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530개
-
담낭염 환자의 감염위험성 간호과정2025.11.141. 급성 담낭염(Acute Calculus Cholecystitis) 담석으로 인한 급성 담낭염은 심와부 통증, 발열 등의 증상을 동반한다. 본 사례의 환자는 일주일 전부터 발열 및 심와부 통증이 심하여 응급실을 통해 입원하였으며, MDCT 검사에서 급성 담석성 담낭염과 지방간이 확인되었다. 환자는 10년 전 당뇨병, 5년 전 담관염의 과거력을 가지고 있으며, 경피적 간담낭배액술(PTGBD)을 시행받았다. 2.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위험성 간호진단 침습적 처치는 피부와 점막을 파괴하여 미생물의 접근을 용이하게 한다. 본 환자는...2025.11.14
-
기본간호학 실습 2: 위관영양 및 배설 간호 기술2025.11.181. 위관영양 위관영양은 경구 섭취가 불가능한 환자에게 영양을 공급하기 위해 코나 입을 통해 위에 튜브를 삽입하여 액상 영양식을 직접 주입하는 간호 시술입니다. 튜브의 올바른 위치 확인, 감염 예방, 환자의 편안함 유지가 중요한 간호 원칙입니다. 2. 단순도뇨 단순도뇨는 유치 카테터 없이 일회성으로 요도를 통해 카테터를 삽입하여 소변을 배출하는 시술입니다. 무균 기술 준수, 적절한 카테터 크기 선택, 환자의 프라이버시 보호가 필수적이며 요폐나 요량 측정이 필요한 경우에 시행됩니다. 3. 유치도뇨 유치도뇨는 카테터를 요도에 삽입한 후...2025.11.18
-
SICU 외과계중환자실 실습일지 성찰보고서2025.01.131. 중심정맥관(Central Venous Catheter) 중심정맥관(Central Venous Catheter, CVC)은 신체의 중심에 위치한 큰 정맥에 삽입하는 카테터로 쇄골하정맥, 경정맥, 대퇴정맥 팔의 대정맥등에 삽입하여 수액이나 약물을 주입하는 방법이다. 카테터의 끝 부분은 상대정맥이나 심장의 우심방에 위치한다. 보통 중환자에게 많이 적용되며, Peripheral line을 잡기 어려운 환자, 다시 말해서 말초혈관 확보가 어려운 환자에게 적용한다. 중심정맥관을 삽입하게 되면 중심정맥압(CVP, Central Venous...2025.01.13
-
중심정맥압(CVP) 측정법 및 관리2025.01.161. 중심정맥압(CVP) 중심정맥압(Central venous pressure, CVP)은 우심방 내의 압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순환혈류량과 우심실의 기능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CVP는 카테터를 삽입하여 수압력계 방법이나 변환기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정상범위는 4~12cmH2O(1~7mmHg)입니다. CVP가 증가하면 세포외액 과다로 인한 과혈량 상태를 의미하며, 감소하면 세포외액 감소로 인한 저혈량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에 따른 적절한 간호중재가 필요합니다. 2. CVP 측정방법 CVP 측정방법에는 수압력계 방...2025.01.16
-
당뇨합병증 환자의 혈액투석과 AV shunt 간호2025.11.171. 만성신부전증(CRF)과 혈액투석 만성신부전증 환자는 신장내과에서 지속적인 진료를 받으며 신기능이 점차 저하된다. 신기능이 일정 수준 이하로 저하되면 혈액투석이 필요하며, 최종 치료는 신장이식이다. 혈액투석은 신부전 환자의 주요 치료 방법으로, 신기능 저하에 따라 단계적으로 진행되는 치료 과정을 거친다. 2. 동정맥루(AV shunt) 조성 및 관리 혈액투석을 위해 혈관외과에서 AV shunt를 조성한다. 충분히 건강한 혈관 확보를 위해 조성 전 팔에 힘을 주는 운동을 하고 IV 삽입을 금지한다. 조성 후 신생 혈관이 신체에 적...2025.11.17
-
뇌실내 배액 EVD 보고서2025.05.111. 뇌실 뇌실은 뇌 내부에 있는 공간으로, 뇌실막에 싸여 있다. 뇌실은 가쪽뇌실, 제3뇌실, 제4뇌실의 세 가지가 있으며 모두 연결되어 있는 연속적인 공간이다. 뇌실의 내부는 뇌척수액으로 채워져 있으며, 이 액체는 매일 일정한 양이 생산되고 분해되면서 뇌실계를 순환한다. 뇌실은 척수액의 생성, 저장 및 순환에 기여함으로써 뇌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2. EVD EVD(Extra-Ventricular Drainage)는 뇌실질 내 뇌척수액을 체외로 배출시켜 두개내압을 낮추기 위해 사용한다. 주로 뇌실내출혈이나 뇌출혈 시 피가 뇌실...2025.05.11
-
기본간호학: 피부통합성, 상처간호, 산소화 요구 PBL2025.11.171. 수술 후 피부통합성과 상처간호 복부 수술 후 중환자실 입원 환자의 상처 관리 사례. 드레싱 축축함, 반창고 고정 불완전, 당뇨병과 순환장애 과거력으로 인한 욕창 위험. 간호진단은 수술부위 감염 위험, 낙상 위험, 음식 섭취 자기돌봄 결핍. 간호중재는 6시간마다 피부 사정, 2시간마다 체위변경, 주기적 드레싱, 상처 부위 청결 건조 유지, 항생제 투여 등을 포함. 2. 중심정맥관(CVADs) 관리 경구 섭취 불가능한 환자에게 TPN 공급을 위해 삽입된 중심정맥관. 중심삽입카테터, 말초삽입 중심정맥카테터, 삽입포트 3가지 유형 존...2025.11.17
-
급성통증, 감염위험성, 피부통합성 장애의 위험 간호과정2025.01.121. 심근허혈과 관련된 급성통증 심근 경색증은 혈전이라는 노폐물이 쌓여 결국 심장 동맥이 막힌 상태로, 막힌 부위 주변의 심장 근육이 혈액 공급을 받지 못해 심장 근육이 괴사되는데 이 때 통증이 발생함. 대상자의 통증 부위 및 양상, 표정, 행동을 사정하고 진통제 투여, 안위 제공, 산소요법 적용, 이완요법 교육 등의 간호중재를 통해 통증을 완화시키고자 함. 2. 침습적 처치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IVH, 혈관내, 유치도뇨, 경질막 외 카테터, 복강내 배출관 등 침습적인 처치는 카테터 삽입 시 또는 삽입 후 피부로부터 카테터 외벽을...2025.01.12
-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 ERCP2025.01.151.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ERCP) 내시경적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ERCP)은 십이지장, 유두부(ampulla of Vater), 담관, 담낭(쓸개) 및 췌장 등을 관찰하기 위한 검사입니다. 이 검사는 담도, 담낭, 췌장, 유두부에서 발생한 다양한 질병의 진단과 치료를 위해 사용됩니다. 검사 시 부작용 및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경험 많은 의사에 의해 시행되어야 합니다. 검사 전 준비와 검사 중, 후 주의사항이 필요하며, 검사 후 비강내 담즙배액관 관리법도 중요합니다. ERCP는 통증이 적고 회복이 빠르며 고령 환자...2025.01.15
-
Central Venous Catheter (중심정맥관) 종류2025.01.291. Central Venous Catheter의 종류 Central Venous Catheter(중심정맥관)은 심장으로 들어가는 대정맥(쇄골하 정맥, 경정맥, 대퇴 정맥 등)에 삽입되는 카테터로, 혈역학적 측정, 다량의 급속 혈액주입, 말초 정맥 카테터 사용이 어렵거나 장기간 사용이 필요한 경우, 고농도 정맥 주사약 투여 등의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Central Venous Catheter의 종류에는 단기간(3-10일) 사용하는 Short-term, 중기간(5-28일) 사용하는 Midline catheter와 PICC, 장기간(6...2025.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