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58개
-
중앙대 전기회로설계실습6. 계측장비 및 교류전원의 접지상태의 측정방법 설계 결과보고서2025.01.171. 접지 상태 측정 실습에서는 측정에 의해 DMM, 오실로스코프와 function generator의 접지상태, 즉 내부 연 결 상태와 입력저항을 유추하는 방법을 설계해보았습니다. DMM으로 신호를 측정하였을 때 주파 수를 점점 올리면서 관찰한 결과 100kHz 이상의 주파수에서 측정되는 전압의 크기가 급격하 게 작아지는 현상을 확인하였습니다. 이 현상으로 인해 두 기기로 측정한 실횻값에 오차가 발생 하고, 따라서 오실로스코프로 측정한 값이 비교적 정확함을 알 수 있었습니다. 2. 오실로스코프 측정 CH2의 coupling을 AC...2025.01.17
-
중앙대 전기회로설계실습 예비보고서6 (보고서 1등)2025.05.101. DMM을 사용한 교류전원 접지 전압 측정 실험실의 교류전원 소켓의 두 개의 접지 사이의 전압을 DMM을 사용하여 측정하는 방법을 설계하였습니다. DMM을 교류전압 측정 모드로 설정하고, 소켓의 두 접지단자에 연결선을 연결하여 전압을 측정하는 것입니다. 측정 시 rms 값을 기록해야 합니다. 2. Function Generator, DMM, 오실로스코프의 입력 특성 Function Generator의 출력저항은 50Ω이며, DMM과 오실로스코프의 입력저항은 각각 약 1MΩ입니다. Function Generator의 5Vpp 사인...2025.05.10
-
중앙대학교 전기회로설계실습 설계실습 7. RC회로의 시정수 측정회로 및 방법설계2025.05.151. DMM의 내부저항 측정 DMM의 내부저항을 측정하여 10.05의 값을 얻었다. DMM으로 큰 저항의 전압을 측정하는 것에 유의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2. RC회로의 시정수 측정 타이머를 이용하여 RC회로의 시정수를 측정하였는데 오차가 -5.68%이었다. DMM의 응답속도와 사람의 반응속도 때문에 큰 오차가 발생하였다. 이후 오실로스코프를 이용하여 시정수를 측정하였고 이론값과 정확히 일치하였다. 3. 오실로스코프 사용법 Function generator(+), 저항, 커패시터, Function generator(접지)의 순서...2025.05.15
-
중앙대학교 전기회로설계실습 6. 계측장비 및 교류전원의 접지상태의 측정방법설계(예비) A+2025.01.271. DMM을 사용한 교류전원 접지 전압 측정 DMM의 측정단위를 Vac로 설정하고, 측정치를 220V 이상으로 설정한다. DMM의 한 도입선을 1번 교류전원 power outlet의 접지 단자에, 다른 도입선을 2번 교류 전원 power outlet의 접지 단자에 연결하여 두 접지 단자 사이의 전압을 측정한다. 2. 계측기의 입력 저항 함수발생기(Function Generator)의 출력측에서 본 내부저항은 대부분 50Ω이다. DMM의 입력저항은 약 10MΩ이고, 오실로스코프의 입력저항은 보통 1MΩ이 많이 사용되며, 고가의 고속...2025.01.27
-
전기회로설계실습 실습6 예비보고서2025.01.201. DMM을 이용한 교류전원 접지 측정 DMM을 사용하여 실험실 교류전원(220V) power outlet의 두 개 접지 단자 사이의 전압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계하였습니다. DMM의 측정단위를 V로 맞추고, DMM의 도입선 하나를 위쪽 교류전원 power outlet의 접지 단자에, 다른 도입선 하나를 아래쪽 교류전원 power outlet의 접지 단자에 연결하여 두 접지단자 사이의 전압을 측정합니다. 2. 계측기 입력 저항 및 출력 전압 특성 Function Generator의 출력 저항은 일반적으로 50Ω이며, DMM의 입력저...2025.01.20
-
서강대학교 22년도 전자회로실험 2주차 결과레포트 (A+자료)2025.01.121. OP AMP 기본 원리 이번 실험은 OP AMP의 원리를 이용한 증폭기, 미분기, 적분기 등을 설계하고 동작을 확인하는 실험이었습니다. 실험 결과 이론적인 계산값과 5% 이내의 오차를 보이며 회로가 의도한 대로 동작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를 통해 OP AMP를 이용해 원하는 전압이득을 가진 증폭기, 미분기, 적분기 등을 설계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오차 요인으로는 passive 소자의 허용오차, OP AMP의 offset voltage 및 비이상적인 특성, 측정 장비의 오차, 전자파 및 물리적 접촉에...2025.01.12
-
전자회로설계 및 실습5_BJT와 MOSFET을 사용한 구동(switch)회로_예비보고서2025.01.221. BJT와 MOSFET을 이용한 RTL switch 회로 설계 및 구현 이 보고서에서는 BJT와 MOSFET을 이용하여 TTL 레벨의 전압(5V)으로 동작하는 RTL switch 회로를 설계하고 구현하여 relay 또는 LED를 구동하고 그 동작을 측정 및 평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보고서에는 BJT 기반 LED 구동 회로 설계, MOSFET 기반 LED 구동 회로 설계, 구동 회로 측정 방법 등이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2. BJT 기반 LED 구동 회로 설계 보고서에서는 BJT 2N3904를 사용하여 BL-B4531...2025.01.22
-
전자전기컴퓨터설계1 결과보고서 2주차2025.05.041. 오실로스코프 오실로스코프는 전기신호를 화면에 나타내 주는 장치로, 전원 공급부, 입력 증폭부, CRT로 구성되어 있다. 수평 편향계는 시간축 발생장치와 수평입력신호에 의해 작동하며, 평균치, 첨두치, 실효치, 최소치, 최대치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 2. 함수발생기 함수발생기는 전송 회로의 시험을 위해 다양한 파형(정현파, 사각파, 삼각파, Noise, Sawtooth 등)의 출력 정도와 주파수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는 장치이다. 범위에 따라 높은 주파수에서 낮은 주파수까지 발생시킬 수 있다. 3. 프로브 보정 프로브 보정은 프...2025.05.04
-
전기회로설계실습 결과보고서 - RC회로의 시정수 측정2025.05.151. DMM 내부 저항 측정 22M 저항과 DMM을 직렬로 연결하여 DMM에 걸리는 전압을 측정하고, 전압분배 법칙을 사용하여 DMM의 내부 저항을 약 10mohm으로 계산하였다. 높은 저항값을 사용할 때는 DMM의 내부 저항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 RC 시정수 측정 2.2uF 커패시터와 DMM을 직렬로 연결하여 RC 시정수를 측정하였다. 이론적으로 예상한 값은 22.21초이지만, 실험 결과 평균 19.5초로 약 12%의 오차가 발생하였다. 오차의 원인은 커패시터의 완전한 방전 실패와 스탑워치 사용의 한계로 인...2025.05.15
-
중앙대 전기회로설계실습 예비보고서62025.05.141. DMM 사용법 DMM을 사용하여 실험실 교류전원(220 V) power outlet(소켓) 두 개의 접지 사이의 전압을 측정하는 방법을 설계하였습니다. DMM의 측정모드를 전압측정모드로 바꾼 뒤 측정단위를 V로 전환하고, DMM의 한 선을 1번 교류전원 power outlet의 접지 단자에, 다른 선을 2번 교류전원 power outlet의 접지 단자에 연결하여 두 접지 단자 사이의 전압을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2. 계측기 입력 저항 Function Generator의 출력저항은 50ohm이며, DMM의 입력 저항은 10M o...2025.0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