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4개
-
성인사례보고서 - 심실빈맥 대상자 PBL, 간호진단(간호계획, 수행, 평가 포함) 2개, 이외 간호진단 도출(9개) / 신체문진, 혈액검사, 진단검사 포함2025.01.281. 심장기능 저하와 관련된 심박출량 감소 대상자는 심실빈맥, 확장성 심근병증, 심부전 등의 심장질환을 가지고 있어 심장 기능이 저하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로 인해 심박출량이 감소하여 체중증가, 저혈압, 어지러움, 호흡곤란, 의식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활력징후 모니터링, 약물 투여, 산소요법 등의 간호중재를 통해 심박출량 감소를 예방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2. 호흡곤란과 관련된 비효과적 호흡양상 대상자는 COPD, 만성 기관지염 등의 호흡기 질환을 가지고 있어 호흡곤란을 호소하고 있다. 이로 인해 비정상적...2025.01.28
-
2022년 응급간호2025.01.251. 기본소생술(BLS)의 과정 기본소생술(Basic Life Support)은 1차 소생술을 말하며 특별한 기구가 없는 상태에서 처음 목격한 사람이 입과 손으로 인공호흡법과 가슴 압박법을 동시에 적용하는 소생술이다. 1단계 : 환자의 반응을 확인한다. 2단계 : 응급의료체계 신고한다. 3단계 : 호흡을 확인한다. 4단계 : 가슴압박을 한다. 5단계 : 기도유지 한다. 6단계 : 인공호흡을 한다. 7단계 : 제세동은 심장전기충격기며 심장에 전기적 충격을 주어 동방결절이 제기능을 찾도록 하는 방법으로 제세동, 심율동 전환하는데 사용한...2025.01.25
-
심폐소생술2025.01.161. 심폐소생술의 목적 심정지 혹은 호흡정지가 초래된 환자에게 즉각적으로 행해지는 소생술로서 뇌손상을 방지하고 정상적인 심장기능과 호흡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2. 심폐소생술 준비물품 Emergency cart, EKG Monitor, Defibrillator, 산소공급기구, 흡인기(Emergency cart내: Ambu bag, Fitting mask, Endotracheal tube(성인의 경우 ID 7.5-8Fr), Laryngoscope, Stylet, Air way, 반창고, 멸균장갑, 1L 생리식염수, O2 line, El...2025.01.16
-
중환자실 패혈증 환자 간호 사례연구2025.11.161. 패혈증(Sepsis)의 정의 및 병태생리 패혈증은 미생물 감염으로 인한 전신성 염증 반응 증후군(SIRS)으로, 체온 38도 이상의 발열 또는 36도 이하의 저체온증, 분당 24회 이상의 빈호흡, 분당 90회 이상의 빈맥, 백혈구 수의 증가 또는 현저한 감소 중 두 가지 이상의 증상을 보인다. 원인균은 그람음성균(대장균, 녹농균, 클렙시엘라균)과 그람양성균(황색포도알균, 연쇄상구균), 진균(캔디다균) 등이 있으며, 병태생리는 감염균 제거를 위한 면역체계 활성화 과정에서 분비되는 매개물에 의해 주요 장기가 손상되는 것으로 나타난...2025.11.16
-
sudden cardiac death (틴티날리)2025.05.101. Sudden Cardiac Death Sudden cardiac death (SCD) is a major public health problem, with most episodes occurring in the home. Cardiac arrests in public places have a much better chance of survival, as the initial recorded cardiac rhythm is more likely to be ventricular fibrillation. SCD has a circa...2025.05.10
-
심장동맥증후군, 심전도 리듬, 약물 정리2025.05.131. Acute Coronary Syndrome Acute Coronary Syndrome은 섬유소 플라크 파열과 혈전 형성으로 인해 부분적으로 혹은 완전히 심장동맥 내강을 폐쇄시키는 질환입니다. 이로 인해 심근에 혈류 공급이 차단되거나 감소하여 불안정형협심증, NSTEMI, STEMI 등의 증상이 나타납니다. 불안정형협심증 환자의 10~30%가 1년 이내 심근경색증으로 진행하며 30%는 5년 이내에 사망합니다. 2. Acute Coronary Syndrome 간호 Acute Coronary Syndrome 환자 간호에는 통증 조절...2025.05.13
-
질환별 증상 진단 치료 정리요약2025.05.071. Colles fracture Colles fracture의 증상/징후는 심한 통증이 있고 부어오르며 전완의 아래쪽 1/3 지점이 변형되고 골절부위와 이탈 때문에 생긴 손목의 부위가 돌출된다. 진단방법은 손목이 손이 배측으로 전위된 상태로 변형된 모습을 확인하는 것이다. 병원 전 처치로는 냉찜질, 압박, 부목 고정을 하여 이차 손상을 방지하고 빨리 이송한다. 특이사항으로 손목이 일명 포크 모양이 된다. 2. femur neck fracture femur neck fracture의 증상/징후는 마비나 변형, 통증이 유발된다. 진단...2025.05.07
-
스포츠상해 과제2025.05.141. CPR의 정의 CPR은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의 약자로 우리나라 말로는 심폐소생술이라고 말하며 갑자기 심폐정지를 일으킨 경우 시행하는 응급처치를 말한다. 최근에는 심폐뇌소생(CPCR)이라는 개념도 이용되고 있다. 2. 자동 제세동기의 개념 자동심장 충격기라고도 말하며 심실세동 또는 심실빈맥으로 심정지가 되어 있는 환자에게 전기적 충격을 주게되어 심장의 정상 심박수를 가져오게 해주는 도구를 말한다. 의학 지식이 부족한 일반인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3. 심정지의 정의 심장이 효율적으로...2025.05.14
-
신경외과 중환자실 성인간호학실습 사전학습2025.11.171. 동맥혈 가스 분석 검사(ABGA) 동맥혈 가스 분석은 폐의 산소와 이산화탄소 운반 기능을 평가하는 검사로, 신체의 산염기 균형과 산소공급 상태를 파악합니다. 요골동맥, 상환동맥, 대퇴동맥에서 채혈하며, Allen test를 통해 혈류순환을 확인합니다. 채혈 시 헤파린 처리된 주사기를 사용하고 공기 혼입을 피하며, 채취 후 1분 이내에 얼음상자에 넣어 검사실로 보냅니다. 채혈 후 5~10분간 압력을 가해 지혈하고, 출혈경향이 있는 경우 더 오랫동안 압박합니다. 2. 기계적 환기(Mechanical Ventilation) 기계적 ...2025.11.17
-
중환자실 신규 간호사 의학용어 가이드2025.11.151. 신경계 질환 및 손상 의식수준(LOC), 무의식 척도(GCS), 뇌혈류(CBF), 두개내압(ICP) 등 신경학적 평가 지표와 뇌졸중(CVA), 뇌경색, 외상성 뇌손상(TBI), 뇌출혈(ICH, IVH, EDH, SDH, SAH), 뇌염, 수막염 등 다양한 신경계 질환을 포함. 신경외과 수술로는 개두술(Craniotomy), 두개절제술(Craniectomy), 천공배액술 등이 있으며, 진단 검사로는 뇌파검사(EEG), 신경전도검사(NCV) 등이 사용됨. 2. 심혈관계 질환 및 시술 관상동맥질환(CAD), 심근경색(MI, STEM...2025.1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