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44개
-
제세동과 심율동전환 및 고주파 전극도자절제술 간호2025.11.131. 제세동(Defibrillation) 생명을 위협하는 부정맥 환자의 심장에 고압전류를 단시간 통하게 하여 정상 리듬을 회복시키는 치료법이다. 제세동기는 심장 근육을 탈분극시켜 심실이 원래의 심박동으로 돌아가게 한다. 약물요법으로 치료되지 않은 만성 부정맥 치료에 사용되며, 심실세동이나 무맥성 심실빈맥 등에 적응된다. 시행 전 피부에 젤리를 적용하여 화상을 예방하고, 지속적인 EKG 모니터링과 응급기구 준비가 필요하다. 2. 심율동전환(Cardioversion) 맥박이 만져지고 QRS complex가 뚜렷할 때 QRS파에 맞추어 ...2025.11.13
-
심폐소생술(CPR) 실무 가이드2025.11.131. 심폐소생술(CPR)의 목적 및 중요성 심폐소생술은 예고 없는 호흡정지나 심정지로 인한 임상적 사망 시 생명을 구하는 응급처치입니다. 심장과 폐가 멎은 후 4분 이내에 시행하면 소생 기회가 높아지며, 4-6분 이상 혈액순환이 안 되면 뇌 손상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의료인은 응급 상황에서 환자의 육체적, 영구적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효과적인 심폐소생술을 숙지해야 합니다. 2. 기본소생술(BLS)의 절차 및 기법 기본소생술은 의식과 호흡 확인, 구조 요청, 맥박 확인 후 흉부압박 30회와 인공호흡 2회를 30:2 비율로 반복합니다...2025.11.13
-
CPR (Cardiopulmonary Resusitation) [BLS, ALS, PLS, 약물요법, 제세동, endotracheal intubation, Ambu bagging] [레포트, 지침서, 보고서, 과제, 응급실, ER, 실습]2025.05.081. 기본 생명소생술(BLS) 기본 생명소생술은 심정지 환자를 소생시키기 위한 첫 번째 단계이며, 심정지의 발생을 인지하고 환자의 생명을 유지하기 위한 응급조치이다. 현장에서 인공호흡과 흉부압박을 시행하여 정지된 혈액 순환 및 호흡기능을 유지시켜 조직으로의 산소공급을 유지하는 기본소생술이다. 2. 전문생명소생술(ALS) 전문 생명소생술은 심장박동을 회복시키기 위해 전문 기도유지, 약물투여(에피네프린)와 심전도 감시 및 심전도에 바탕을 둔 전기적 제세동 등의 장비를 사용하는 전문적인 치료를 제공하는 단계이다. 3. 소생 후 치료(PL...2025.05.08
-
Prehospital airway management for out of hospital cardiac arrest-a nationwide multicenter study from the KoCARC registry2025.01.061. Prehospital airway management 이 연구는 병원 밖 심정지 환자에서 전원 단계의 기도 관리에 대한 것입니다. 전원 단계에서 산소 공급 확보와 기계적 기도 관리(AAM) 적용을 통한 효과적인 환기가 합리적인 조치로 여겨집니다. 그러나 기계적 기도 관리와 백마스크 환기 사이의 결과에 대해서는 혼재된 결과가 보고되고 있습니다. 이 연구는 대규모 실제 데이터 분석을 통해 전원 단계 기계적 기도 관리의 임상적 효과를 명확히 하고자 합니다. 2. Out-of-hospital cardiac arrest 이 연구는 병원...2025.01.06
-
CCU 케이스 심실빈맥 ventricular tachycardia 간호진단 9개, 간호과정 3개2025.01.171. Ventricular Tachycardia 심실빈맥은 심실에 회귀 회로(reentry circuit)이 생기고, 이것이 흥분을 반복하여 이것이 전도되어 발생한다. 정상 심장에서는 SA node에서 흥분이 발생하지만, 심실빈맥의 경우 심실에 회귀 회로가 생기고 이곳에서 흥분이 발생하여 전도되는 것이 보인다. 그렇기에 EKG상 QRS complex가 넓게 보이게 된다. 심실빈맥은 빠른맥으로 심장이 빨리 뛰면서 가슴 두근거림을 느끼거나, 온 몸으로 충분한 혈액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하면서 호흡 곤란, 어지러움, 실신 등의 증상을 동반할...2025.01.17
-
[심장내과] 심폐소생술(CPR) 및 자동제세동기(AED) 사용법2025.01.031. 심폐소생술(CPR) 심폐소생술은 심장이 멈추고 숨을 쉬지 않는 사람에게 할 수 있는 응급처치법입니다. 골든타임은 단 4분 이내이며, 기본소생술과 전문심장소생술로 구분됩니다. 심정지 응급처치 순서는 C(Circulation) → A(Airway) → B(Breathing) → D(Defibrillation)이며, 심폐소생술 순서는 깨우고 → 알리고 → 누르고 → 사용하고입니다. 가슴압박은 5~6cm 깊이, 최소 분당 100~120회 속도로 시행하며, 기도확보와 인공호흡도 중요합니다. 2. 자동제세동기(AED) 자동제세동기는 심실...2025.01.03
-
[성인간호] 응급실 사전학습보고서 (심전도, 호흡음, 5H&5T, 트리아제, 응급실장비)2025.05.011. 심전도 심전도의 정상파형과 비정상파형을 설명하고, 심전도 검사 방법과 간호사가 사정해야 할 내용을 기술하였습니다. 2. 호흡음 정상 호흡음과 비정상 호흡음의 특징을 설명하였습니다. 3. 5H & 5T 5H & 5T의 의미와 각각의 항목에 대해 사정할 것, 가능한 간호 진단, 치료 및 간호중재를 기술하였습니다. 4. 응급 환자의 초기사정 트리아제의 목적과 환자 분류, 환자의 병력조사, 신체사정 방법을 설명하였습니다. 5. 응급실 장비 Defibrillator, 심장율동전환술, ETCO2, Neck collar, High Flow...2025.05.01
-
중환자실 ICU 사전학습 보고서2025.11.171. 동맥혈 가스 분석 검사(ABGA) ABGA는 신체의 산염기 균형과 산소공급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검사로 동맥혈의 산도(pH), 산소 분압(PO2), 이산화탄소 분압(PCO2), 중탄산염(HCO3-)을 측정한다. 정상범위는 pH 7.35~7.45, PO2 80~100mmHg, PCO2 35~45mmHg, HCO3- 22~26mmol/L이다. 호흡성산증, 호흡성알칼리증, 대사성산증, 대사성알칼리증 등 산염기 불균형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데 중요한 검사이다. 2. 기관 내 삽관(Endotracheal Intubation) 기관 내 삽관...2025.11.17
-
성인간호학실습 케이스스터디2025.05.131. Cardiac arrest with successful resuscitation 63세 남성 환자로 알코올성 젖산산증에 의한 심실세동으로 심정지가 발생하였다. 심폐소생술 후 회복되었으나 신기능 저하, 호흡부전, 피부 통합성 장애 등의 합병증이 발생하였다. 집중치료를 통해 점진적인 회복을 보이고 있으며, 주요 치료 목표는 산성물질 배출, 혈액순환 개선, 감염 관리, 욕창 예방 등이다. 2. Lactic acidosis 알코올 과다 섭취로 인한 젖산 축적으로 젖산산증이 발생하였다. 젖산산증은 심부전, 신부전, 감염 등의 상황에서 ...2025.05.13
-
응급실 널싱내러티브 실습 과제 (교수님께 칭찬 받은 과제!!!!)2025.05.081. 응급실 간호 변OO (F/78)은 오후 1시 10분경 진주고려병원에서 119 구급차를 타고 Stretcher cart에 실려 응급실로 내원하였다. 대상자가 응급실 도착 즉시 응급실 선별진료소에서 대상자의 의식상태와 전반적인 대상자의 상태를 확인하였고, KTAS 2단계로 분류받아 Resuscitation zone 4번 자리로 이동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내원 당시 대상자는 O2 reserve mask 15L/min inhalation 중이었고, mental은 deep drowsy 상태, dyspnea 호소하며 숨 가쁘게 내...2025.05.08
