활, 목동맥 팽대반사(압감수체), 베인브리지 반사(혈압상승), 골쯔반사(배부팽대로 내장신경 흥분되고 심장억제중추 자극), 스타링설(혈액을 남김없이 밀어냄)이 있다. 3. 혈관 혈관에는 동맥과 정...2025.05.05
-
심장성 쇼크 및 스트레스성 심근증 간호 사례2025.11.181. 심장성 쇼크(Cardiogenic Shock) 심장성 쇼크는 심장의 펌프 기능 저하로 인해 뇌, 신장 등 주요 장기에 혈액과 산소 공급이 불충분한 상태입니다. 급성심근경색, 심근염, 부정맥 등이 원인이 되며, 심근경색 환자의 10% 이상에서 발생합니다. 임상증상으로는 수축기 혈압 하강, 폐울혈, 심박출 지수 감소, 소변량 감소, 의식저하, 말초순환부전 등이 나타납니다. 치료는 ICU 모니터링, 승압제 투여, 필요시 ECMO(체외막산소화장) 등 기계적 순환 보조기구 사용이 포함됩니다. 2. 스트레스성 심근증(Stress-Indu...2025.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